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secure the biological safety of live fish and shellfish for raw consumption, the germicidal effects of electrolyzed seawater were evaluated. Upon direct exposure to electrolyzed seawater, coliform group bacteria were killed and decreased to undetectable levels after 1 day. The physicochemical c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생식을 주로 하는 활어패류의 안전확보를 위한 위생처리 방법으로 해수 전기분해 장치를 개발하고 전기분해해수의 살균처리 능력과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염된 어패류의 생식에 의해 식중독의 문제점은? 매년 여름철을 중심으로 오염된 어패류의 생식에 의해 식중독이 발생하고 있어 국민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수산물의 소비위축을 야기하고 있다(Elliot et al., 1992; WHO, 1980; Oliver, 1989).
어패류의 생식을 즐기는 식습관을 가진 우리 나라에서 식중독 예방을 위해 중요한 것은? , 1992; WHO, 1980; Oliver, 1989). 어패류의 생식을 즐기는 식습관을 가진 우리 나라에서는 식중독 예방을 위해 어획, 유통 및 가공 단계에서 활어패류 위생처리가 중요하나, 활어패류 저장에 연안 해수를 직접 사용하는 일이 관행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해수의 수질관리는 단순여과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Chang, 1998). 부분 적으로 염소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 적용에는 모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Kang, 2005).
식중독 예방을 위해 수질관리 하는 방법 중 염소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의 한계점은? 부분 적으로 염소 처리, 오존 처리, 자외선 처리 등이 이용되고 있으나 그 적용에는 모두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Kang, 2005). 염소는 유기물이 존재하는 경우 살균효과가 급감되며 유해한 부산 물을 형성할 수 있다. 강한 산화력을 가진 오존은 살균력이 높으나 고가의 장치가 필요하고 기화된 오존이 생물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리고 자외선의 살균력은 매질의 탁도에 큰 영향을 받으며, 장치의 램프 교체와 석영관 표면 이물질 제거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Jeong, 2003; Chang, 1998; Graham, 1997; Ong et al., 199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badias N, Usall J, Oliveira J, Alegre I and Vinas I. 2008. Efficacy of neutral electrolyzed water (NEW) for reducing microbial contamination on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Int J Food Microbiol 123, 151-158. http://dx.doi.org/10.1016/j.ijfoodmicro.2007.12.008. 

  2. APHA. 1970. Recommended procedures for the examination of seawater and shellfish.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Inc., New York, U.S.A., 28-47. 

  3. Chang DS. 1998. Development of sterilization equipment for the raw fish tank in sushi restaurant.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Seoul, Korea, 5-45. 

  4. Dore WJ and Lees DN. 1995. Behavior of Escherichia coli and male-specific bacteriophage in environmentally contaminated bivalve molluscs before and after depuration. Appl Environ Microbiol 61, 2830-2834. 

  5. Elliot EL, Kaysner CA and Tamplin ML. 1992. Vibrio cholerae,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and Vibrio spp.. In: Bateriological Avalytical Manual 7th Ed. US FDA, ed. AOAC International, Arlington, U.S.A., 111-140. 

  6. Graham DM. 1997. Use of ozone for food processing applications. Food Technol 51, 72-75. 

  7. Jeong JW, Kim JH, Kim BS and Jeong SW. 2003. Characterization of electrolyzed water manufactured from various electronic diaphragm and electrolyte. Kor J Food Preserv 10, 99-105. 

  8. Jogensen F, Bailey R and Williams S. 2002. Prevalence and numbers of Salmonella and Campylobacter spp. on raw, whole chickens in relation to sampling methods. Int J Food Microbiol 76, 151-164. 

  9. Kang KJ. 2005. Korean Disinfectants/Sanitizers for Food Safety. Food Sci Industry 38, 99-106. 

  10. Kasai H, Ishikawa A, Hori Y, Watanabe KI and Yoshimizu M. 2000. Disinfectant effects of electrolyzed salt water on fish pathogenic bacteria and viruses. Nippon Suisan Gakkaishi 66, 1020-1025. 

  11. Kim C, Hung YC, and Brachett RE. 2000a. Efficacy of electrolyzed oxidizing (EO)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on different types of foodborne pathogens. Int J Food Microbiol 61, 199-207. 

  12. Kim C, Hung YC, and Brachett RE. 2000b. Roles of oxidationreduction potential in electrolyzed oxidizing and chemically modified water for inactivation of food-related pathogens. J Food Prot 63, 19-24. 

  13. Mattick K, Durham K, Domingue G, Jorgensen F, Sen M, Schaffner DW and Humphrey T. 2003. The survival of foodborne pathogens during domestic washing-up and subsequent transfer onto washing-up sponges, kitchen surfaces and food. Int J Food Microbiol 85, 213-226. http://dx.doi.org/10.1016/S0168-1605(02)00510-X. 

  14. ME (Ministry of Environment). 2013. Water quality standard for drinking water. Retrieved from http://law.go.kr/LSW/jsp/byl/bylInfoPrint.jsp on June 24. 

  15. Nakajima N, Nakano T, Harada F, Taniguchi H, Yokoyama I and Hirose J. 2004. Evaluation of disinfective potential of reactivated free chlorine in pooled tap water by electrolysis. J Microbiol 57, 163-173. http://dx.doi.org/10.1016/j.mimet.2003.12.011. 

  16. Oliver JD. 1989. Vibrio vulnificus. In: Foodborne Bacterial Pathogens. Doyle MP, ed. Marcel Dekker Inc., New York, U,S,A., 569-600. 

  17. Ong KC, Cash JN, Zabik MJ and Sidding M. 1995. Abstract, Ann Meet Inst Food Tech 28. 

  18. Ozer NP and Demici A. 2006.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treatment for decontamination of raw salmon inoculated with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Scott A and response surface modeling. J Food Engineer 72, 234-241. http://dx.doi.org/10.1016/j.jfoodeng.2004.11.038. 

  19. Park HY, Hung C and Chung DH. 2004. Effects of chlorine and pH on efficacy of electrolyzed water for inactivating Escherichia coli 0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t J Food Microbiol 91, 13-18. 

  20. Rhaman SME, Ding T and Oh DH. 2010. Effectiveness of low concentration electrolyzed water to inactive foodborne pathogens under different environmental conditions. Int J Food Microbiol 139. 147-153. http://dx.doi.org/10.1016/j.ijfoodmicro.2010.03.020. 

  21. Sapers GM. 1998. New technologies for safer produce-chemical based treatments and decontamination by washing. In: Proceedings Conference on Fresh Fruit and Vegetables: Food Safety Challenges. National Centre for Food Safety Technology, ed. Chicago, 12-14. 

  22. Sharma RP and Demirci A. 2003. Treatment of Escherichia coli 0157:H7 inoculated alfalfa seeds and sprouts with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Int J Food Microbiol 86, 231-237. 

  23.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1979. National interim primary drinking water regulations: control of trihalomethanes in drinking water: final rules, Fed Regist., 68624, Nov 29. 

  24. Venkitanarayanan KS, Ezeike GO, Hung YC and Doyle MP. 1999. Inactiv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and Listeria monocytogenes on plastic kitchen cutting boards by electrolyzed oxidizing water. J Food Prot 62, 857-860. 

  25. WHO Scientific Working Group. 1980. Cholera and other vibrio-associated diarrhoeas. Bull WHO 58, 353-374. 

  26. Yoon JY and Song MS. 1996.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on and Removal of THMs in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J KSWO 12, 159-16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