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시기 Landsat TM 영상과 기계학습을 이용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 변화 분석
Change Analysis of Aboveground Forest Carbon Stocks According to the Land Cover Change Using Multi-Temporal Landsat TM Images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원문보기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18 no.4, 2015년, pp.81 - 99  

이정희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  임정호 (울산과학기술대학교 도시환경공학부) ,  김경민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  허준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가속되는 지구온난화로 인해 한반도 주변의 탄소순환에 대한 명확한 이해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산림은 이산화탄소의 주요 흡수원으로 지상 탄소량의 대부분을 저장하고 있어 이에 대한 추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국가산림자원조사의 표본점에서 측정되는 헥타르당 임목축적량을 활용하여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한다. 하지만 탄소저장량은 요약된 수치 형태로 발표하고 있어 탄소저장량의 공간적 분포를 파악하는 것이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변화가 빠르고 국가산림자원조사 표본점 배치가 부족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UNFCCC의 Approach 3와 Tier 3를 충족하는 격자 기반 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다. 토지피복변화 및 산림탄소저장량은 1991, 1992, 2010, 2011년에 취득된 Landsat 5 TM 영상과 고해상도 항공사진, 제 3차 및 제 5, 6차 국가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토지피복변화는 기계학습을 이용하여 변화된 토지피복과 변화되지 않은 토지피복 항목을 한 번에 분류하여 추정하였으며, 산림탄소저장량은 반사도, 밴드비율, 식생지수, 지형변수를 입력변수로 하여 기계학습을 통해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산림이 그대로 산림으로 유지되는 지역의 경우 33.23tonC/ha의 흡수를 하였으며 비산림이 산림으로 변한 지역의 경우 이보다 큰 36.83tonC/ha의 흡수가 진행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산림이 비산림으로 바뀐 경우에는 -7.35tonC/ha로, 배출이 일어난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 변화를 정량적으로 이해할 수 있었으며, 향후 효율적인 산림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cceleration of global warming has required better understanding of carbon cycles over local and regional areas such as the Korean peninsula. Since forests serve as a carbon sink, which stores a large amount of terrestrial carbon, there has been a demand to accurately estimate such forest carb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NFI기반 탄소 저장량 표본의 수가 많지 않은 경우에는 어떤 식으로 훈련/검증 자료를 나누느냐에 따라 결과가 다르게 나올 수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입력자료 변화에 따른 모델의 불확실성을 분석 하기 위해 무작위 샘플링을 통한 100개의 7대 3의 훈련 및 검증 자료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모델을 검증하였다. 검증 결과는 RMSE(Root Mean Square Error)와 RRMSE(Relative Root Mean Square Error)로 나타내었으며, 불확실성을 공간적으로 나타내어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결과에 따른 불확실성을 분석하였다.
  • 다중시기 LANDSAT 5 TM 자료와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분석 및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을 수행하였으며, 추정결과들을 바탕으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델의 불확실성을 분석하여 모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탄소배출 규제를 수립하기 위해 토지피복변화가 빠르고 국가 산림자원조사 표본점 배치가 부족한 도시지역인 대전/세종시를 대상으로 1991년~2011년 두 시기 동안 UNFCCC의 Tier 3와 Approach 3를 충족하는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격자 기반 산림 탄소저장량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는 토지피복변화분류, 산림탄소저장량 추정,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 분석, 모델 불확실성 분석의 순으로 진행되었다.
  • 기존 연구에서 다양한 기법으로 산림탄소저장량을 추정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을 정량적으로 살펴보았다. 토지피복변화가 빠르고 국가 산림자원조사 표본점 배치가 부족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의 Approach 3과 Tier 3을 충족하는 격자 기반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을 수행하고자 한다. 다중시기 LANDSAT 5 TM 자료와 현장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토지피복 분석 및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을 수행하였으며, 추정결과들을 바탕으로 토지피복변화에 따른 산림탄소저장량을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토지피복분류에 사용된 변수는 Landsat TM 반사도 자료와 NDVI(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식생지수, 고도(DEM, Digital Elevation Model), 경사, 향 자료이다. 고도자료로는 30m 공간해상도의 SRTM(Shuttle Radar Topography Mission)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지역에서 20년 동안 고도의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변화 범주를 동시에 분류할시 너무 다양한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면 오히려 오분류가 커질 수 있다는 가정에 따라 판독을 통해 각 시기를 대표할 수 있는 하나의 영상을 사용하였다.
  • 분류 후 비교법과 달리 변화분류법은 예상되지 않는 토지이용의 변화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모든 토지이용변화를 추출하거나 특정 항목의 변화가 발생한 지역이 매우 작아 훈련자료를 충분히 추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일부 변화항목에 대해 충분한 참조자료를 추출하지 못해 모든 참조자료를 훈련자료로 사용하였고, 정확도 평가도 동일한 훈련자료를 사용하여 정확도가 다소 증가한 것으로 생각되나 분류 후 비교법의 훈련 정확도와 검증 정확도 차이와 비슷한 정도의 차이를 보여준다고 가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VR이란 무엇인가? SVM과 SVR은 기계학습 알고리즘 중 원격 탐사 분야에서 비교적 최근에 많이 활용된 기법으로 특히 토지 및 식생 분류에서 적은 훈련 자료로도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고 있다(Foody and Mathur, 2006). SVR은 SVM의 회귀(regression) 형태로 종속변수가 범주형이 아니라 연속형인 경우이다. SVM은 훈련자료를 이용하여 클래스를 나누기에 최적인 초평면을 찾는 것에 기초하고 있으며, 커널함수를 통해원 자료를 고차원 평면으로 변화시켜 보다 쉽게 최적의 초평면을 찾는다.
기계학습의 단점은 무엇인가? 일부 기계학습의 경우에는 범주형 자료도 사용가능하며, 아주 적은 훈련자료로도 안정적인 결과를 보여주기도 한다. 하지만 많은 기계학습이 훈련자료의 구성에 민감하며, 경우에 따라 많은 훈련자료를 필요로 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변화분류와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을 위해 기계학습 알고리즘 중 SVM(Support Vector Machine), SVR(Support Vector Regression), RF(Random Forest)를 이용하였다.
SVM의 커널 함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어떤 커널 함수를 사용하는가가 SVM의 수행 능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SVM에서 커널함수가 유효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Mercer’s Theorem을 만족해야 한다. 많이 사용되고 있는 커널함수로는 선형, 다항식, 가우시안, 시그모이드(sigmoid), Radial Basis Function(RBF)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커널 함수들보다 안정적이고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RBF 커널함수(Xu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med, O.S., S.E. Franklin, M.A. Wulder and J.C. White. 2015. Characterizing stand-level forest canopy cover and height using landsat time series, samples of airborne LiDAR, and the random forest algorithm.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01:89-101. 

  2. Breiman, L.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45:5-32. 

  3. Chapelle, O., V. Vapnik, O. Bousquet and S. Mukherjee. 2002. Choosing multiple parameters for support vector machines. Machine Learning 46:131-159. 

  4. Crist, E.P. and R.C. Cicone. 1984. A physically-based transformation of thematic mapper data - the TM tasseled cap.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3:256-263. 

  5. Dube, T., O. Mutanga, A. Elhadi and R. Ismail. 2014. Intra-and-inter species biomass prediction in a plantation forest: testing the utility of high spatial resolution spaceborne multispectral Rapideye sensor and advanc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Sensors 14(8):15348-15370. 

  6. Erdody, T. and L.M. Moskal. 2010. Fusion of LiDAR and imagery for estimating forest canopy fuel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4:725-737. 

  7. Foody, G.M. and A. Mathur. 2006. The use of small training sets containing mixed pixels for accurate hard image classification: training on mixed spectral responses for classification by a SVM.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3(2):179-189. 

  8. Fuchs, H., P. Magdon, C. Kleinn and H. Flessa. 2009. Estimating aboveground carbon in a catchment of the Siberian forest tundra: combining satellite imagery and field invento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3:518-531. 

  9. Gleason, C.J. and J. Im. 2011. A review of remote sensing of forest biomass and biofuel: options for small area applications. GIScience and Remote Sensing 48(2):141-170. 

  10. Gleason, C.J. and J. Im. 2012. Forest biomass estimation from airborne lidar data using machine learning approach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25:80-91. 

  11. Goetz, S.J., A. Baccini, N.T. Laporte, T. Johns, W. Walker, J. Kellndorfer, R.A. Houghton and M. Sun. 2009. Mapping and monitoring carbon stocks with satellite observations: a comparison of methods. Carbon Balance Management 4(2):2-8. 

  12. Hastie, T., R. Tibshirani and J.H. Friedman. 2009.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 Data Mining, Inference, and Prediction. Springer, 552pp. 

  13. Huang, C.L. and C.J. Wang. 2006. A GA-based feature selection and parameters optimization for support vector machines.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1:231-240. 

  14. Im, J.S., W.S. Han, J.H. Hwang, S.Y. Jeong, H.K. Cho and M.Y. Shin. 2009. Forest biomass estimation using satellite images and NFI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5(4):311-320 (임종수, 한원성, 황주호, 정상영, 조현국, 신만용. 2009. 위성영상자료 및 국가 산림자원조사 자료를 이용한 산림 바이오매스추정. 대한원격탐사학회지 25(4):311-320). 

  15. Jung, J.H., J. Heo, S.H. Yoo, K.M. Kim and J.B. Lee. 2010. Estimation of aboveground biomass carbon stock in Danyang area using kNN algorithm and Landsat TM seasonal satellite imag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8(4):119-129 (정재훈, 허준, 유수홍, 김경민, 이정빈. 2010. kNN 알고리즘과 계절별 Landsat TM 위성영상을 이용한 단양군 지역의 지상부 바이오매스 탄소저장량 추정.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18(4):119-129). 

  16. Jung, J.H., K.H. Uen, J. Heo, K.M. Kim and J.H. Im. 2014. Aboveground forest biomass estimation using satellite images - comparison and analysis of k-nearest neighbor method and regression tree analysis method.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5):651-654 (정재훈, 우엔 콩 효, 허 준, 김경민, 임정호. 2014. 위성영상을 활용한 지상부 산림바이오매스 탄소량 추정-k- Nearest Neighbor 및 Regression Tree Analysis 방법의 비교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지 30(5):651-654). 

  17. Kattenborn, T., J. Maack, F. Fassnacht, F. Enssle, J. Ermert and B. Koch. 2015. Mapping forest biomass from space-Fusion of hyperspectral EO1-hyperion data and Tandem-X and WorldView-2 canopy height models.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35:359-367. 

  18. Keerthi, S.S. and C.J. Lin. 2003. Asymptotic behaviors of support vector machines with Gaussian kernel. Neural Computation 15:1667-1689. 

  19. Kim, C.K., and S.H. Do. 2008. Planning research for applying the new IPCC guideline of national greenhouse gases responding to the climatic change convention.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pp.1-170 (김찬규, 도승희. 2008. 기후변화협약 대응 국가온실가스 IPCC 신규 가이드라인 적용을 위한 기획연구.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1-170쪽). 

  20. Kim, K.M., J.B. Lee, E.S. Kim, H.J. Park, Y.H. Roh, S.H. Lee, K.H. Park and H.S. Shin. 2011. Overview of research trends in estimation of forest carbon stocks based on remote sensing and GI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4(3):236-256 (김경민, 이정빈, 김은숙, 박현주, 노영희, 이승호, 박기호, 신휴석. 2011. 원격탐사와 GIS 기반의 산림탄소저장량 추정에 관한 주요국 연구동향 개관.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4(3):236-256). 

  21. Kim, K.M., Y.H. Roh and E.S. Kim. 2014. Comparison of three kinds of methods on estimation of forest carbon stocks distribution using national forest inventory DB and forest type map.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7(4):69-85 (김경민, 노영희, 김은숙. 2014. 국가산림자원조사 DB와 임상도를 이용한 산림탄소저장량 공간분포 추정방법 비교.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7(4):69-85). 

  22. Latifi, H., F.E. Fassnachtb, F. Hartig, C. Berger, J. Hernandez, P. Corvalan and B. Koch. 2015. Stratified aboveground forest biomass estimation by remote sensing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38:229-241. 

  23. Li, M., J. Im, L.J. Quackenbush and T. Liu. 2014. Forest biomass and carbon stock quantification using airborne lidar data: a case study over huntington wildlife forest in the Adirondack park.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IEEE 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 7(7):3143-3156. 

  24. Markham, B.L. and J.L. Barker. 1987. Radiometric properties of US processed Landsat MSS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22(1):39-71. 

  25. Muukkonen, P. and J. Heiskanen. 2007. Biomass estimation over a large area based on standwise forest inventory data and ASTER and MODIS satellite data: a possibility to verify carbon inventories.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07(4):617-624. 

  26. Neumann, M., S.S. Saatchi, L.M. Ulander and J.E. Fransson. 2012. Assessing performance of L-and P-band polarimetric interferometric SAR data in estimating boreal forest above-ground biomass. IEEE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50(3):714-726. 

  27. Park, H.J., H.S. Shin, Y.H. Roh, K.M. Kim and K.H. Park. 2012. Estimating forest carbon stocks in Danyang using kriging methods for aboveground biomas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1):16-33 (박현주, 신휴석, 노영희, 김경민, 박기호. 2012. 크리깅기법을 이용한 단양군의 산림 탄소저장량 추정-지상부 바이오매스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5(1):16-33). 

  28. Popescu, S.C., R.H. Wynne and J.A. Scrivani. 2004. Fusion of smallfootprint LiDAR and multispectral data to estimate plot-level volume and biomass in deciduous and pine forests in Virginia, USA. Forest Science 50(4):551-565. 

  29. Ramedani, Z., M. Omid, A. Keyhani, S. Shamshirband and B. Khoshnevisan. 2014. Potential of radial basis function based support vector regression for global solar radiation prediction. 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39:1005-1011. 

  30. Refsgaard, J.C., J.P. Sluijs, A.L. Hojberg and P.A. Vanrolleghem. 2007. Uncertainty in the environmental modeling process - a framework and guidance. Environmental Modeling & Software 22:1543-1556. 

  31. Shevade, S.K., S.S. Keerthi, C. Bhattacharyya and K.R.K. Murthy. 2000. Improvements to the SMO algorithm for SVM regression. IEEE Neural Networks 11:1188-1193. 

  32. Wulder, M.A., J.C. White, R.A. Fournier, J.E. Luther and S. Magnussen. 2008. Spatially explicit large area biomass estimation: three approaches using forest inventory and remotely sensed imagery in a GIS. Sensors 8:529-560. 

  33. Xu, C., F. Dai, X. Xu, and Y.H. Lee. 2012. GIS-based support vector machine modeling of earthquake-triggered landslide susceptibility in the Jianjiang river watershed, China. Geomorphology 145:70-80. 

  34. Yu, X., J. Hyyppa, M. Vastaranta, M. Holopainen and R. Viitala. 2011. Predicting individual tree attributes from airborne laser point clouds based on the random forests technique.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66(1):28-37. 

  35. Zhang, J., S. Huang, E.H. Hogg, V. Lieffers, Y. Qin and F. He. 2014. Estimating spatial variation in Alberta forest biomass from a combination of forest inventory and remote sensing data. Biogeosciences 11(10):2793-280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