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두산의 역사시대 분화 기록에 대한 화산학적 해석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al Eruptions of Mt. Baekdusan Volcano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4 no.6, 2013년, pp.456 - 469  

윤성효 (부산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백두산 화산에서 분화한 것으로 평가되는 역사시대 분화사건을 문헌에서 발굴하여 화산학적 해석을 하였다. 밀레니엄 대분화로부터 31건 이상의 화산 분화사건을 발굴하였으며, 대부분 화산재를 분화하여 인근 지역으로 확산시키면서 강하화산재를 발생시킨 플리니안 분화 사건이 많았다. 1903년의 기록은 천지 내에서의 수증기마그마성 분화 또는 불카니안 분화에 의한 기록이었다. 역사시대의 분화 기록과 2002년에 나타난 화산 분화 전조현상 등으로부터 백두산은 잠재적인 분화가능성을 가진 활화산으로 평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performed to find out the eruptive events of the historical period recorded in literature, which have been recognized and regarded as ones from Mt. Baekdusan, and to make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e eruptive events. Since the Millennium eruption, more than 31 eruptive events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백두산에 나타나는 다양한 분화의 전조에는 무엇이 있는가?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백두산은 그동안 화산활동이 정지된 화산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2002년 6월말 이후 다양한 분화의 전조들이 나타남에 따라 백두산의 미래 분화 시점에 대한 방재 매뉴얼 작성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난 10여 년 간의 다양한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백두산 하부 맨틀구조의 변화가 감지되었고, 화산성 지진활동의 급증, 화산체 내부의 사면붕괴, 화산 가스에 의한 수목의 고사, 지표면의 팽창, 융기 및 침강, 온천수의 수온 상승 등 현상학적으로 다양한 분화 가능성을 나타내는 전조가 관측되고 있다(Yun et al., 2007; Yun and Lee, 2011, 2012; Xu et al.
백두산의 미래 분화 시점에 대한 방재 매뉴얼 작성의 필요성이 증대된 배경은 무엇인가? 한반도 북부에 위치한 백두산은 그동안 화산활동이 정지된 화산으로 인식되고 있었으나, 2002년 6월말 이후 다양한 분화의 전조들이 나타남에 따라 백두산의 미래 분화 시점에 대한 방재 매뉴얼 작성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난 10여 년 간의 다양한 관측 자료를 바탕으로 백두산 하부 맨틀구조의 변화가 감지되었고, 화산성 지진활동의 급증, 화산체 내부의 사면붕괴, 화산 가스에 의한 수목의 고사, 지표면의 팽창, 융기 및 침강, 온천수의 수온 상승 등 현상학적으로 다양한 분화 가능성을 나타내는 전조가 관측되고 있다(Yun et al.
백두산을 직접 육안으로 그 변화를 관찰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정 화산의 활동성을 모니터링하는 방법으로 가장 신뢰성을 가지는 것은 직접 육안으로 그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다. 북한과 중국의 국경에 위치한 백두산은 남한에서 직접 관측하기에는 거리가 너무 멀고 국제공동 연구가 실현되지 않는 한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 또다른 방법은 관측 장비를 설치하여 화산체 지하의 거동과 지표면의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방법인데, 백두산이 우리 민족의 영산이며 한반도 북부에 위치하지만 실효적인 영유권 내에 위치하는 영토가 아니므로 남한 학자(우리나라 학자)가 주도하여 연구 관측 장비를 설치하는 것이 힘든 상황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kaishi, K., Mitsutani, K., and Itahashi, N., 2000, Lahar disaster caused by the latest eruption of Towada volcano, Japan-finding of buried house and its tree ring dating. Abstract of Lecture on the Quaternary Society of Japan 30, Qa-P009, p. 219. 

  2. Chae, J.S., Oh, C.H., Lee, D.S., and Seo, M.H., 2013, Study on the monitoring of volcanic eruption and magmatic activity through satellite data processing. CATER 2012-5060, Abstract of Atmospheric sciences and earthquake R&D workshop, 2013, 27-28 Aug., 137-140 (in Korean). 

  3. China Earthquake Administration, 1983, Catalog of Earthquake in China: 1831 BC-1969 AD. Science press, Beijing, China, p. 894 (in Chinese). 

  4. Cui, Z.X. and Liu, J.Q., 2006, The Historical Records about the Extensive Eruptions of the Tianchi Volcano in Changbai Mountains during A. D. 1014-1019. Geological Review, 52, 624-628 (in Chinese). 

  5. Cui, Z.X., Jin, D.C., and Li, N., 2000, The historical record discovery 0f 1199-1200 AD large eruption of Changbaishan Tianchi volcano and its significance. Acta Petrologica Sinica, 16, 191-193 (in Chinese). 

  6. Cui, Z.X., Liu, J.Q., and Han, C.L. 2008, Historical records on 1199-1201's eruption of the Changbai volcano. Geological Review, 54(4), 145-152 (in Chinese). 

  7. Cui, Z. X., Wei, H.Q., and Liu, R.X., 1995, The historical record of Changbaishan Tianchi volcano eruption. In: Liu Ruo-xin (ed). Volcanism and Human Environment. Seismological Press, Beijing. p. 36-39 (in Chinese). 

  8. Garin, N.G., 1949, From diaries round-the-world travel over Korea, Manchuria, Liaotung peninsula. Moscow. Geografgiz, Chapter 3: Studies at Pektusan volcano. 162-193 (in Russian). 

  9. Hayakawa, Y. and Koyama, M., 1998, Dates of Two Major Eruptions from Towada and Baitoushan in the 10th Century. Kazan, 43, 403-407 (in Japanese). 

  10. Jin, D.C. and Cui, Z.X., 1999, A Study of Volcanic Eruptions in Tianchi Volcano, Changbai Mountains Recorded in Historical Documents. Geological Review, 45, 304-307 (in Chinese). 

  11. Kang, T.S., Park, C.E., Chu, G.S., and Shin, J.S., 2010, Characteristics of volcanic earthquake of Mt. Baekdusan in 1597. Abstract of 2007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 Technology of Korea, p. 80 (in Korean). 

  12. Lee, S.H., Jang, E.S., and Lee, H.M., 2012, A Case Analysis of Volcanic Ash Dispersion under Various Volcanic Explosivity Index of the Mt. Baegd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3, 280-293 (in Korean). 

  13. Lee, S.H. and Yun, S.H., 2011, Impact of meteorological wind fields average on predicting volcanic tephra dispersion of Mt. Baekd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 360-372 (in Korean). 

  14. Lee, S.T., 1987, A report of an on-site survey of Mt. Changbaishan. Jirin Cultural Press, China (in Chinese). 

  15. Machida, H., Arai, F., and Moriwaki, H. 1981. Two Korean tephras, Holocene markers in the Sea of Japan and the Japan islands. Kagaku, 51, 562-569 (in Japanese). 

  16. Machida, H., Moriwaki, H., and Zhao, D.C., 1990, The recent major eruption of Changbai volcano and its environmental effects. Geographic report of Tokyo metropolitan university, 25, 1-20 (in Japanese). 

  17. Miyamoto, T., Kanno, H., Okuno, M., Nasu, H., and Makohonienko, 2010, Reconstruction of volcanic activities occurring in Baitoushan volcano after 10th century huge eruption. Earth Science of Baitoushan Volcano and its Adjacent Area (Edited by Hiromitsu Taniguchi) Center of Northeast Asian Studies (CNEAS) Tohoku University, Monograph Series, 41, 123-141 (in Japanese). 

  18. Ozawa, T. and Taniguchi, H., 2007, Dtection of crustal deformation associated with volcanic activity of Baitoushan volcano using SAR interferometry. Repoert NIED, 71, 1-10 (in Japanese). 

  19. Pak, K. and Rim, K.M., 2010, On the volcanic eruption of Paektu volcano in the histric record. Earth Science of Baitoushan Volcano and its Adjacent Area (Edited by Hiromitsu Taniguchi) Center of Northeast Asian Studies (CNEAS) Tohoku University, Monograph Series, 41, 113-122 (in Japanese). 

  20. Soh, W.J. and Yun, S.H., 1999, A review of the Holocene major eruption of Mt. Paektu volcano.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 534-543 (in Korean). 

  21. Wei H.Q., Liu, G.M., and Gill, J., 2013, Review of eruptive activity at Tianchi volcano, Changbaishan, northeast China: implications for possible future eruptions. Bulletin of Volcanology, 75, 706: 1-14. 

  22. Xu, J., Liu G., Wu, J., Ming, Y., Wang, Q., Cui, D., Shangguan Z., Pan, B., Lin, X., and Liu, J., 2012, Recent unrest of Changbaishan volcano, northeast China: a precursor of a future erupti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9, L16305, 1-7. doi:10.1029/2012GL052600. 

  23. Yun, S.H. and Cui, Z.X., 1996, Historical eruption records on the Cheonji caldera volcano in the Mt. Paektu.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7, 376-382. 

  24. Yun, S.H. and Lee, J. H., 2011,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cord of 1702 fallout-ash from the Mt. Baegdusan.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0(4), 243-250. 

  25. Yun, S.H. and Lee, J. H., 2012, Analysis of unrest signs of activity at the Baegdusan volcano. Journal of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21, 1-12. 

  26. Yun, S.H., Lee, J.H., Kim, S.K., Cho, E.I., Paone, A., and Kim, Y.J., 2013, Study on the historic records on the Mt. Baekdusan eruption. Abstract of 2013 Joint Conference of the Geolgoical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24-26 April 2013),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Korean Society of Petreoleum Geology, 32, 380 p. 

  27. Yun, S.H., Lee, J.H., Paone, A., and Kim, S.K., 2013, Volcanological interpretation of historic record of 1654 fallout ash from the Mt. Baegdusan, Abstract of 2013 Annua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10-111. 

  28. Yun, S.H., Paone, A., Macedonio, G., Lee, J.H., Kim, S.K., Cho E.I., and Kim, Y.J., 2013, Simulations of pyroclastic flows using Titan2D at Mt. Baekdusan (1). Abstract of 2013 Joint Conference of the Geolgoical Science and Technology of Korea (24-26 April 2013), The Korean Society of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The Geological Society of Korea and The Korean Society of Petreoleum Geology, 37-38, 379 p. 

  29. Yun, S.H., Taniguchi, H., Wei, H., and Liu, J., 2007, Volcanic crisis of the Baegdusan. Abstract of 2007 Joint Conference of the Geological Science & Technology of Korea, 130-132. 

  30. Yun, S.H., Won, C.K., and Lee, M.W., 1993, Cenozoic volcanic activity and petrochemistry of volcanic rocks in the Mt. Paektu area. Journal of Geological Society of Korea, 29, 291-307. 

  31. Zhang, X.K., Zhang, C.K., Zhao, J.R., Yang, Z.X., Li, S.L., Zhang, J.S., Liu, B.F., Cheng, S.X., Sun, G.W., and Pan, S.Z., 2002, Deep seismic sounding investigation into the deep structure of the magma system in Changbaishan-Tianchi volcanic region. Acta Seismologica Sinica, 15, 143-151. (in Chi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