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하역사 승강장 및 대합실 평상시 비상시 급·배기 환기 Large Eddy Simulation
LARGE EDDY SIMULATION OF ORDINARY & EMERGENCY VENTILATION FLOW IN UNDERGROUND SUBWAY STATION 원문보기

한국전산유체공학회지 =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v.18 no.3 = no.62, 2013년, pp.72 - 78  

장용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코시스템연구실) ,  류지민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코시스템연구실) ,  박덕신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에코시스템연구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urbulent flow behavior of air supply and exhaustion in the Shin-gum-ho subway station is analyzed for ordinary and emergency state. The depth of Shin-gum-ho station is 43.6m which consists of the island-type platform(8th floor in underground) and a two-story lobby (first & second floor in und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화재 연기가 계단으로 올라가는지 여부는 화재의 크기와 관련이 있으며, 이에 대한 화재유동 해석이 별도로 필요함) 외부 계단, 중간층 및 연결 계단 등 중요 위치에서 유속의 크기를 실험 결과와 비교한 결과 3~20% 이내의 오차를 가지고 실험 결과에 근접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역사 화재시설 계획시 화재시뮬레이션 연구가 어느 정도 신뢰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심도 도시철도 지하역사에서 평상시 및 비상시(화재시)의 환기 및 공조기 급/배기 유동을 수치 적으로 해석하였다. 대심도 역사로는 서울 5호선 신금호 역사를 모델화 하였으며, 평상시 및 비상시 환기 및 제연 모드에 따른 역사의 유동 형태를 FDS 코드의 LES 기법 및 MPI를 이용한 대용량 병렬 계산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철도시설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이 제정된 이유는? 2003년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이후로 철도 이용 승객들의 안전도 향상을 위하여 “철도시설안전기준에 관한 규칙”(건설교통부령 제476호, 2005년 10월 27일)이 제정 고시되고, 이에 대한 세부 기준으로 “철도시설 안전 세부기준”(건설교통부고시 제2006-395호)가 고시되었지만, 더 많은 대중이 집중되고 있는 도시철도에 대한 화재안전 세부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
철도시설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대한 세부 기준으로 무엇이 고시되었는가? 2003년 대구 지하철 방화 사건이후로 철도 이용 승객들의 안전도 향상을 위하여 “철도시설안전기준에 관한 규칙”(건설교통부령 제476호, 2005년 10월 27일)이 제정 고시되고, 이에 대한 세부 기준으로 “철도시설 안전 세부기준”(건설교통부고시 제2006-395호)가 고시되었지만, 더 많은 대중이 집중되고 있는 도시철도에 대한 화재안전 세부기준이 마련되지 않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절실하다.
지하역사에서 화재시 화재 연기 유동에 관한 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지하역사에서 화재시 화재 연기 유동에 관한 연구도 다양 하게 수행되어왔다. Son and Chang[6]은 지하철 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역사와 환기실의 위치에 따른 화재 특성을 k-ε난류모델을 사용하여 수치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Hwang and Edwards[7]는 화재로 인한 뜨거운 성층 기류 및 환기 유동의 특성을 연구하였으며, 터널에서의 역기류(back-layer) 현상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Hwang and Wargo[8]는 터널에서의 뜨거운 성층 기류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Woodburn and Britter[9,10]는 터널에서 화재로 인한 유동 현상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Jang et al.[11]은 터널에서의 역기류 화재유동을 LES(대와류 모사기법) 및 RANS 기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LES 기법이 역기류의 행동을 예측하는데 뛰어나다는 사실을 보였다. Fletcher et al.[12]은 터널 화재 유동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으며, 동일한 환경에서 부력항을 고려한 k-ε 난류모델을 이용하여 수치적 결과와 비교하였다. Gao et al.[13] 은 Fletcher et al.[12]이 실험한 동일한 환경에서 LES 기법을 이용하여 계산하여 실험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Jang et al.[14]은 대심도 역사에서 화재시 뜨거운 열기류 해석 및 제연 설비 가동에 따른 연기 분포를 조사하였다. Jang et al.[15] 은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상황을 모델하여 화재 및 승객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당시의 상황과 비교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대심도 도시철도 지하역사에서 평상시 및 비상시(화재시)의 환기 및 공조기 급/배기 유동을 수치 적으로 해석하고 실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대심도 역사로서 기존의 역사중 가능한한 최대 심도를 가지는 역사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2012, Jang, Y.-J., Lee, H.-S. and Park, D.-S., "Experimental Study for the Capacity of Ordinary and Emergency Ventilation System in Deeply Underground Subway S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15, No.6, pp.579-587. 

  2. 1989, Lee, J.-H. and Oh, M.-D., "Train wind in the subway tunnel,"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27, No.2, pp.109-114. 

  3. 2010, Lee, J.-H., Juraeval, M. and Song, D.-J., "A Numerical Analysis of The Train Wind in The Ventilation System of Subway Tunnel," 2010 Spring Conference for Korean Society for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pp.212-215. 

  4. 2004, Kim, S.-D., Song, J.-H. and Lee, H.-K., "Estimation of Train-Induced Wind Generated by Train Operation in Subway Tunnels,"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Vol.16, No.7, pp.652-657. 

  5. 2008, Kim, J.-Y., "Development of Optimum Design Technology of Platform Screen Door Systems for the Environment Improvement and Disaster Prevention of Urban Railway," 2008 Winter Conference & Annual Meeting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pp.84-87. 

  6. 2008, Son, B.-S. and Chang, H.-C., "Numerical Prediction of Fire Characteristics of Passenger Train Fire in an Underground Subway Tunnel, Depending on Change of Location of Ventilation Facili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 Engineering, Vol.22, No.5, pp.1-8. 

  7. 2005, Hwang, C.-C. and Edwards, J.-C., "The Critical Ventilation Velocity in Tunnel Fires-A Computer Simulation," Fire Safety Journal, Vol.40, pp.213-244. 

  8. 1986, Hwang, C.-C. and Wargo, J.-D., "Experimental Study of Thermally Generated Reverse Stratified Layers in a Fire Tunnel," Combustion and Flame, Vol.66, pp.171-180. 

  9. 1996, Woodburn, P.-J. and Britter, R.-E., "CFD Simulations of a Tunnel Fire-Part I," Fire Safety Journal, Vol.26, pp.35-62. 

  10. 1996, Woodburn, P.-J. and Britter, R.-E., "CFD Simulations of a Tunnel Fire-Part II," Fire Safety Journal, Vol.26, pp.63-90. 

  11. 2009, Jang, Y.-J., Kim, H.-B., Kim, J.-H. and Han, H.-Y., "Comparative Study on The Numerical Simulation for The Bake-Layer of The Tunnel Fire-Driven Flow with LES and RANS," Transactions of the KSME (B), Vol.33, No.3, pp.156-163. 

  12. 1994, Fletcher, D.-F., Kent, J.-H. and Apte, V.-B., "Numerical Simulations of Smoke Movement from a pool fire in a ventilated tunnel," Fire Safety Journal, Vol.23, pp.305-325. 

  13. 2004, Gao, P.-Z., Liu, S.-L., Chow, W.-K. and Fong, N.-K., "Large Eddy Simulation for Studying Tunnel Smoke Ventilation," Tunneling and Underground Space Technology, Vol.19, pp.577-586. 

  14. 2009, Jang, Y.-J., Kim, H.-B. and Chang, C.-H., "The Numerical Simulation of Fire Driven Smoke and Heat Flow in the Deeply Underground Subway Station using a Linux Clustering Computer," Proceedings of The KSME Spring Annual Meeting KSME 09TE063. 

  15. 2008, Jang, Y.-J., Lee, C.-H., Park, W.-H. and Jung, W.-S., "The Passenger Evacuation Simulation Using Fluent and EXODU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11, No.1, pp.95-100. 

  16. 2010, McGrattan, K., McDermontt, R., Hostikka, S. and Floyd, J., "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5) User's Guide," NIST. 

  17. 2007, Jang, Y.-J. and Park, W.-H., "The Applicability Analysis of FDS code for Fire-Driven Flow Simulation in Railway Tunn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Vol.10, No.2, pp.224-230. 

  18. 1991, Werner, H. and Wengle, H., "Large-eddy simulation of turbulent flow over and around a cube in a plate channel," 8th Symposium on Turbulent Shear Flows., pp. 155-168. 

  19. 2011, Jang, Y.-J., "Analysis of Vortex Shedding Phenomena Around Pantograph Panhead for Train Using Large Eddy Simulation," Journal of Computational Fluids Engineering, Vol.16, No.2, pp.17-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