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생식물이 발달된 습지에서 동물플랑크톤 군집 분포: 수생식물의 밀도 및 종류가 부착성 윤충류와 지각류에게 미치는 영향
Zooplankton Community Distribution in Aquatic Plants Zone: Influence of Epiphytic Rotifers and Cladocerans in Accordance with Aquatic Plants Cover and Types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1, 2013년, pp.86 - 93  

최종윤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나긍환 (순천대학교 환경교육과) ,  김성기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정광석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얕은 수심의 습지에서 발달된 수생식물의 피도와 종류가 동물플랑크톤 밀도와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32개의 습지에서 2011년 5~6월까지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총 65종의 동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대부분의 습지에서는 부유성 종보다 부착성 종이 더 많은 수를 보였다(40종). 조사된 모든 습지에서는 수생식물이 매우 우점하였으며, 이는 부착성 동물플랑크톤 분포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times}1$ (m) 방형구를 이용하여 측정된 수생식물의 피도와 동물플랑크톤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부착성 및 부유성 윤충류는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부착성 지각류는 뚜렷한 상관성를 나타냈다($r^2=0.39$, p<0.05, n=32).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수생식물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조사된 습지 중 수생식물이 가장 잘 발달된 우포늪과 장척호의 갈대(Phragmites communis)와 붕어마름(Ceratophyllum demersum)에 부착된 동물플랑크톤의 채집을 수행하였다. 대부분의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은 갈대보다 붕어마름에서 더 높은 밀도를 보였으며, 이 중 Lepadella, Monostyla, Testudinella는 두 식물간에 매우 뚜렷한 밀도 차이를 나타냈다(One-way ANOVA, p<0.05). 붕어마름은 갈대보다 부착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넓으며, 복잡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많은 동물플랑크톤이 부착할 수 있는 기질표면 또한 풍부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수생식물은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의 서식을 위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이들의 밀도와 종 다양성 증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monitored 32 wetland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aquatic plants on zooplankton density and diversity in the littoral zone in Gyeongsangnam-do from May to June in 2011. A total of 65 zooplankton species were identified in the study sites. Among them, the diversity of epiphytic zoopl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2), 강우의 정도에 따라 가을까지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봄 시기는 동물플랑크톤에 대한 강우의 영향이 적고, 상당히 안정된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에 본 연구의 목적인 수생식물과 동물플랑크톤과의 관계를 파악하기에 적당한 시기인 것으로 사료된다.
  • 또한 기존의 동물플랑크톤에 관한 연구는 군집 조사를 기반으로 수행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동물플랑크톤의 서식형태를 부착성과 부유성으로 구분하여 수생식물과의 관계를 살펴보았기 때문에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정보를 더욱 면밀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생식물이 발달된 습지를 대상으로 부착성 동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생식물과의 관계를 파악하고, 수생식물의 종류에 따라 부착성 동물플랑크톤의 밀도 차이를 분석하여, 수생식물이 부착성 동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강우량이 집중되는 여름 시기에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강우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으며(Choi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서식형태에 따라 어떻게 구분되는가? 수 생태계 내 에너지 전달의 가교 역할을 하는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경우 서식형태에 따라 부유성과 부착성 군집으로 구분할 수 있다. Nicolle et al.
부착성 군집은 부유성 군집과 달리 수생식물의 구조나 밀도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이유는? , 2004). 부유성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포식을 피하기 위한 피난처로써 수생식물을 이용하지만, 부착성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경우 수생식물을 피난처뿐만 아니라 서식공간으로 활용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가진다. 따라서 부착성 군집은 부유성 군집과 달리 수생식물의 구조나 밀도 등이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습지 생태계가 다른 생태계보다 생물다양성이 높은 이유는? 습지 생태계는 흐름과 같은 교란 요소가 적기 때문에 생물상 발달에 유리한 측면을 가지고 있어 다른 생태계보다 생물다양성이 높은 편이다(Denny, 1994). 우리나라는 하천을 중심으로 작은 크기의 습지가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얕은 수심과 인근 농경지로부터 지속적인 영양염류의 유입 때문에 수생식물의 성장과 발달이 촉진되어 이를 서식처로 하는 다양한 생물이 분포하기에 적당한 환경을 가진다(Kuczynska-Kippen,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ngeler, D.G., M. Alvarez-Cobelas, C. Rojo and S. Sanchez-Carrillo. 2000. The significance of water inputs to plankton biomass and trophic relationships in a semi-arid freshwater wetland (central Spain).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2: 2075-2093. 

  2. Balayla, D.J. and B. Moss. 2003. Spatial patterns and population dynamics of plant-associated microcrustacea (Cladocera) in an English shallow lake (Little Mere, Cheshire). Aquatic Ecology 37: 417-435. 

  3. Braun-Blanquet, J. 1932. The study of plant communities (translated by G.D. Fuller and H.S. conard, 1965). McGraw-Hill Book Company Inc., London. 377p. 

  4. Brix, H. 1997. Do aquatic plants play a role in constructed treatment wetland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35: 11-17. 

  5. Bunn, S.E. and P.I. Boon. 1993. What sources of organic carbon drive food webs in billabongs? Oecologia 96: 85-94. 

  6. Burks, R.L., D.M. Lodge, E. Jeppesen and T.L. Lauridsen. 2002. Diel horizontal migration of zooplankton: costs and benefits of inhabiting the littoral. Freshwater Biology 47: 343-365. 

  7. Castilho-Noll, M.S.M., C.F. Camara, M.F. Chicone and E.H. Shibata. 2010. Planktonic and littoral cladocerans (Crustacea, Anomopoda and Ctenopoda) from reservoirs of the Northwest of Sao Paulo State, Brazil. Biota Neotropica. 

  8. Castro, B.B., S.M. Marques and F. Goncalves. 2007. Habitat selection and diel distribution of the crustacean zooplankton from a shallow Mediterranean lake during the turbid and clear water phases. Freshwater Biology 52: 421-433. 

  9. Cattaneo, A., G. Galanti, S. Gentinetta and S. Romo. 1998. Epiphytic algae and macroinvertebrates on submerged and floating-leaved aquatic plants in an Italian lake. Freshwater Biology 39: 725-740. 

  10. Crowder, L.B. and W.E. Cooper. 1982. Habitat structural complexity and the interaction between bluegills and their prey. Ecology 63: 1802-1813. 

  11. Denny, P. 1994. Biodiversity and wetlands. Wetlands Ecology and Management 3: 55-61. 

  12. Einarsson, A. and E.B. Ornolfsdottir. 2004. Long-term changes in benthic Cladocera populations in Lake Myvatn, Iceland. Aquatic Ecology 38: 253-262. 

  13. Horppila, J., P. Eloranta, A. Liljendahl-Nurminen, J. Niemisto and Z. Pekcan-Hekim. 2009. Refuge availability and sequence of predators determine the seasonal succession of crustacean zooplankton in a clay-turbid lake. Aquatic Ecology 43: 91-103. 

  14. Jasser, I. 1995. The influence of aquatic plants on a phytoplankton community in experimental conditions. Hydrobiologia 306: 21-32. 

  15. Jeong, H.K., J.K. Seo, H.J. Lee, W.C. Lee and J.K. Lee. 2010. Habitats selection of zooplankton between pelagic and littoral zone in shallow reservoirs in summer.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28: 188-195. 

  16. Jeong, K.S., D.K. Kim, H.S. Shin, J.D. Yoon, H.W. Kim and G.J. Joo. 2012. Impact of summer rainfall on the seasonal water quality variation (Chlorophyll a) in the regulated Nakdong river.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5: 983-994. 

  17. Kato, Y., Y. Takemon and M. Hori. 2009. Invertebrate assemblages in relation to habitat types on a floating mat in Mizorogaike Pond, Kyoto, Japan. Limnology 10: 167-176. 

  18. Kim, D.K., K.S. Jeong, K.H. Chang, G.H. La, G.A. Joo and H.W. Kim. 2012. Patterning zooplankton communities in accordance with annual climatic conditions in regulated river system (Nakdong river, South Korea). International Review of Hydrobiology 97: 55-72. 

  19. Kim, H.W., J.Y. Choi, G.H. La, K.S. Jeong and G.g. Joo. 2010.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nd zooplankton community dynamics in a riverine wetland ecosystem (Upo). Korea Jounal of Limnology 43: 129-135. 

  20. Koste, W. 1978. Rotatoria, die Radertiere Mitteleuropas: Uberordnung Monogononta: ein Bestimmungswerk (German Edition). 2 edition. Gebruder Borntraeger, Stuttgart. 

  21. Kuczynska-Kippen, N. 2007. Habitat choice in rotifera communities of three shallow lakes: impact of macrophyte substratum and season. Hydrobiologia 593: 27-37. 

  22. Lee, J.J. and J.H. Lee. 2009. Dynamics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in Upo Wetland. Korean Journal of Limnology 42: 232-241. 

  23. Mizuno, T. and E. Takahashi. 1999. An illustrated guide to freshwater zooplankton in japan. Tokai University Press. 

  24. Nicolle, A., L.A. Hansson and C. Bronmark. 2010. Habitat structure and juvenile fish ontogeny shape zooplankton spring dynamics. Hydrobiologia 652: 119-125. 

  25. Porter, K. 1977. The plant-animal interface in freshwater ecosystems. American Scientist 65: 159-170. 

  26. Ramesh, M.R., K.M. Shankar, C.V. Mohan and T.J. Varghese. 1999. Comparison of three plant substrates for enhancing carp growth through bacterial biofilm. Aquacultural Engineering 19: 119-131. 

  27. Robinson, G.G.C., S.E. Gurney and L.G. Goldsborough. 1997. Response of benthic and planktonic algal biomass to experimental water-level manipulation in a prairie lakeshore wetland. Wetlands 17: 167-181. 

  28. Sakuma, M., T. Hanazato, R. Nakazato and H. Haga. 2002. Methods for quantitative sampling of epiphytic microinvertebrates in lake vegetation. Limnology 3: 115-119. 

  29. Sakuma, M., T. Hanazato, A. Saji and R. Nakazato. 2004. Migration from plant to plant: an important factor controlling densities of the epiphytic Cladoceran Alona (Chydoridae, Anomopoda) on lake vegetation. Limnology 5: 17-23. 

  30. Smirnov, N.N. and B.V. Timms. 1983. A revision of the Australian Cladocera (Crustacea). Australian Museum, Sydney, Australia. 

  31. Son, M.W. and W.G. Jeon. 2003. Physical geographical characteristrics of natural Wetlands on the downstream reach of Nakdong river.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9: 66-76. 

  32. Troch, M.D., C. Cnudde, W. Vyverman and A. Vanreusel. 2008. Increased production of faecal pellets by the benthic harpacticoid Paramphiascella fulvofasciata: importance of the food source. Marine Biology 156: 469-47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