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마강의 화학적 수질특성 및 다변수 생태 건강도 모델 평가
Chemical Water Quality and Multi-metric Eco-health Model Assessments in Baekma River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1 no.2, 2013년, pp.96 - 104  

한정호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현맥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평가 연구팀)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7년의 금강 중 하류부의 백마강의 상류에서 하류에 이르는 5개 지점에서 이 화학적 수질특성을 분석하였고, 그 곳에 서식하는 어류군집의 어종분포 및 길드분석을 통해 군집구조 및 생태건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전형적인 하류하천인 백마강의 BOD, COD농도는 각각 평균 $2.8mg\;L^{-1}$, $4.0mg\;L^{-1}$였고, TN, TP의 농도는 각각 $5.0mg\;L^{-1}$, $158{\mu}g\;L^{-1}$로서 이미 부영양 상태로 판정되었으며, 특히 하류 지점에서는 유기물오염 및 부영양화 현상이 뚜렷했다. 5개 지점에서 출현한 어종은 총 19종으로 나타났고, 내성종인 끄리는 가장높은 상대 풍부도(48%)를 보였다. 백마강에서 민감종의 비율(2.3%)은 낮은 반면 내성종 비율(71.8%)은 높게 나타나 중.하류 하천에서의 전형적인 길드 변화 현상이 확연히 나타났다. 하천 생태건강도 평가 (IBI)에 따르면, 백마강에서 생물보전지수는 14.8로서 악화상태인 것으로 나타났고, 수질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하류부에서는 극명하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류구간 (S3~S5)의 낮은 건강도 지수값은 하수종말처리장으로부터 나온 배출수의 화학적 영향이 큰 것으로 사료되었다. 이는 생태건강도 모델값이 수질 특성을 잘 반영하는 객관성 있는 평가기법으로 활용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백마강의 생태계 보존을 위해서는 향후 이 구간에 대한 하천복원 및 지속적인 생태모니터링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chemical the water quality related to the fish community and to evaluate the ecosystem health based on the faunal composition and guild structure in 2007 in Baekma River. Mean concentrations of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백마강에서 총인(TP), 총질소(TN) 및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BOD, COD) 등에 대한 수질상태를 평가하고, 어류를 이용한 생태 건강도 평가를 실시하여 백마강의 종합적인 건강도 상태를 진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수질 오염에 따른 어종의 조성도 및 길드분석을 실시하여 어류의 섭식특성 및 내성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 이를 위하여 수질 오염에 따른 어종의 조성도 및 길드분석을 실시하여 어류의 섭식특성 및 내성도에 대한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목적은 4대강 사업 이후 생태계에 대한 변화를 비교, 평가하고자 할 때 백마강 과거 건강성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핵심적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하천에서 보고된 교란현상은 무엇이 있는가? 인간의 인위적인 활동으로 인해 영향을 받는 하천생태계는 해양생태계보다 쉽게 교란 받으며, 이로 인한 생태계 변화는 이미 전 세계적으로 많이 진행되고 있다(Ricciardi and Rasmussen 1999). 최근 국내 하천에서도 물리적인 서식지의 변경(An et al. 2001a, b), 오염물 유입에 의한 수질 악화, 이에 따른 하천 생물상의 종다양도 감소 현상(Yeom et al. 2000) 등 다양한 교란현상이 보고되어 왔으며, 이러한 현상은 현재까지도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중∙하류 생태계에선 어떤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가? 중∙하류 생태계는 소하천 혹은 상류하천 생태계와는 다르게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으로부터 각종 오∙폐수에 따른 유기물 및 영양염류가 응집되기 때문에 수질오염으로 인한 많은 문제점들이 발생되는 생태계이다. 도심지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와 상류역의 논경지에서 무제한적 사용되고 있는 농약 및 비료가 하천으로 유입 되어 하류수계의 부영양화를 일으켜 각종 수생태계의 문제점을 동시에 유발하고 있다. 또한 강 하구에서는 해수의 유입을 막기 위해 배수갑문이 설치되어 연안으로 유출되지 못하고 추체의 체류시간이 길어져 수질오염은 가속화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하류 생태계의 수질 오염은 상류에 비하여 더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지만, 이 지역에 대한 연구는 극히 미미한 실정이다.
어류의 내성도는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본 연구에서 내성도(Tolerance)와 영양단계(Trophic level)에 대한 범주는 US EPA (1993)의 기준에 의거하였다. 어류의 내성도는 수질 오염도에 따라 쉽게 사라지는 민감종(Sensitive species, SS)과 수질오염도에 따라 상대적인 비율이 증가하는 내성종(Tolerant species, TS), 그리고 두 범주의 중간에 해당하는 중간종(Intermediate species, IS)으로 구분하였다. 영양단계 구조는 섭식 특성에 따른 잡식종(Omnivores, O), 충식종(Insectivores, I), 육식종(Carnivores, C), 초식종(Herbivores, H)으로 구분하였다(Barbour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n KG. 2003.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ies of nutrient limitation based on in situ experiments of nutrient enrichment bioassay. J. Environ. Sci. Heal. A. 38:687-882. 

  2. An KG, DH Yeom and SK Lee. 2001b. Rapid bioassessments of Kap stream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Korean J. Environ. Biol. 19:261-269. 

  3. An KG, SH Jung and SS Choi. 2001a. An evaluation on health conditions of Pyong-Chang river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Korean J. Limnol. 34:153-165. 

  4. An KG and JH Kim. 2005. A diagnosis of ecological health using a physical habitat assessment and multimetric fish model in Daejeon stream. Korean J. Limnol. 38:361-371. 

  5. An KG, JY Lee, DY Bae, JH Kim, SJ Hwang, DH Won, JK Lee and CS Kim. 2006. Ecological assessments of aquatic environment using multi-metric model in major nationwide stream watersheds. J. Kor. Water Qual. 22:796-804. 

  6. An KG, JY Lee and HN Jang. 2005.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and water quality patterns in Youdeung stream. Korean J. Limnol. 38:341-351. 

  7.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m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8. Choi KC. 1987. Nature of Chungnam. Jeong-mun Publishing Co., Ltd. pp. 206-213. 

  9. Hugueny B, S Camara, B Samoura and M Magassouba. 1996. Applying an index of biotic integrity based on communities in a west african river. Hydrobiologia 331:71-78. 

  10. Joo GJ, HW Kim and K Ha. 1997. The development of stream ecology and current status in Korea. Korean J. Ecol. 20: 69-78. 

  11.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21-27. 

  12. Kim 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Ltd. pp.30-428. 

  13. Lee JH and KG An. 2007. Seasonal dynamics of fish fauna and compositions in the Gap stream along with conventional water quality. Kor. J. Limnol. 40:503-510. 

  14.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15. MOE/NIER. 2006. Researches for integrative assessment methodology of aquatic environments (III): development of aquatic ecosystem health assessment and evaluation system, The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Incheon, Korea. pp. 39-41. 

  16. MOE/NIER. 2008. The survey and evaluation of aquatic ecosystem health in Korea, The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cheon, Korea. pp. 73-100. 

  17.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18.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19. Ricciardi A and JB Rasmussen. 1999. Extinction rates of North American freshwater fauna. Conserv. Biol. 13:1220-1222. 

  20.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21.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pp. 

  22. Son YM and HB Song. 2006. Freshwater fish of Geum River. Ji-Sung Publishing Co., Ltd., Seoul, Korea. pp. 30-200. 

  23.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 92-111. Cincinnati, Ohio 45268. 

  24. Yeom DH, KG An, YP Hong and SK Lee. 2000. Assessment of an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using fish assemblages in Keum-Ho River,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8:215-2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