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계열 MODIS 영상자료를 이용한 산림의 연간 탄소 흡수량 지도 작성
Mapping and estimating forest carbon absorption using time-series MODIS imagery in South Kore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9 no.5, 2013년, pp.517 - 525  

차수영 (서울대학교 아시아에너지지속가능발전연구소) ,  피웅환 (삼성종합기술원) ,  박종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매일 단위로 수신되는 MODIS 인공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한 시계열 식생지수 자료는 1년 주기의 생물계절 특성을 나타내는 복잡한 파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잡한 파형도 단순한 파형의 합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산 퓨리에 변환 분석 기법은 이들을 각각의 하모닉들로 추출해 내어 다양한 주기별로 생육을 달리하는 식생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특히 이산 퓨리에 분석을 통해 도출된 시계열 식생지수 자료의 1차 하모닉 값은 1년 동안 변화하는 총 잎의 생장량을 나타내는 것으로써 나무의 상대성장회귀식 추정에 의해 식생이 1년 동안 탄소를 흡수한 양을 나타내는 지상부 바이오매스양을 설명한다. 따라서 1차 하모닉 값의 변화량은 1년 동안 식생이 탄소를 흡수하는 양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는데, 시계열 MODIS 자료에서 추출된 6220여개의 표본들의 1차 하모닉 10년 평균값과 산림청의 입목 축적량 데이터를 통해 추정된 연간 단위면적당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이용하여 수종별 비례상수를 도출할 수 있었다. 남한 산림지역에 한하여 총 이산화탄소 흡수량은 2000년 이후 10년 평균 약 5천6백만톤으로 계산되었고 이것은 발표된 남한 산림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에 근접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보편적 비례상수를 이용하여 식생의 연간 탄소 흡수량을 추정함으로써 시계열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매년 변화하는 산림의 이산화탄소 흡수량 지도를 반복하여 정량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환경공간정보를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ime-series data of Normal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obtained by the Moderate-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MODIS) satellite imagery gives a waveform that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enology. The waveform can be decomposed into harmonics of various periods by the Fourier 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이산 퓨리에 변환 분석의 하모닉 기법을 매일 단위로 획득되는 시계열 MODIS 위성영상 식생지수 자료를 이용하여 매년 변화하는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추정하여 남한 산림의 연간 이산화탄소 흡수량을 계산하고 탄소지도를 제작하는 할 수 있는 정량적인 기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VC기법이란? 이 자료는 매년 1월1일을 기준으로 16일 간격으로 제공되는데 16일 동안의 식생지수 값 중 가장 높은 값을 가장 정확한 값으로 보고 그 값을 취하는 Maximum Value Composite (MVC) 기법으로 처리되어 있다. MVC기법은 MODIS 자료와 같이 한반도 전체를 포함하고 매일 얻어지는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할 때 대기의 영향이나 구름과 그 그림자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구름 등의 기상상황 등에 의해 식생지수 값이 실제보다 낮게 산정된 것을 배제시키기 위함이다.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수목의 탄소량을 추정하는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현장 조사를 바탕으로 수목의 탄소량을 추정하는 방법은 크게 육상생태계의 현존량과 연간성장량을 활용한 임목성장모형을 이용하는 것과(Ohtsuka et al., 2007), 플럭스 타워관측에 의한 평가 그리고, 산림대 수목을 직접 벌채하여 추정하는 직접 측정방법 등이 있고 동시에, 산림의 수종별 탄소흡수량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하여 지상부 바이오매스를 정량화 하고 현장조사 자료와 통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Huiyan et al., 2006; Blackyard et al.
MODIS 식생지수 산출물(MOD13Q1) 자료는 어떤 기법으로 처리되어 있는가? 1일(Daily) 단위로 제공되는 MODIS 식생지수 산출물(MOD13Q1) 자료는 데이터의 에러를 제거하고 자료 처리 효율을 위하여 8일, 16일, 30일 등의 자료로 합성하여 제공하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16일 합성자료를 이용하였다. 이 자료는 매년 1월1일을 기준으로 16일 간격으로 제공되는데 16일 동안의 식생지수 값 중 가장 높은 값을 가장 정확한 값으로 보고 그 값을 취하는 Maximum Value Composite (MVC) 기법으로 처리되어 있다. MVC기법은 MODIS 자료와 같이 한반도 전체를 포함하고 매일 얻어지는 위성영상 자료를 이용할 때 대기의 영향이나 구름과 그 그림자로 인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lackard, J.A., M.V. Finco, E.H. Helmer, G.R. Holden, M.L. Hoppus, D.M. Jacobs, A.J. Lister, G.G. Moisen, M.D. Nelson, R. Riemann, B. Ruefenacht, D. Salajanu, D.L Weyermann, K.C. Winterberger, T.J. Brandeis, R.L. Czaplewski, R.E. McRoberts, P.L. Patterson, and R.P. Tymcio, 2008. Mapping U.S. forest biomass using nationwide forest inventory data and moderate resolution information,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1658-1677. 

  2. DeFries, R., F. Achard, S. Brown, M. Herold, D. Murdiyarso, B. Schlamadinger, and C. de Souza, 2007. Earth observations for estimating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deforestation in developing countries,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10(4):385-394. 

  3. Fuchs, H., P. Magdon, C. Kleinn, and H. Flessa, 2009. Estimating aboveground carbon in a catchment of the Siberian forest tundra: combining satellite imagery and field invento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3):518 -531. 

  4. Gibbs, H.K., S. Brown, J.O. Niles, and J.A. Foley, 2007. Monitoring and estimating tropical forest carbon stocks: making REDD a reality,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2(4): 045023. 

  5. Goetz S., A. Baccini, N. Laporte, T. Johns, W. Walker, J. Kellndorfer, R. A Houghton, and M. Sun, 2009. Mapping and monitoring carbon stocks with satellite observations: a comparison of methods, Carbon Balance and Management, 4(1):2. 

  6. Jakubauskas, M.E., D.R. Legates, and J.H. Kastens, 2002. Crop identification using harmonic analysis of time-series AVHRR NDVI data,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37(1):127-139. 

  7. Herold, M. and T. Johns, 2007. Linking requirements with capabilities for deforestation monitoring in the context of the UNFCCC-REDD process, 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 2(4): 045025. 

  8. Huiyan, G., D. Limin, W. Gang, X. Dong, W. Shunzhong, and W. Hui, 2006. Estimation of forest volumes by integrating Landsat TM imagery and forest inventory data, Science in China, Series E Technological Sciences, 49(I):54-62. 

  9. IPCC, 2003. Good Practice Guidance for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 Strategies. 

  10. Niels, A. and J. Sathaye, 2008. Reducing deforestation and trading emissions: Economic implications for the post-Kyoto carbon market, ZEW-Centre for European Economic Research Discussion Paper, 08-016. 

  11. Otsuka T., W. Mo, T. Satomura, M. Inatomi, and H. Koizumi, 2007. Biometric based carbon flux measurements and net ecosystem production (NEP) in a temperate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beneath a flux tower, Ecosystems, 10:324-334. 

  12. Patenaude G., R. Milne, and T.P. Dawson, 2005. Synthesis of remote sensing approaches for forest carbon estimation: reporting to the Kyoto Protocol, Environmental Science and Policy, 8(2): 161-178. 

  13. Rahman, M.M., E. Csaplovics, and B. Koch, 2008. Satellite estimation of forest carbon using regression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9(23): 6917-6936. 

  14. Reed, B.C., J.F. Brown, D. VanderZee, T.R. Loveland, J.W. Merchant, and D.O. Ohlen, 1994. Measuring phonological variability from satellite imagery, Journal of Vegetation Science, 5(5): 703-714. 

  15. Smith, B., W. Knorr, J.L. Widlowski, B. Pinty, and N. Gobron, 2008. Combining remote sensing data with process modelling to monitor boreal conifer forest carbon balance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255(12): 3985-3994. 

  16. Son Y.M., K.H. Lee, and R.H. Kim, 2007.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in Korea, Journal of Korean Forestry Society, 96(4): 477-482. 

  17. Wulder, M.A., J.C. White, R.A. Fournier, J.E. Luther, and S. Magnussen, 2008. Spatially explicit large area biomass estimation: three approaches using forest inventory and remotely sensed imagery in a GIS, Sensors, 8:529-560. 

  18. Wylie, B.K., D.J. Meyer, L.L. Tieszen, and S.?Mannel, 2002. Satellite mapping of surface biophysical parameters at the biome scale over the North American grasslands - A case stud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79(2-3): 266-278. 

  19. Yim J.S., W.S. Han, J.H. Hwang, S.Y. Chung, H.K. Cho, and M.Y. Shin, 2009. Estimation of Forest Biomass based upon Satellite Data and National Forest Inventory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4): 311-320. 

  20. Ministry of Environment, 2007, http://egis.me.go.kr/ 

  21. Korea Forest Service, 2009, http://www.forest.go.kr/ 

  22. Korea Forest Service, 2010, http://www.klaw.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