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Infants Who Are Dying 원문보기

CHNR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19 no.4, 2013년, pp.252 - 261  

강현주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을 이해하고 개인의 생생한 경험의 전체적인 의미 구조를 기술하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는 현상학적 방법론을 적용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S대학병원의 신생아중환자실에서 근무하면서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이 있는 간호사로서 눈덩이 표집 방법을 통해 모집되었으며 자료가 충분히 포화되었다고 판단되는 시점까지로 정하여 총 8인이 선정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12년 12월부터 2013년 2월까지 참여자와의 개인 심층 면담을 통하여 수집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근거로 분석되었다. 결과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의 구조는 '사투하는 환아의 생명존중과 안위존중의 갈림길', '환아의 죽음에 대한 정서적 고통', '환아의 죽음에 대처하며 적응하기', '임종 환아 돌봄에 대한 새로운 기대'의 4개의 주제모음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질적 연구를 통하여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아 돌봄 경험을 좀 더 깊이 있게 살펴보고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신생아중환자실에 근무하면서 환아의 임종을 경험하는 간호사들이 느끼는 정서적인 갈등과 어려움을 다루고 지지해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지지 프로그램의 개발과 임종 환아 돌봄에 대한 교육의 활성화와 더불어 임종 환아의 부모와 의료인을 위한 시간과 공간이 제도적으로 마련되었으면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henomenological study was to explor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infants who are approaching death and to identity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ir experience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eight nurses who had experience in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중환자실이란? 신생아중환자실은 최신의 의료 기술을 통하여 출생 후 생존이 어려운 고위험 신생아나 저체중 출생아들을 치료하는 곳으로 우리나라에 서도 1980년대 초부터 현재까지 전국 110개 병원에서 신생아중환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미숙아와 고위험 신생아의 예후 개선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다(Kang et al., 2011).
최근 신생아 사망률의 감소 추세가 크게 둔화된 이유는? 0명으로 크게 감소하였다(Statistics Korea, 2011). 그러나 최근 들어 신생아 사망률의 감소 추세가 크게 둔화되었는데 이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 고령 임신, 난임 시술 증대에 따른 다태아와 미숙아의 증가를 꼽고 있다(Choi & Lee, 2011). 실제로 영아 사망자 중 53.
빈번히 발생하는 응급 상황과 직접 간호했던 환아의 임종을 접하게 된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가 겪는 정신적인 어려움은? 그러나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대표적인 스트레스는 무엇보다도 빈번히 발생하는 응급 상황과 직접 간호했던 환아의 임종을 접하게 되는 경우이다(Yu, 2011). 이들은 다른 중환자실이나 호스피스 병동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들과 마찬가지로 환자의 죽어감과 죽음에 노출되어 있으면서 업무 스트레스와 소진을 경험하고 있다(Yam, Rossiter, & Cheung, 2001). 이에 따라 국외의 경우 죽어가는 환아를 돌보는 신생아중환자실의 간호사를 포함한 의료진의 슬픔과 스트레스를 다루고 이들을 지지하는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임상에서 의료진들이 환아 사망 후 자신들의 슬픔을 다루는 데 효과적이라는 결과도 보고되었다(Keene, Hutton, Hall, & Rushton, 2010; Rushton, Reder, Hall, & Sellers,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oyle, D. A. (2006). Desperate nursewives. Oncology Nursing Forum, 33(1), 11. Doi: 10.1188/06. ONF.11 

  2. Bush, N. J., & Boyle, D. A. (2012). Self-healing through reflection: A workbook for nurses (1st ed.). Pittsburgh: Oncology Nursing Society. 

  3. Catlin, A. (2004). Neonatal end-of-life care. The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4(8), 15. 

  4. Choi, J. S., & Lee, N. H. (2011). Policy issues on birth outcomes from shifting trends in childbearing.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5. Colaizzi, P. F.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s it. In R. S. Valle & M. King (Eds.),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pp. 48-7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6. Dessy, E. (2009). Effective communication in difficult situation: Preventing stress and burnout in the NICU. Early Human Development, 85(10), S39-S41. 

  7. Doka, K. J. (2002). Disenfranchised grief: New directions, challenges, and strategies for practice (1st ed.). Champaign, IL: Research Press 

  8. Kain, V. J. (2007). Moral distress and providing care to dying babies in neonatal nur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13(5), 243-248. 

  9. Kang, B. H., Jung, K. A., Hahn, W. H., Shim, K. S., Chang, J. Y., & Bae, C. W. (2011). Regional analysis on the incidence of preterm and low birth weight infant and the current situation o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2009.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Neonatology, 18(1), 70-75. 

  10. Kang, K. A., & Kim, S. J. (2003). The present and future of children′s hospice care in Korea.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9(2), 190-197. 

  11. Kang, S. Y. (2001). The lived experience of nursing care for the dying patients in clinical nurses.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7(2), 237-251. 

  12. Keene, E. A., Hutton, N., Hall, B., & Rushton, C. (2010). Bereavement debriefing sessions: an intervention to support health care professionals in managing their grief after the death of a patient. Pediatric Nursing, 36(4), 185-189. 

  13. Kong, B. H. (2004). Phenomenology in nursing research. Research in Philosophy and Phenomenology, 23, 151-178. 

  14. Kubler-Ross, E. (1969). On death and dying. New York, NY: Macmilan. 

  15. Lenart, S. B., Bauer, C. G., Brighton, D. D., Johnson, J. J., & Stringer, T. M. (1998). Grief support for nursing staff in the ICU. Journal of Nurses in Staff Development, 14(6), 293-296. 

  16. Omery, A. (1983). Phenomenology: A method for nursing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5(2), 49-63. 

  17. Rushton, C. H., Reder, E., Hall, B., Comello, K., Sellers, D. E., & Hutton, N. (2006). Interdisciplinary interventions to improve pediatric palliative care and reduce health care professional suffering. Journal of Palliative Medicine, 9(4), 922-933. 

  18.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19. Statistics Korea. (2011, June 29). Birth data of infant mortality (2005-2009). Retrieved December 4, 2012,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 kor_nw/2/6/1/index.board?bmoderead&aSeq248859 

  20. Sherman, D. W. (2004). Nurses' stress and burnout: How to care for yourself when caring fo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experiencing lifethreatening illnes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104(5), 48-56. 

  21. Shimoinaba, K., O'Connor, M., Lee, S., & Greaves, J. (2009). Staff grief and support system for Japaneses health care professional working in palliative care. Palliative and Supportive Care, 7(2), 245-252. 

  22. Wakefield, A. (2000). Nurses' responses to death and dying: A need for relentless self-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Palliative Nursing, 6(5), 245-251. 

  23. Yam, B. M., Rossiter, J. C., & Cheung, K. Y. (2001). Caring for dying infants: Experience of neonatal intensive care nurse in Hong Ko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0(5), 651-659. 

  24. Yi, M. S. (2003).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5), 553-561. 

  25. Yu, M. (2011). Work stress, turnover intention and burnout among nurses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7(1), 115-1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