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성지역 월현리 복합체 내에 분포하는 트라이아스기 심성암류의 지질연대학 및 지구화학적 연구
Geochronological and Geochemical Studies for Triassic Plutons from the Wolhyeonri Complex in the Hongseong Area, Korea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46 no.5, 2013년, pp.391 - 409  

오재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석유해저연구본부) ,  김성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국토지질연구본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 경기육괴의 서남부 홍성지역은 지구조적으로 중국의 친링-다비에-수루대와 비교 연장되는 봉합대의 하나로 고려된다. 홍성지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월현리복합체는 주로 신원생대의 편마암과 고생대 중기의 중-고변성의 편암, 정편마암과 변성염기성화산암으로 주로 구성된다. 이 지역은 트라이아스기 중기에서 말기까지의 암맥상 혹은 암주상의 다양한 관입암이 분포한다. 주 암상은 몬조니암과 반화강암으로 구성되며 부수적으로 소규모 암주상의 몬조섬록암, 섬장암섬록암 등이 산출된다. 연구지역 심성암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결과는 237 Ma부터 222 Ma의 범위를 보여준다. 연구대상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은 TaNb의 골, P와 Ti의 결핍과 저장력 원소들이 부화된 경향을 가지는 섭입형 혹은 호상형과 유사한 지화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연구지역 트라이아스기 심성암과 홍성지역의 주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인 화강암-섬장암은 대부분 칼륨 함량이 높은 고칼륨 캘크-알칼라인에서 쇼쇼나이트까지의 지구조 특징을 가진다. 이들 결과들은 중국의 북중국판과 남중국판의 트라이아스기 충돌이후 생성된 후충돌형 마그마 사건의 지구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홍성지역의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은 동북아시아의 지구조동력 역사 내 트라이아스기 봉합의 중요한 이해를 제공하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ongseong area of the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is considered to be part of suture zone that is tectonically correlated with the Qinling-Dabie-Sulu belt of China in terms of the preservation of collisional evidences during Triassic in age. The Wolhyeonri complex, preserved at the center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홍성지역 월현리 복합체 내 홍성-광천-청소지역에 산출되는 관입상 혹은 암주상의 트라이아스기 심성암류의 암석학적 기재, 지구화학 및 지질 연대 연구를 실시하여 생성시의 지구조 환경을 유추하였다. 또한 연구결과들을 지금까지 보고된 홍성지역의 후충돌형 트라이아스기 후기 화강암류의 지구조 환경(Choi et al.
  • 이 논문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기본사업인 ‘서부 경기지괴 지구조 진화 및 지질정보 구축’ 과제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월현리복합체와 홍성 지역의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인 화강암-섬장암의 특징은? 연구대상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은 TaNb의 골, P와 Ti의 결핍과 저장력 원소들이 부화된 경향을 가지는 섭입형 혹은 호상형과 유사한 지화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연구지역 트라이아스기 심성암과 홍성지역의 주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인 화강암-섬장암은 대부분 칼륨 함량이 높은 고칼륨 캘크-알칼라인에서 쇼쇼나이트까지의 지구조 특징을 가진다. 이들 결과들은 중국의 북중국판과 남중국판의 트라이아스기 충돌이후 생성된 후충돌형 마그마 사건의 지구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한다.
월현리복합체의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은 무엇과 유사한 특징을 보여주는가? 연구지역 심성암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결과는 237 Ma부터 222 Ma의 범위를 보여준다. 연구대상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은 TaNb의 골, P와 Ti의 결핍과 저장력 원소들이 부화된 경향을 가지는 섭입형 혹은 호상형과 유사한 지화학적 특징을 보여준다. 연구지역 트라이아스기 심성암과 홍성지역의 주 트라이아스기 심성암인 화강암-섬장암은 대부분 칼륨 함량이 높은 고칼륨 캘크-알칼라인에서 쇼쇼나이트까지의 지구조 특징을 가진다.
월현리복합체의 주 암상은? 이 지역은 트라이아스기 중기에서 말기까지의 암맥상 혹은 암주상의 다양한 관입암이 분포한다. 주 암상은 몬조니암과 반화강암으로 구성되며 부수적으로 소규모 암주상의 몬조섬록암, 섬장암과 섬록암 등이 산출된다. 연구지역 심성암에 대한 SHRIMP U-Pb 저어콘 연대결과는 237 Ma부터 222 Ma의 범위를 보여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Cheng, C.-S. and Kim, N. (2012). Review of radiometric ages for Phanerozoic granitoids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Jour. Petrol. Soc. Korea, v.21, p.173-192. 

  2. Cho, D.-L., Lee, S.R. and Armstrong, R. (2008). Termination of the Permo-Triassic Songrim (Indosinian) orogeny in the Ogcheon belt, South Korea: Occurrence of ca. 220 Ma post-orogenic alkali granites and their tectonic implications. Lithos, v.105, p.191-200. 

  3. Cho, M., Kim, Y. and Ahn, J. (2007) Metamorphic evolution of the Imjingang Belt, Korea: Implications for Permo-Triassic collisional orogeny. Int. Geol. Rev., v.49, p.30-51. 

  4. Choi, S.J., Kee, W.S., Koh, H.J., Kwon, C.W., Kim, B.C., Kim, S.W., Kim, Y.B., Khim, Y.H., Kim, H.C., Park, S.- I., Song, K.Y., Yeon, Y.K., Lee, S.R., Lee, S.S., Lee, S.R., Lee, Y.S., Lee, H.J., Cho, D.R., Choi, B.Y., Han, J.K., Hyeon, H.J., Hwang, J.H. and Lee, J.A. (2012) Tectonic evolution of the western Gyeonggi Block and construction of geologic DB system. Basic Research Report of the Korea Inst. Geosci. Mineral Res., 420p. 

  5. Cohen, K.M., Finney, S. and Gibbard, P.L. (2013) Interaltional Chronostratigraphic Chart. 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of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logical Sciences. 

  6. Choi, S.G., Rajesh, V.J., Seo, J., Park, J.W., Oh, C.W., Pak, S.J. and Kim, S.W. (2009) Petrology, geochronology and tectonic implications of Mesozoic high Ba $^{\circ}{\copyright}$ Sr granites in the Haemi area, Hongseong Belt, South Korea. Isl. Arc, v.18, p.266-281. 

  7. Chough, S.K., Kwon, S.-T., Ree, J.-H. and Choi, D.K. (2000) Tectonic and sedimentary evolu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 review and new view. Earth Sci. Rev., v.52, p.175-235. 

  8. Harris, N.B.W., Perce, J.A. and Tindle, A.G. (1986)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ollision-zone magmatism. In: Coward, M.P., Reis, A.C. (Eds.), Collision Tectonics. Blackwell, Oxford. 

  9. Kee, W.S., Koh, H.J., Kim, S.W., Kim, Y.B., Khim, Y.H., Kim, H.C., Park, S.-I., Song, K.Y., Lee, S.R., Lee, Y.S., Lee, H.J., Cho, D.R., Choi, B.Y., Choi, S.J. and Hwang, J.H. (2011) Tectonic evolution of the upper crustal units in the mid-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Basic Research Report of the Korea Inst. Geosci. Mineral Res., 242p. 

  10. Kihm, Y.H. and Hwang, J.H. (2011) Geological report of the Gangneung-Jumunjin sheets (1:50,000). Daejon, Korea Inst. Geosci. Mineral Res., 62p. 

  11. Kim, J.H. (1996) Mesozoic tectonics in Korea. Jour. Southeast Asian Earth Sci., v.13, p.251-265. 

  12. Kim H.S. (2012) Metamorphic and deformation of the Late Paleozoic Pyeongan Supergroup in the Taebaeksan Basin: reviews on the Permo-Triassic Songrim orogeny. Jour. Petrol. Soc. Korea, v.21, p.151-171. 

  13. Kim, J., Yi, K., Jeong, Y.-J. and Cheong, C.-S. (2011) Geochronological and geochemical constraints on the petrogenesis of Mesozoic high-K granitoids in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earch v.20, p.608-620. 

  14. Kim, S.W. and Kee, W.-S. (2010) Geochronology and ge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etavolcanics from the Wolhyeonri tectonic complex in the Hongseong area, SW Gyeonggi Massif. Jour. Geol. Soc. Korea, v.46, p.453-471. 

  15. Kim, S.W. and Koh, H.J. (2010) Petrochemistry of garnetbearing metabasite in marble at Shinri area in Hongseong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Jour. Petrol. Soc. Korea, v.19, p.209-225. 

  16. Kim, S.W., Kwon, S., Koh, H.J., Yi, K., Jeong, Y. and Santosh, M. (2011) Geotectonic framework of Permo-Triassic magmatism within the Korean Peninsula. Gondwana Res., v.20, p.865-889. 

  17. Kim, S.W., Oh, C.W., Williams, I.S., Rubbato, D., Ryu, I.- C., Rajesh, V.J., Kim, C.-B., Guo, J. and Zhai, M. (2006) Phanerozoic high-pressure eclogite and intermediate- pressure granulite facies metamorphism in the Gyeonggi block,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eastward extension of the Dabie-Sulu continental collision zone. Lithos, v.92, p.357-377. 

  18. Kim, Y.B., Choi, S.J., Chwae, U. and Kim, Y.J. (2012) Geological report of the Gimje sheet (1:50,000). Daejon, Korea Inst. Geosci. Mineral Res., 32p. 

  19. Kwon, S., Kim, S.W. and Santosh, M. (2013) Multiple generations of mafic-ultramafic rocks from the Hongseong suture zone, western South Korea: Implications for the geodynamic evolution of NE Asia. Lithos, v.160-161, p.68-83. 

  20. Kwon, S., Sajeev, K., Mitra, G., Park, Y., Kim, S.W. and Ryu, I.-C. (2009) Evidence for Permo-Triassic collision in Far East Asia: The Korean collisional orogen. Earth Planet. Sci. Lett., v.279, p.340-349. 

  21. Lee, B.J., Kim, Y.B. and Kee, W.S. (2006) Geological report of the Gisan sheet (1:50,000). Daejon, Korea Inst. Geosci. Mineral Res., 39p. 

  22. Lee, S.H. and Kim. S.S. (1963) Explanatory text of the Geological map of Hong Song Sheet. Geol. Sur. Korea, 33p. 

  23. Ludwig, K.R. (2008) User's manual for Isoplot 3.6: a geochronological toolkit for Microsoft Excel. Berkeley, CA,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v.4, 77p. 

  24. Ludwig, K.R. (2009) SQUID 2: a user's manual. Berkeley, CA, Berkeley Geochronology Center Special Publication, n.2, 100p. 

  25. Oh, C.W. (2012) The Tectonic evolution of South Korea and northeast Asia from Paleoproterozoic to Triassic. Jour. Petrol. Soc. Korea, v.21, p.99-114. 

  26. Oh, C.W., Kim, S.W., Choi, S.G., Zhai, M., Guo, J. and Sajeev, K. (2005) First finding of eclogite facies metamorphic event in South Korea and its correlation with the Dabie-Sulu collision belt in China. Jour. Geol., v.113, p.226-232. 

  27. Oh, C.W. and Kusky, T.M. (2007) The late Permian to Triassic Hongseong-Odesan collision belt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correlation with China and Japan. Int. Geol. Rev., v.49, p.636-657. 

  28. Pearce, J.A. (1996) Sources and settings of granitic rocks. Episodes, v.19, p.120-125. 

  29. Pearce, J.A., Harris, N.B.W. and Tindle, A.G. (1984) Trace element discrimination diagrams for the tectonic interpretation of granitic rocks. Jour. Petrol., v.25, p.956-983. 

  30. Peng, P., Zhai, M., Guo, J., Zhang, H. and Zhang, Y. (2008) Petrogenesis of Triassic postcollisional syenite plutons in the Sino-Korean craton: an example from North Korea. Geol. Mag., v.145, p.637-647. 

  31. Sagong, H., Kwon, S.-T. and Ree, J.-H. (2005) Mesozoic episodic magmatism in South Korea and its tectonic implication. Tectonics, v.24. doi:10.1029/2004TC001720. 

  32. Song, K.Y., Park, S.-I. and Cho, D.-L. (2011) Geological report of the Sokcho-Yangyang sheet (1:50,000). Daejon, Korea Inst. Geosci. Mineral Res., 68p. 

  33. Seo, J., Choi, S.-G. and Oh, C.W. (2010) Petrology, geochemistry, and geochronology of the post-collisional Triassic mangerite and syenite in the Gwangcheon area, Hongseong Belt, South Korea. Gondwana Res., v.18, p.479-496. 

  34. Seo, J., Choi, S.G., Oh, C.W., Kim, S.W. and Song, S.H. (2005) Genetic implications of two different ultramafic rocks from Hongseong area in the southwestern Gyeonggi Massif, South Korea. Gondwana Res., v.8, p.539-552. 

  35. Steiger, R. and Jger, E. (1977) Subcommission of geochronology: convention on the use of decay constants in geo- and cosmo-chronology. Earth Planet. Sci. Lett., v.36, p.359-362. 

  36. Streckeisen, A.L. (1976) To each plutonic rock its proper name. Earth Sci. Rev., v.12, p.1-33. 

  37. Sun, S.S. and McDonough, W.F, (1989) Chemical and isotopic systematics of oceanic basalt: implications for mantle composition and process. In: Saunders, A.D., Norry, M.J. (Eds), Magmatism in the Ocean Basins. Geol. Soc. London. Special Publ., v.42, p.313-345. 

  38. Williams, I.S., 1998. U-Th-Pb geochronology by ion microprobe. In: McKibben, M.A., Shanks, W.C.III., Ridley, W.L.(eds.), Applications of Microanalytical Techniques to Understanding Mineralizing Processes. Society of Economic Geologists, Socorro, Rev. Econ. Geol., 7, 1-35. 

  39. Williams, I. S., Cho, D.-L. and Kim, S. W. (2009) Geochronology, and geochemical and Nd-Sr isotopic characteristics, of Triassic plutonic rocks in the Gyeonggi Massif, South Korea: Constraints on Triassic post-collisional magmatism. Lithos, v.107, p.239-256. 

  40. Yang, J.-H., Chung, S.-L., Wilde, S.A., Wu, F.-Y., Chu, M.- F., Lo, Q.-H. and Fan, H.-R. (2005) Petrogenesisof post-orogenic syenites in the Sulu Orogenic Belt, East China: geochronological, geochemical and Nd-Sr isotopic evidence. Chem. Geol., v.214, p.99-125. 

  41. Zhai, M., Guo, J., Li, Z., Chen, D., Peng, P., Li, T., Hou, Q. and Fan, Q. (2007) Linking the Sulu UHP belt to the Korean Peninsula: evidence from eclogite, Precambrian basement, and Paleozoic sedimentary basins. Gondwana Res., v.12, p.388-403. 

  42. Zhao, Z.-F., Zheng, Y.-F., Zhang, J., Dai, L.-Q., Li, Q, and Liu, X. (2012) Syn-exhumation magmatism during continental collision: Evidence from alkaline intrusives of Triassic age in the Sulu orogen. Chem. Geol., v.328, p.70-8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