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면 린터 펄프 종류에 따른 고해적성 평가
Evaluation of Beatability of Two Kinds of Cotton Linter Pulps 원문보기

펄프 종이기술 = Journal of Korea TAPPI, v.45 no.5 = no.154, 2013년, pp.56 - 63  

신현식 (한국조폐공사) ,  박종문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임산공학과) ,  이진호 (주) 케미라) ,  김정중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임산공학과) ,  길정하 (한국조폐공사)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paper mill applicability of two kinds of cotton pulps which have different initial freeness, fiber length and intrinsic fiber strength were investigated. Basic properties such as CED viscosity, fiber length, and crystallinity of major two kinds of cotton pulps were analyzed, and bea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이들 섬유재료는 원산지, 가공과정 등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생산현장에서 요구하는 최적의 제지적성 발현을 위한 고해공정에서 고해가 어렵고 목적 고해조건 도달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탈수와 치수불량 등 제지적성이 저하되어 현재 제지공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제지공정 시설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기술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실험 단계로 주요 2가지 면 린터섬유에 대한 고해특성과 수초지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재 제지공정에서 원산지와 가공방식이 다른 2가지 린터 면 섬유의 사용에 있어, 특히 초기고해도가 높고 섬유길이가 길고, 섬유자체 점도가 높은 섬유특성으로 고해공정에서 기존 C린터섬유보다 U린터섬유는 고해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섬유순응성과 초지기상 탈수저하 등으로 인한 고해효율성과 품질균일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기초연구단계로 2가지 면 린터섬유를 일반적인 고해하중 5.6 kgf로 고해를 실시하여 고해특성을 분석하고 수초지를 제조하여 물리적 성질을 평가하여 새로운 고해방식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섬유재료의 제지공정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무엇인가? 그러므로 균일한 품질의 종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원료로 사용하고 있는 펄프섬유 조건이 고해 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이들 섬유재료는 원산지, 가공과정 등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생산현장에서 요구하는 최적의 제지적성 발현을 위한 고해공정에서 고해가 어렵고 목적 고해조건 도달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탈수와 치수불량 등 제지적성이 저하되어 현재 제지공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제지공정 시설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에 대한 기술적인 해결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실험 단계로 주요 2가지 면 린터섬유에 대한 고해특성과 수초지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평가하고자 하였다.
균일한 품질의 종이를 제조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신중히 고려 되어야 하는 사항은 무엇인가? 20세기 초 Dunbar1)는 제지공정에서 고해나 리파이닝의 운영만큼 깊은 주의나 경험적 판단을 요구하는 공정은 없다고 하며 실제 “종이가 만들어지는 곳은 고해기”라고 그 중요성을 역설하였고, Yoon2)은 제지용 원료펄프 섬유는 그것이 얻어진 식물학적 기원이나 산지 또는 섬유화 방식과 처리공정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나타낼 수 있는데 원료섬유별 특성에 따라 최적의 고해효율을 위한 고해방법에 더욱 신중을 기하여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므로 균일한 품질의 종이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원료로 사용하고 있는 펄프섬유 조건이 고해 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특히 이들 섬유재료는 원산지, 가공과정 등에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생산현장에서 요구하는 최적의 제지적성 발현을 위한 고해공정에서 고해가 어렵고 목적 고해조건 도달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탈수와 치수불량 등 제지적성이 저하되어 현재 제지공정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새로운 면 린터섬유의 한계점은 무엇인가? 면 린터섬유(cotton linters)는 일반 목재섬유(wood pulp) 와 마찬가지로 원료섬유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그 사용량이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 제지공정에 사용되는 C린터섬유의 경우 다년간의 축적된 고해기술로 고해적성이 상당히 안정되었으나, 섬유자체의 강도가 높고, 초기 고해도가 높으며, 섬유길이가 장섬유화 경향을 나타내는 새로운 U린터섬유는 고해시간이 과다 소요되고 초지적성이 저하되는 등 기존 고해방식에 쉽게 순응하지 못하는 중대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Clark, J. d'A., Pulp Technology and Treatment for Paper. 2nd Ed., Miller Freeman Publication. Inc., San Francisco, p.277 (1985). 

  2. Yoon, S. H., The separated system for cotton staple and linter fibers: refining efficiency and paper properties, Journal of Korea TAPPI 35(4):8-16 (2003). 

  3. Landt, G. E., and Rulon, S. A., New interpretations of structural aspects of the paper sheet, Paper Trade J. 111(4):32-36 (1940). 

  4. Bialkowisky, H. W., Paper Trade J. 111(11):53 (1930). 

  5. Jayme, G., Papier-Fabr. 40, p.137 (1954). 

  6. Clark, J. D., Effect of fiber coarseness and length: bulk, burst, tear, fold and tensile tester, Tappi. J. 45(8):628-634 (1962). 

  7. Gurnagul, N., Page, D. H., Seth, R. S., Dry sheet properties of Canadian hardwood kraft pulps, J. Pulp Paper Sci. 16(1):J36-41 (1990). 

  8. Won, J. M., Changes of paper properties depending on fiber properties and stock preparation process: Principles of inter-fiber bonding, The 31st Regular Education for Papermaking Engineers, Korea TAPPI, pp. 193-202 (2011). 

  9. Seth, R. S., Importance of fiber coarseness for pulp properties, 77th CPPA Annual Meeting Preprints, Vol. B, p.251 (1991). 

  10. Colin Baker., Refining Technology, Published by Pira International Ltd. p.90 (2000). 

  11. Newell S. J., Preparation of Stock for Paper Making. Vol. 2, McGraw-Hill Book Company, Inc. pp.188-189 (195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