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자 돌봄 경험
Experiences of Critical Care Nurses Caring for Dying Patient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11 no.2, 2018년, pp.1 - 10  

설은미 (서울대학교병원) ,  고진강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in-depth and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experiences of critical care nurses caring for dying patients. Method : Eleven critical care nurses with experience in caring for dying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four tertiary hospitals. Semi-structured fa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형태, 임상경력이 다양한 참여자를 선정하여 현상에 대한 다양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감사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자료 수집 장소와 면담 시간 등 연구의 절차를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신뢰성, 적합성 및 감사가능성의 확보를 통해 본 연구의 확인가능성이 확립되었다고 여겨진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중환자실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간호사들이 임종 환자 돌봄 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이고 총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경험하는 어려움을 확인하여 슬기롭게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며, 이는 궁극적으로 임종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경험을 귀납적으로 탐구한 질적 내용분석 연구이다. 중환자실 간호사의 부정적인 경험, 즉 일거리로 치부된 임종, 의료의 실패로 여겨지는 임종 등을 심층적으로 기술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어려움을 거리 두기, 배움을 통해 홀로 고군분투하며 극복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 본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content analysis) 방법을 이용하여 임종 환자를 돌보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험을 포괄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귀납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통하여 임종 환자를 돌보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험을 심층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임종 환자를 돌본 경험이 있는 11명의 중환자실 간호사와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내용의 분석을 통해서 총 6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종 환자를 돌보면서 겪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경험을 심층적이고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함으로 연구 문제는 “중환자실 간호사의 임종 환자 돌봄 경험은 어떠한가?
  • 동시에 질적 내용분석 연구 경험이 있는 박사 2인 및 공동 연구자와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의견을 나누었다. 적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중환자실 형태, 임상경력이 다양한 참여자를 선정하여 현상에 대한 다양성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감사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자료 수집 장소와 면담 시간 등 연구의 절차를 자세하게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종을 의료의 실패로 간주하는 인식은 무엇 때문에 나타난다 해석하는가? 한편, 참여자들 중 일부는 임종을 의료의 실패로 간주하고 있었다. 이는 중환자실에서 생애 첫 임종을 목격한 참여자들에게서 주로 나타난 결과로 임종에 대한 가치관이 성립되기 전에 긴박하고 갑작스러운 임종을 경험하면서 임종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된 결과로 해석된다. Hong, Jun, Park과 Ryu (2013)의 연구결과, 임종을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임종 간호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는데 이를 바탕으로 생각해 볼 때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임종을 의료의 실패가 아닌 삶의 마지막 단계로 인식하고 삶과 죽음을 연속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겠다.
중환자실에서의 임종은 어떤 다른 특성을 보이는가? 중환자실에서의 임종은 다른 병동과는 다르게 빈도가 잦고, 갑작스럽거나(Yu & Chan, 2010), 최첨단 의료 기술을 이용한 의료인의 최선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특성이 있다(Kang & Bang, 2013). 이에 중환자실 간호사는 생명 소생을 위한 전문 지식뿐만 아니라 생의 마지막 단계에 있는 환자에게 평안한 임종을 제공하기 위한 역동적인 역할 변화가 요구된다.
중환자실 간호사들이 임종 간호에 크게 어려움을 겪는 부분은 무엇인가?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Espinosa 등(2010)은 중환자실 간호사들은 임종 교육이나 훈련 없이 준비되지 않은 채 임종에 직면하기 때문에 임종 간호 수행에 큰 어려움을 경험한다고 하였다. 이에 Ray 등(2006)은 임종 간호를 시행하는 첫 단계로 반드시 임종 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고 하였고, Hamric과 Blackhall (2007)도 임종 환자의 돌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환자실 간호사들의 역량 개발을 위한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eckstrand, R. L., & Kirchhoff, K. T. (2005). Providing end-of-life care to patients: Critical care nurses' perceived obstacles and supportive behavior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14(5), 395-403. 

  2. Cho, M. O. (2010). Experiences of ICU nurses on temporality and spatiality in caring for dying patients. Qualitative Research, 11(2), 80-93. 

  3. Espinosa, L., Young. A., Symes, L., Haile, B., & Walsh, T. (2010). ICU nurses' experiences in providing terminal care. Critical Care Nursing Quarterly, 33(3), 273-281. 

  4. Hamric, A. B., & Blackhall, L. J. (2007). Nurse-physician perspectives on the care of dying patients in intensive care units: Collaboration, moral distress, and ethical climate. Critical Care Medicine, 35(2), 422-429. 

  5.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7, July 8). Fact sheet: Evaluation results of ICU suitability 2014. Retrieved August 7, 2017, from http://www.hira.or.kr/dummy.do?pgmidHIRAA020041000000&cmsurl/cms/inform/02/1347418_27116.html&subject 

  6. Hong, E., Jun, M., Park, E. S., & Ryu, E. (2013). Death perceptions, death anxiety, and attitudes to death in oncology nurses. Asian Oncology Nursing, 13(4), 265-272. 

  7. Hsieh, H. F., & Shannon, S. E. (2005). Three approaches to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5(9), 1277-1288. 

  8. Jeong, M. K. (2012).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terminal care by nurses in the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Qualitative Research, 13(1), 50-65. 

  9. Kang, H. J., & Bang, K. S. (2013).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experience in caring for infants who are dying.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4), 252-261. 

  10. Kim, S. W. (2005). Sociology of death. Busan: Pusan University Press. 

  11. Lee, S. J., & Kim, H. Y. (2016). Experience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patient care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Phenomenological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2), 172-183. 

  12. Mealer, M. L., Shelton, A., Berg, B., Rothbaum, B., & Moss, M. (2007). Increase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n critical care nurses. American Journal of Respirato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175(7), 693-697. 

  13. McCracken, G. (1988). The long interview. Newbury Park: Sage Publication Inc. 

  14. Noh, J., Eom, J., Yang, K., & Park, H. (2009). New nurses' experience on care of dying patients. Qualitative Research, 10(1), 51-62. 

  15. Park, M. S., & Yoo, Y. S. (2005). Burden,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nurses caring for cancer patien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8(1), 8-17. 

  16. Pereira, M. S., Fonseca, A. M., & Carvalho, S. A. (2011). Burnout in palliative care: A systematic review. Nursing Ethics, 18(3), 317-326. 

  17. Ray, D., Fuhrman, C., Stern, G., Geracci, J., Wasser, T., Arnold, D., . . . Deitrick, L. (2006). Integrating palliative medicine and critical care in a community hospital. Critical Care Medicine, 34, S394-398. 

  18.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3), 27-37. 

  19. Seol, E. M., & Koh, C. K. (2015). Critical care nurses' attitudes toward hospice and palliative care and their related factor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2(2), 94-105. 

  20. Statistics Korea. (2016, February 24).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August 7, 2017,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1/index.board?bmoderead&aSeq351602 

  21. Yi, M. (2003).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dying patients in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5), 553-561. 

  22. Yi, M. J., & Lee, J. S. (2015). Nurses' experiences of the death of patients in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5(4), 513-522. 

  23. Yu, H. U., & Chan, S. (2010). Nurses' response to death and dying in an intensive care unit -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7), 1167-1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