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만경강 본류의 어류 트로픽 길드, 오염 내성도 및 다변수 생태건강도에 대한 화학적 수질영향
The influence of chemical water quality on fish trophic guilds, pollution tolerance, and multi-metric ecological health in the main streams of Mangyeong River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7 no.1, 2019년, pp.8 - 18  

나현희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  이상재 (새만금지방환경청)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생물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본류에서 2009~2016년 동안 어류의 트로픽 길드, 오염도, 내성도 및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 FAI)에 기반을 둔 다변수 생태건강도에 대한 화학적 수질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질 지표로서 전기전도도, 총인(TP) 및 암모니아성 질소($NH_4-N$) 농도는 최하류지점에서 가장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현장 조사 결과, 8년간 만경강 본류에서는 총 14과 50종이 채집되었으며, 우점종은 내성종으로 잘 알려진 피라미(Zacco platypus)로서 22.9%를 차지하여 트로픽 특성의 악화현상을 보였고, 최류역에서는 비정상어종의 상대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생태교란이 아주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Pearson 상관도 분석에 따르면, 내성어종 및 잡식어종의 상대빈도는 전기전도도, BOD 및 $NH_4-N$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r>0.30, p<0.05)를 보였고, 민감어종 및 충식어종의 상대빈도는 이들 변수들과 유의한 역상관 관계(r<-0.3, p<0.01)를 보였다. 어류 다변수 모델(FAI)을 이용한 생태건강도로서 평가된 FAI 모델 값은 평균 47(n=40)로서 건강도는 "보통상태(C)"로서 나타났고, 하류역(S3~S5) 지역에서 모델값은 모두 "나쁜상태(D)"로 나타나 수질악화에 의한 영향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influence of chemical water quality on fish guilds, pollution tolerance and the multi-metric ecological health, based on the Fish Assessment Index (FAI) in the main stream of Mangyeong River between 2009-2016. The quality of water with specific con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장기 모니터링을 통해 만경강 본류의 이·화학적 수질 변화 및 담수 어류상의 변화를 파악하고 FAI모델을 적용하여 만경강 본류의 생태건강도를 진단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만경강 본류에서 2009∼2016년 동안 어류의 트로픽 길드, 오염도, 내성도 및 어류평가지수(Fish Assessment Index; FAI)에 기반을 둔 다변수 생태건강도에 대한 화학적 수질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만경강이란? 만경강은 전라북도에 위치한 농업용수 등의 수자원 공급을 위한 중요한 수체로서 유역면적 1,527.1 km2, 유로연장 77.4 km을 가지고 있고, 고산천, 소양천, 전주천 등의 주요한 지류를 가지고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새만금으로 유입되는 하천이다. 만경강 유역은 전북의 주요 농업생산지대로서, 농경지 및 산림이 유역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뿐 아니라, 만경강의 중류부와 전주천의 중·상류부에 도시와 공업단지가 밀집되어 있고, 익산천의 상류역에 대규모 축산단지가 형성되어 있어 비점오염원 및 점 오염원이 수질특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Yun et al.
만경강 수질저하의 주요 원인은? 이 유역내의 오염원인 생활하수, 축산폐수 및 농업배수 등의 유입은 만경강의 수질저하의 주요 원인으로 평가되어 왔으며, 특히 전주천과 익산천의 합류 이후에 수질이 급격하게 악화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Yun et al. 2002; Lee et al.
생물군집과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생태계 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에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한 이유는? 대부분의 생태계에서 단기간의 연구를 통해 나타나는 결과는 장기간의 연구를 통해 나타나는 결과에 비해 과장되어 나타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기적인 연구는 생태계 내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합리적으로 파악하기에 불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생물군집과 같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는 생태계 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은 단기적인 연구를 통해서는 파악할 수 없으므로, 반드시 장기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Spellerberg 1991; L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KG and EH Lee. 2006.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of Yoogu Stream using a fish community metric model. Korean J. Limnol. 39:310-319. 

  2. AnKG , SH Jung and SS Choi. 2001a. An evaluation on health conditions of Pyong-Chang River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Korean J. Limnol. 34:153-165. 

  3. AnKG , DH Yeom and SK Lee. 2001b. Rapid bioassessments of Kap Stream using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Korean J.Environ. Biol. 19:261-269. 

  4. BaeDY and KG An. 2006. Stream ecosystem assessments, based on a biological multimetric parameter model and water chemistry analysis. Korean J. Limnol. 39:198-208. 

  5. BarbourMT ,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6. ChoWH . 2003. A study on the water quality of agricultural effluent and pollution loadings in the Mankyung River basin. J. Korean Soc. Environ. Technol. 4:141-149. 

  7. HwangSW . 2006. Occurrence patterns and habitat use of fishes in the Geum River and the Mangyeong River estuaries. Ph.D.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pp. 1-144. 

  8. JeonYL . 2010. Biological evaluation of water quality of tributary stream to main course of Mankyeong River based on community analysis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MD. dissertation, Wonkwang University, Iksan. pp. 1-85. 

  9. 10.1111/j.1523-1739.2005.00269.x-i1 JonesJPG , FB Andriahajaina and NJ Hockley. 2005. A multidisciplinary approach to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freshwater crayfish harvesting in Madagascar. Conserv. Biol. 19:1863-1871. 

  10. 10.1007/BF01866609 KarrJR and DR Dudlry. 1981. Ecological perspectives on water quality goals. Environ. Manage. 5:55-68. 

  11. 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KarrJR .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eries 6:21-27. 

  12. KimBM and CL Lee. 1998. A study on the fish community from the Mangyong River system. Korean J. Limnol. 31:191-203. 

  13. KimIS and JY Park. 2002. Freshwater Fishes of Korea. Kyohak sa Publishing Co., Seoul. pp. 30-428. 

  14. KimSA . 2016. Characteristics of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nkyung river watershed and stream ecosystem health assessments by a multimetric fish model and community analysis. M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pp. 1-28. 

  15. 10.17820/eri.2015.2.1.022 KimSH , HT Cheon and KH Cho. 2015. Fish community structure of the former channel isolated by channelization in the Mangyeong River, Korea: Implications for connectivity restoration. Ecol. Resil. Infrastruct. 2:22-32. 

  16. KimSJ , GS Jeon, YT Jeon and CH Won. 2013. A study of GIS utilization for nonpoint source pollution management around Man -Gyoung Watershed. J. Korean Soc. Environ. Technol.14:285-292. 

  17. KimSM , YR Yu and YK Park. 2017.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load by agricultural drainage system in Mankyung River basin. J. Korean Soc. Environ. Technol. 18:391-400. 

  18. LeeDJ . 2006. Fundamental investigation for long-term ecological monitoring on community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Wetland Woopo. MD. dissertation. Changwon University, Chanwon. pp. 1-51. 

  19. LeeHW and SS Park. 2008. Long-term trend analyses of water qualities in Mangyung Watershed. J. Korean Soc. Water Qual. 24:480-487. 

  20. 10.5338/KJEA.2004.23.2.081 LeeJS , GB Jung, JH Kim, SG Yun, WI Kim and JD Shin. 2004. Evaluation of water quality with BOD at Mankyeong and Dongjin River basins. Korean J. Environ. Agric. 23:81-84. 

  21. 10.5338/KJEA.2005.24.2.083 LeeKB , JC Kim, JG Kim, DB Lee, CW Park and JD Kim. 2005. Assessment of pollutant loads for water enhancement in the Mankyeong River. Korean J. Environ. Agric. 24:83-90. 

  22. 10.14249/eia.2017.26.1.27 LeeSJ , HS Park and KG An. 2017. Preliminary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on fish compositions and the ecologicalhealth of Jeokbyeok River on the road construction of Muju- Geumsan Region. J. Environ. Impact Assess. 26:27-43. 

  23. LeeWO , KH Kim, JH Kim and KE Hong. 2008. Study of freshwater fish fauna and distribution of introduced species of Mankyeong River, Korea. Korean J. Ichthyol. 20:198-209. 

  24. ME. 2016a. Biomonitoring Survey and Assessment Manual.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 67-80. 

  25. ME. 2016b. Study on the freshwater fish kill at municipal stream. Watershed Ecology Research Team, Water Environment Research Depart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pp. 1-24. 

  26. MoonWK , JH Han and KG An. 2010. Fish fauna and community analysis in Heuck Stream watershed. Korean J. Limnol. 43:69-81. 

  27. NelsonJS . 1994. Fishes of the World (3rd ed.). John Wiley &#x26; Sons, New York. p. 600. 

  28. OhYC , ND Lee and JG Kim. 2004.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the Mankyung River using multivariate analysis. J. Environ. Sci. 13:233-244. 

  29. OhioEPA .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Ohio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olumbus. pp. 1-66. 

  30. ParkHM , E H Lee and KG An. 2009. Analysis of fish guild compositions and total mercury contents of fish tissues in analysisin Mangyeong River. Korean J. Limnol. 42:172-182. 

  31. 10.11001/jksww.2013.27.6.761 RyuBS and CY Lee. 2013. Prediction of water quality at the inlet of Saemangeum Bay by using non-point sources runoff simulation in the Mankyeong River watershed. J. Korean Soc.Water Wastewater 27:761-770. 

  32. 10.1201/9781003068013-11 SandersRE , RJ Milter, CO Yondr and ET Rankin. 1999. The use of external deformities, erosion, lesions, and tumors in fish assemblages for characterizing aquatic resources: a casestudy of seven Ohio streams. pp. 225-245. In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and Biological Integrity of Water Resources using Fish Communities, Simon TP (ed.). CRC Press. 

  33. ShinHS . 2009. Assessment of water quality in the Mangyeong- River watershed using livestock discharge load reduction. MD. dissertation. Je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pp. 1-70. 

  34. SpellerbergIF . 1991. Monitoring Ecological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334. 

  35. 10.1029/TR038i006p00913 StrahlerAN .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 ology.Trans. Am. Geophys. Union 38:913-920. 

  36. US EPA. 1991. Technical support document for water quality- based toxic control. EPA 505-2-90-001. Office of water,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Washington D.C. pp. 1-145. 

  37.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Cincinnati, Ohio. pp. 1-368. 

  38. YeomDH , KG An, YP Hong and SK Lee. 2000. Assessment of an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using fish assemblages in Keum-Ho River,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8:215-226. 

  39. 10.5338/KJEA.2002.21.4.237 YunSG , JS Lee, GB Jung, MK Kim, SJ Kim, MH Koh and KC Eom. 2002.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n tributaries of Mankyeong River watershed. Korean J. Environ. Agric. 21:237-24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