$\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 분화에 따른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 홍수의 피해범위 예측을 위한 예비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Predicting a Damage Range of Pyroclastic Flows, Lahars, and Volcanic Flood caused by Mt. Baekdusan Eruption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6, 2013년, pp.479 - 491  

김성욱 (주식회사 GI) ,  최은경 (주식회사 GI) ,  정수정 (주식회사 GI) ,  김상현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이길하 (대구대학교 토목공학과) ,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 분화의 분출물은 북쪽으로 송화강, 동쪽과 서쪽으로 두만강과 압록강 하구에서 발견되고 있다. 즉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홍수와 같이 흐름에 수반된 화산물질의 영향범위는 천지를 중심으로 반경 400 km의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약 1,000년 전 분화 때와는 달리 천지칼데라호의 20억 톤보다 저수량이 큰 담수저장시설이 건설되어 화산분화 시 예상되는 유체의 흐름은 직간접적으로 인공적인 구조물의 영향을 받게 된다. 이 연구는 백두산 화산분화 시 예상되는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홍수의 수치해석 및 지형자료 분석을 통해 유체의 흐름방향을 산정하고 백두산 일원의 댐과 인공호수의 저수용량에 따른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홍수의 피해범위를 파악하였다. 분출 초기에 급경사를 따라 이동하는 화쇄류는 산지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평탄지까지 영향을 미치며, 천지호의 유출에 의한 화산이류는 주요 하천까지 도달할 수 있다. 화산성홍수의 경우 현존하는 인공적인 담수 저장시설물들로 인하여 천지칼데라호의 담수 유출에 의한 피해 범위는 과거에 비하여 매우 제한적인 범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ducts of the eruption of Mt. Baekdusan are identified as volcanic materials at the estuaries of the Songhuagang river to north, the Dumangang river to east and the Amnokgang river to west. More speficially, pyroclastic flows, lahars and volcanic floods can affect an area of 400km in radius, cent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백두산의 분화과정에서 예상되는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홍수에 의한 피해범위 예측을 위한 초기 단계의 연구이다. 이를 위해 흐름에 수반되는 피해를 저감시키는 담수시설의 위치와 지형자료를 기초로 예상되는 피해범위를 판단하고 이와 더불어 TITAN2D 및 LAHARZ의 수치해석 결과를 반영하여 최대 영향범위를 추정하였다.

가설 설정

  • , 2009; Robinson and Clynne, 2010). 모의에 사용된 H/L비는 Yuan et al. (2012)이 에너지 선 모형 (Energy-Line Model)을 이용하여 백두산의 H/L 비 0.07로 가정하였다.
  • , 2003). 이 모형은 최초 위치 좌표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지정하는 높이, 너비 및 두께를 가진 물체의 타원체 물체 더미로서 유동을 시작한다고 가정한다. 기타 두 개의 입력 변수는 내부 마찰각과 층저 마찰각이다.
  • 8E)에서 수렴되고 화산물질의 흐름이 정지하게 될 것이다. 흐름의 진행 경로에 저수용량 62.1억 톤의 백산수고(Fig. 8C)와 2.4억 톤의 적석수고가 위치하고 있으나 여러 수계가 만나 집수용량이 클 뿐만 아니라, 우기 시 발생하는 화산성홍수의 용량을 고려하여 풍만수고에서 수렴될 것으로 추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화산이류로 인해 발생하는 결과는 무엇인가? 만일 천지 칼데라호에서 분화가 발생할 경우 마그마의 파쇄와 상승에 의해 부피가 팽창하고, 칼데라호의 담수가 외륜산의 외부로 유출되어 대규모의 화산이류(lahar)와 홍수(flood)를 유발하게 된다. 화산이류는 도로, 전기, 광산, 주거지 등의 시설물을 파괴하며, 생태계의 변란, 토양침식, 식수 오염 그리고 냉해 등 악순환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Yun, 2010). 또한, 화산성홍수의 경우 화산이류에 비해 강도와 점성이 약하지만 난류와 입자 상호작용에 의해 부서진 파편들과 높은 유사(sediment loads)를 이동시켜 더 넓은 범위로 피해를 확산시킨다(Pierson and Scott, 1985; Smith, 1986; Scott, 1988).
백두산의 분화가 기록된 역사기록물은 무엇이 있는가? 일본기략(日本紀略), 고려사, 고려사세가, 동국문헌 비고(東國文獻備考), 조선왕조실록, 장백산강강지략(長 白山江崗誌略) 등의 역사기록에서 백두산은 서기 900 년 이후 현재까지 6-7회의 분화가 있었고(Fig. 1), 이 중 1,000년경에 대규모 화산활동이 있었다(Lee and Yun, 2011; Simkin and Siebert, 1994; Wei et al.
백두산 분화의 분출물은 어느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는가? 백두산 분화의 분출물은 북쪽으로 송화강, 동쪽과 서쪽으로 두만강과 압록강 하구에서 발견되고 있다. 즉 화쇄류, 화산이류, 화산성홍수와 같이 흐름에 수반된 화산물질의 영향범위는 천지를 중심으로 반경 400 km의 범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약 1,000년 전 분화 때와는 달리 천지칼데라호의 20억 톤보다 저수량이 큰 담수저장시설이 건설되어 화산분화 시 예상되는 유체의 흐름은 직간접적으로 인공적인 구조물의 영향을 받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lison, H. Graettinger, Vern Manville, and Roger, M. Briggs, 2010, Depositional record of historic lahars in the upper Whangaehu Valley, Mt. Ruapehu, New Zealand: implications for trigger mechanisms, flow dynamics and lahar hazards, Bull Volcano, 72, 279-296. 

  2. Charbonnier, S.J. and Gertisser, R., 2009, Numerical simulations of block-and-ash flows using the Titan2D flow model: examples from the 2006 eruption of Merapi Volcano, Java, Indonesia, Bulletin of Volcanology, 71, 953-959. 

  3. Davila, N., Capra, L., Gavilanes, J.C., Varley, N., Norini, G., and Gomez Vazquez Angel, 2007, Recent lahars at Volcan de Colima (Mexico): drainage variation and spectral classification,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65, 127-141. 

  4. Denlinger, R.P. and Iverson, R.M., 2001, Flow of variably fluidized granular material across three-dimensional terrain: 2. Numerical predictions and experimental tes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6, 553-566. 

  5. Horn, S. and Schmincke, H.-U., 2000, Volatile emission during the eruption of Baitoushan volcano (China/North Korea ca. 969 AD), Bulletin of Volcanology, 61, 537-555. 

  6. Hong, T.K., 2011, We need to quickly assess the potential volcanic eruption at Mt. Baekdusan, Institute for Peace Affairs, United Korea, 329, 34-35. 

  7. Hubbard, B.E., Sheridan, M.F., Carrasco-Nunez, G., Diaz-Castellon, R., and Rodriguez, S.R., 2007, Comparative lahar hazard mapping at Volcan Citlaltepetl, Mexico using SRTM, ASTER and DTED-1 digital topographic data.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60, 99-124. 

  8. Huggel C., Schneider, D., Miranda, P.J., Delgado Granados, H., and Kaab, A., 2008, Evaluation of ASTER and SRTM DEM data for lahar modeling: a case study on lahars from Popocatepetl Volcano, Mexico.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70, 86-98. 

  9. Iverson, R.M., 1997, The physics of debris flows. Reviews of Geophysics. 35, 245-296. 

  10. Iverson, R.M. and Denlinger, R.P., 2001, Flow of variably fluidized granular material across three-dimensional terrain: 1. Coulomb mixture theo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6, 537-552. 

  11. Iverson, R.M., Schilling, S.P., and Vallance, J.W., 1998, Objective delineation of lahar-hazard zones downstream from volcanoe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110, 972-984. 

  12. Kim, S.W., Choi E.K., Jung S.J., Kim S.H., Lee K.H., and Yun S.H., 2013, Prediction of damage extents of pyroclastic flows, lahars, volcanic flood based on terrain relief", Proc.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1, 400-405 (in Korean). 

  13. Lee, S.H. and Yun S.H., 2011, Impact of meteorological wind fields average on predicting volcanic tephra dispersion of Mt. Baekd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360-372 (in Korean). 

  14. Mageney-Castlenau, A., Vilotte, J.P., Bristeau, M.O., Perthame, B., Bouchut, F., Simeoni, C., and Yernemi, S., 2003, Numerical modelling of avalanches based on Saint Venant equations using a kinetic scheme.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8, 2527. 9-1-18 doi:10.1029/2002JB002024 

  15. Malin, M.C. and Sheridan, M.F., 1982, Computer-assisted mapping of pyroclastic surges, Science, 217, 637-640. 

  16. Munoz-Salinas, E., Castillo-Rodriguez, M., Manea. V., Maneab, M. and Palacios, D., (2009), Lahar flow simulations using LAHARZ program: Application for the Popocatepetl volcano, Mexico,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82, 13-22. 

  17. Murcia, H.F., Sheridan, M.F., Macias, J.L., and Cortes, G.P., 2010, TITAN2D simulations of pyroclastic flows at Cerro Machin Volcano, Colombia: Hazard implications, Journal of South American Earth Sciences, 29, 161-170. 

  18. Oramas-Dorta, D., Cole, P.D., Wadge, G., Alvarado, G.E., and Soto, G.J, 2012, Pyroclastic flow hazard at Arenal volcano, Costa Rica,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247-248, 74-92. 

  19. Pierson, T.C. and Scott, K.M., 1985, Downstream dilution of a lahar: transition from debris flow to hyperconcentrated streamflow, Water Resources Research, 21, 1511-1524. 

  20. Pitman, E.B., Patra, A., Bauer, A., Nichita, C., Sheridan, M.F. and Bursik, M., 2003, Computing debris flows. Physics of Fluids 15, 3638-3646. 

  21. Robinson, J.E. and Clynne, M.A., 2010, Modeling lahar hazard zones for eruption-generated lahars from Lassen Peak, California, American Geophysical Union, Fall Meeting 2010, abstract #V11C-2300. 

  22. Rupp, B., Bursik, M., Namikawa, L., Webb, A., Patra, A.K., Saucedo, R., Macias, J.L., and Renschler, C., 2006, Computational modeling of the 1991 block and ash flows at Colima volcano, Mexico. In: Siebe, C., Macias, J.L., Aguirre-Diaz, G.J. (eds.), Neogene-. Quaternary Continental Margin Volcanism: A Perspective from Mexico: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402, 237-252 (Penrose Conference Series). 

  23. Savage, S.B. and Hutter, K., 1989, The motion of a finite mass of granular material down a rough incline. Journal of Fluid Mechanics. 199, 177-215. 

  24. Schneider, D., Delgado Granados, H., Huggel, C., and Kaab, A., 2006, Modeling potential laharic hazards related to ice-melting in case of unrest of Iztaccihuatl volcano (Central Mexico), European Geoscience Union, General Assembly 2006, Vienna, Austria, April 2-7, 2006. 

  25. Scott, K.M., 1988, Origins, behavior, and sedimentology of lahars and lahar-runout flows in the Toutle-Cowlitz system,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1447-A, 1-74. 

  26. Sheridan, M.F., 1979, Emplacement of pyroclastic flows-A review, in C. E. Chapin et al. (eds.), Ash Flow Tuffs,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Special Paper, 180, 125-136. 

  27. Sheridan, M.F., Stinton, A.J., Patra, A.K., Bauer, A.C., Nichita, C.C., and Pitman, E.B., 2005, Evaluating TITAN2D Mass-Flow Model Using the 1963 Little Tahoma Peak avalanches, Mount Rainier, Washington,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39, 89-102. 

  28. Sigurdsson, H. and Carey, S., 1989, Plinian and coignimbrite tephra fall from the 1815 eruption of Tambora Volcano, Bulletin of Volcanology, 51, 243-270. 

  29. Simkin, T. and Siebert, L., 1994, Volcanoes of the world geoscience press, Washington DC, USA, 379. 

  30. Smith, G.A., 1986, Coarse-grained nonmarine volcaniclastic sediment: Terminology and depositional process, Bulletin of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97, 1-10. 

  31. Soh, W.J. and Yun S.H., 1999, A review of the holocene major eruption of Mt. Paektu volcan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 534-543(in Korean). 

  32. Soh, W.J., 2010, Secret of Mt. Baekdusan outbreaks, Science Books(in Korean). 

  33. Sulpizio, R., Capra, L., Sarocchi, D., Saucedo, R., Gavilanes-Ruiz, J.C., and Varley, N.R., 2010, Predicting the block-and-ash flow inundation areas at Volcan de Colima (Colima,Mexico) based on the present day (February 2010) status, Journal of Volcanology and Geothermal Research, 193, 49-66. 

  34. Wei, H., Sparks R.S.J., Liu R., Fan Q., Wang Y., Hong H., Zhang H., Chen H., Jiang C., Dong J., Zheng Y., and Pan Y., 2003, Three active volcanoes in China and their hazards,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21(5), 515-526. 

  35. Wei, H., Taniguchi, H., and Liu, R., 2002, Chinese myths and legends for Tianchi Volcano eruptions, Northeast Asian Studies, 6, 191-200. 

  36. Yuan, W., Jiandong X., and Bo P., 2012, Define the energy cone threshold and extent of Tianchi volcano, Science China Earth Sciences (in Pressing), 23, 768-774. 

  37. Yun, S.H. and Cui Z.X., 1996, Historical eruption records on the Cheonji caldera volcano in the Mt. Paektu, Journal of Korean Earth Sicence Society, 17, 376-382 (in Korean). 

  38. Yun, S.H., 2010, Day of Mt. Baekdusan outbreaks, Haemaji (in Korean). 

  39. http://www.gmfg.buffalo.edu/software.php (July 13th 2013) 

  40. http://zh.wikipedia.org/zh/%E4%B8%AD%E5%9B%BD%E5%A4%A7%E5%9E%8B%E6%B0%B4%E5%BA%93%E5%88%97%E8%A1%A8 (July 13th 2013) 

  41. http://volcanoes.usgs.gov/vdap/images/merapi/index.php (July 13th 2013) 

  42. http://www.volcano.si.edu/volcano.cfm?vn264040 (July 13th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