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의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태도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ediatric Palliative Care of Korea 원문보기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17 no.4, 2014년, pp.289 - 300  

강경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  김현숙 (한국교통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권소희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  남미정 (대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방경숙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유수정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  정연 (경동대학교 간호학과) ,  최성은 (포항선린병원 완화의료센터) ,  정복례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말기아동 간호에 대한 교육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인 ELNEC-PPC에 참여한 간호사의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PPC)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방법: 2012년 ELNEC-PPC 교육자를 위한 교육과정에 등록한 간호사 중 연구참여에 동의하고 서명날인 후 설문조사에 응답한 총 19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과 태도는 20문항의 7점 척도로 측정하였다. 결과: 학력수준과 소아과병동 및 호스피스 근무경험에 따라 PPC에 대한 지식 정도에 차이가 있었다. 소아과 근무경험, PPC 경력 및 교육경험 이수 정도에 따라 소아 호스피스완화의료 태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기혼 간호사는 자녀의 완화의료서비스 결정에 대한 보호자의 권리에 대해 더 긍정적이었으며, 석사 이상군은 PPC에 대한 지식과 태도 정도가 높았다. 결론: PPC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 및 태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일반간호사를 대상으로 하여 표준화된 교육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ediatric palliative care (PPC) in Korea.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used. A total of 196 participants were recruited from the ELNEC-PPC course held in Seoul, Korea. All participants co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지식과 태도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 이에 본 연구팀은 말기아동 간호에 대한 교육자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간호사의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지식 및 태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도구는 소아완화의료 분야에 대한 미국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국내에서는 아직 생소한 부분이라서 각 문항에 대한 상관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소아청소년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한 한국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를 각 문항별로 파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완화적 돌봄의 목적은? 그러나 소아영역의 완화의료팀은 아동과 가족에게 생존을 위한 적극적인 치료뿐 아니라 생의 말기에 요구되는 돌봄을 계획, 수행, 교육하는 데 능숙해야 한다. 완화적 돌봄은 말기질환 아동과 가족의 삶의 질을 증진하고 고통을 예방 및 경감하는 데 목적을 둔 체계적 접근이다(4-7).
말기질환 아동 및 가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호스피스완화 의료 돌봄의 특성은 성인과 다른 이유는? 아동의 죽음은 자연스러운 현상이 아니므로 말기질환 아동 및 가족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호스피스완화 의료 돌봄의 특성은 성인 및 노인과는 매우 다르다(2). 소아중환자실이나 소아과병동에서 아동을 돌보는 의료진은 질환의 치료와 치유에 초점을 둔 돌봄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생의 말기에 있는 아동과 가족을 위한 중재를 계획하고 돌봄을 제공하는 데 불편감과 제한을 경험하게 된다(3).
EPEC와 ELNEC는 어떤 효과를 거두고 있는가? 미국의 경우, 1995년 SUPPORT (A Study to Understand Prognoses and Preferences for Outcomes and Risks of Treatment) 연구 결과가 보고된 이후 의사와 간호사를 교육하기 위한 교육자 훈련 프로그램(Train-the-trainer)의 일환으로 의사를 주 대상으로 한 EPEC (Education on Palliative and End of Life Care) 과정과 간호사를 주 대상으로 하는 ELNEC (End of 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과정이 개발되었다. 이러한 교육자 훈련 프로그램이 말기 환자를 돌보는 최 일선 현장에서 일하는 의료인들에게 생애 말기 돌봄에 필요한 필수 내용을 빠르게 전달하여 실무에 적용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4,7-9). 2005∼2006년 자료조사를 통하여 ELNEC-PPC(End of 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Pediatric Palliative Care)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8), 완화의료교육과정 이수를 통해 호스피스ㆍ완화의료가 요구되는 아동과 가족을 돌보는 것에 관한 지식과 태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임종아동을 돌보는 영역에 근무하는 간호사뿐 아니라 완화의료 영역의 모든 간호사들에게 ELNEC-PPC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되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im BH, Choe SO, Chung BY, Yoo YS, Kim HS, Kang KA, et al. Job analysis for role identification for general hospice palliative nurse. Korean J Hosp Palliat Care 2010;13:13-23. 

  2. Sumner L. Pediatric hospice and palliative care. In: Ferrell BR, Coyle N. Oxford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3r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2010. p.997-1017. 

  3. Contro NA, Larson J, Scofield S, Sourkes B, Cohen HJ. Hospital staff and family perspectives regarding quality of pediatric palliative care. Pediatrics 2004;114:1248-52. 

  4. Morstad Boldt A, Yusuf F, Himelstein BP. Perceptions of the term pediatric palliative care. J Palliat Med 2006;9:1128-36. 

  5. Himelstein BP, Hilden JM, Boldt AM, Weissman D. Pediatric palliative care. N Engl J Med 2004;350:1752-62. 

  6.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Internet]. Geneva: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8. [cited 2011 Aug 23]. Available from: http://www.who.int/cancer/ alliative/definition/en/. 

  7. American Academy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Definition of palliative care [Internet]. Chicago, IL: American Academy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2008. [cited 2011 Aug 22]. Available from: http:/www.aahpm.org/positions/definition.html. 

  8. Hinds PS, Burghen EA, Pritchard M. Conducting end-of-life studies in pediatric oncology. West J Nurs Rese 2007;9:448-65. 

  9. Lange JW, Shea J, Grossman SC, Wallace M, Ferrell BR. Validation of the end-of-life nursing education consortium knowledge assessment test : an abbreviated version. J Hosp Palliat Nurs 2009;11:284-90. 

  10. Haut CM, Michael M, Moloney-Harmon P. Implementing a program to improve pediatric and pediatric ICU nurses'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 palliative care. J Hosp Palliat Nurs 2012;14:71-9. 

  11. Docherty SL, Miles MS, Brandon D. Searching for "the dying point:" providers' experiences with palliative care in pediatric acute care. Pediatr Nurs 2007;33:335-41. 

  12. Norman GR1, Shannon SI, Marrin ML. The need for needs assessment i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BMJ 2004;328:999-1001. 

  13. Jones BL, Sampson M, Greathouse J, Legett S, Higgerson RA, Christie L. Comfort and confidence levels of health care professionals providing palliative care in the intensive care unit. J Soc Work End Life Palliat Care 2007;3:39-58. 

  14. Davies B, Sehring SA, Partridge JC, Cooper BA, Hughes A, Philp JC, et al. Barriers to palliative care for children perceptions of pediatric health care providers. Pediatrics 2008;121:282-8. 

  15. Limbo R, Kobler K. The tie that binds: relationships in perinatal bereavement. MCN Am J Matern Child Nurs 2010;35:316-21. 

  16. Thrane S, Jones B. Communication with families after the death of a child: a pilot study. J Hosp Palliat Nurs 2012;14:6-10. 

  17. Jin J, Limbo R, Davies B. Grief and bereavement in pediatric palliative care. In: Ferrell BR, Coyle N. Oxford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3r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2010. p.1081-3. 

  18. Medellin G, Hellsten MB. Symptom management in pediatric palliative care. In: Ferrell BR, Coyle N. Oxford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3r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 2010. p.985-7. 

  19. Sakae M, Goldstein ML. Pediatric pain: Knowing the child before you. In: Ferrell BR, Coyle N. Oxford textbook of palliative nursing. 3r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2010. p.1100-15. 

  20. Zhukovsky D, Robert R. Pediatric palliative care. In: Bruera E, Yennurajalingam S. Oxford American handbook of hospice and palliative medicine.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2011. p.345-7. 

  21. Watson M, Lucas C, Hoy A, Wells J. Oxford handbook of palliative care. 2nd ed. New York:Oxford University Press;2009. p.532-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