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행위 및 주관적 구강증상이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health behaviors and perceived oral symptoms o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5, 2013년, pp.787 - 795  

원영순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박소영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예방치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sible influences of health behaviors and oral symptoms on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 programs. Methods : Subjects were 274 nursing home workers in Jeollabukdo, Korea.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연구대상자의 건강행위 및 주관적 구강증상이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대중화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전라북도 소재 노인요양병원 근로자 274명을 대상으로 개별 자기기입법에 의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요양병원 소속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건강행위 및 구강증상에 따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의 차이를 검토하고, 건강행위 및 구강증상이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근로자의 건강행위와 구강증상은 전신질환의 유발에도 일부분 영향을 줄 수 있기에 구강건강의 인지여부에 따라 전신 및 구강건강행위에 미치는 영향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소재 노인요양병원 근로자들의 건강행위 및 구강증상이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직장에서 실행할수 있는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근로자의 구강건강증진에 도움이 되는 구강보건사업 및 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 장 등27)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양호할수록 구강질환의 경험률이 낮다고 하였고, 이 등28)은 우리나라 산업장노동자 중 상당수가 구강병 자각증상이 있음에도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지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이러한 현실적 여건을 생각하여 근로자의 구강건강상태를 증진시키기 위한 구강증상을 우선적으로 파악하여 산업장 구강보건교육과 구강건강예방사업의 계획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건강행위 및 주관적 구강증상이 주관적 구강건강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본 연구는 근로자 구강보건사업의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근로자들의 구강건강을 증진·유지시키기 위해서 음주와 흡연행위의 유해성을 알리는 교육과 건강한 운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홍보활동과 보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건강은 무엇과 관련되어 있는가? 오늘날에는 건강의 개념이 총체적인 생활개념으로 파악되고 있고 건강의 필수적 요소를 구강건강을 포함하여 보게되었으며, 구강건강은 건강의 필수적 요소이므로 구강건강이 확보되지 않고는 건강하다고 볼 수 없다. 구강건강은 전신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강건강이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하는 국민건강생활지침에서도 식사 후에는 이를 닦도록 함으로써 구강건강이 건강의 필수요소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1). 또한 삶의 질을 추구함에 있어 구강건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다.
건강행위 및 주관적 구강증상이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1. 연구대상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이 좋다고 인식하는 대상자는 84명(30.7%)이었으며, 나쁘다고 인식하는 대상자는 49명(17.9%)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건강행위가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음주와 흡연을 적게 할수록, 운동을 많이 할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연구대상자의 구강증상이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치주질환증상과 치아우식증상이 없다고 느낄수록, 치아동통과 식편압입이 적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강건강은 어떠한 요소인가? 오늘날에는 건강의 개념이 총체적인 생활개념으로 파악되고 있고 건강의 필수적 요소를 구강건강을 포함하여 보게되었으며, 구강건강은 건강의 필수적 요소이므로 구강건강이 확보되지 않고는 건강하다고 볼 수 없다. 구강건강은 전신건강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 건강한 삶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구강건강이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 보건복지부에서 제시하는 국민건강생활지침에서도 식사 후에는 이를 닦도록 함으로써 구강건강이 건강의 필수요소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Oral health develop teaching materials Committee. Public oral health. 2nd ed. Seoul: Komoonsa; 2010: 5-8. 

  2. Mendonca HL, Szwarcwald CL, Damacena GN. Self-rated oral health: results of the World Health Survey-Primary Care in four municipalities in Rio de Janeiro State, Brazil, 2005. Cad Saude Publica 2012; 28(10): 1927-38. http://dx.doi.org/10.1590/S0102-311X2012001000011. 

  3. Matthias RE, Atchison KA, Lubben JE, De Jong F, Schweitzer SO. Factors affecting self-ratings of oral health. J Public Health Dent 1995; 55: 197-204. http://dx.doi.org/10.1111/j.1752-7325.1995.tb02370. 

  4. Wilson IR, Cleary PD. Linking clinical variables with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 conceptual model of patient outcomes. J Am Med Assoc 1995; 273(1): 59-65. http://dx.doi.org/10.1001/jama.1995.03520250075037. 

  5. Willits FK, Crider DM. Health rating and life satisfaction in later middle years. J Gerontol 1988; 43(5): 172-6. 

  6. An IS.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haviors and oral health status of male workers in small and medium enterprises[Doctoral dissertation]. Daegu: Univ. of Yeungnam, 2009. 

  7. Kwon SJ, Kang JH, Kim NJ, Kim RJ, Kim SY, Kim SI, et al.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behaviors with smoking, drinking situations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of university students. J Dent Hyg Sci 2012; 12(2): 145-53. 

  8. Kim HJ, Park CM, Woo KH, Lee ES, Lee JR, Ha EK. A study on oral health status and factors related with oral health among industrial workers. J Korean Public Health Assoc 2002; 28(2): 158-67. 

  9. Ku IY, Kim HG.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ers` health behaviorals, oral health behavioral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periodontal disease status. J Korean Soc Dent Hyg 2012; 12(3): 597-609. 

  10. Kim NH, Kim HD, Han DH, Jin BH, Paik DI.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al symptoms and perceived oral health status among the elderly in welfare institutions in Seoul.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6; 30(2): 141-50. 

  11. Moon SJ.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state of industrial workers' oral health based on the workers' subjective perception[Doctoral dissertation]. Iksan: Univ. of Wonkwang, 2009. 

  12. Kim SJ, Lee BJ. A association between self-reported oral health and oral health status among Korean male soldiers aged 18-24.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2; 36(4): 282-8. http://dx.doi.org/10.11149/jkaoh.2012.36.4.282. 

  13. Lee HS.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 oral health and perceived oral symptoms among adults in Daegu. J Korean Soc Dent Hyg 2010; 10(4): 671-81. 

  14. Locker D, Matear D, Stephens M, Lawrence H, Payne B. Comparison of the GOHAI and OHIP-14 as measures of the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1; 29(5): 373-81. 

  15. Cho NI, Park SY, Lee HS, Oh HW.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nursing home employees in Seoul, Korea. J Korean Acad Oral Health 2013; 37(1): 16-24. http://dx.doi.org/10.11149/jkaoh.2013.37.1.16. 

  16. Choi MH, Oh HW, Lee HS.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worker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9; 33(4): 552-63. 

  17. Lee DJ, Han KY, Park BS. The effect of drinking alcohol on the permeability of gingival sulcular epithelium. J Periodontal Implant Sci 1988; 18(2): 368. 

  18. Dietrich T, Maserejian NN, Joshipura KJ, Krall EA, Garcia RI. Tobacco use and incidence of tooth loss among US male health professionals. J Dent Res 2007; 86(4): 373-7. http://dx.doi.org/10.1177/154405910708600414. 

  19. Haber J, Wattles J, Crowley M, Mandell R, Joshipura K, Kent R. Evidence for cigarette smoking as a major risk factor for periodontitis. J Periodontol 1993; 64(1): 16-23. http://dx.doi.org/10.1902/jop.1993.64.1.16. 

  20. Linden GJ, Mullally BH. Cigarette smoking and periodontal destruction in young adults. J Periodontol 1994; 65: 718-23. http://dx.doi.org/10.1902/jop.1994.65.7.718 

  21. Yoon JS, Kim JB, Paik DI, Moon HS. The effect of cigarette smoking, drinking and frequency of daily toothbrushing on periodontal status in workers. J Korean Acad Dent Health 2002; 26(2): 197-207. 

  22. Song KH, Cho SJ.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periodontal diseases, obesity and health risk factors. J Kor Acad Dent Hyg 2011; 13(1): 47-60. 

  23. Koong HS, Kim DY, Kim MY, Kim SJ, Kim SH, Kim EH, et al. For dental hygienist periodontology. Seoul: Komoonsa; 2011: 52-60. 

  24. Kim JS, Lee JD, Jung HK.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ealth condition and eating habit. J Korean Acad Dent Tech 2007; 29(1): 103-19. 

  25. Choi HJ, Lee EO, Kim BW, Kim IJ.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J Korean Adult Nur 2004; 16(2): 191-201. 

  26. Pohjonen T, Ranta R. Effects of worksite physical exercise intervention on physical fitness, perceived health status, and work ability among home care workers: five-year follow-up. Prev Med 2001; 32(6): 465-75. http://dx.doi.org/10.1006/pmed.2001.0837. 

  27. Chang BJ, Kim JY, Song KB, Kam S, Lee SK. Dental care utilization patterns and its related factors of the rural residents. Kor J of Rural Med 2003; 28(2): 171-82. 

  28. Lee TH, Na SJ, Kim JB.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s for oral health among industrial employees. J Korean Acad Dent Health 1997; 21(2): 279-3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