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개념과 효과적으로 공간빅데이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3V(volume, variety, velocity)로 정의되고 있는 빅데이터를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빅데이터로 진화시키는 기반이라 할 수 있다. 공간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는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으로 추진되어야 하며, 공간빅데이터체계는 국가공간정보기반, 융합플랫폼, 서비스제공자, 생산요소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공간빅데이터체계의 구성요소는 인프라(하드웨어), 기술(소프트웨어), 공간빅데이터(데이터), 인력, 법 제도 등이며,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을 위한 목표로 공간기반 정책수립 지원, 공간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산업활성화, 공간 빅데이터 융합기반 조성, 공간관련 사회현안의 적극적 해결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목표에 대한 추진전략은 범정부적 협력체계 구축, 신산업 창출 및 활용 활성화, 성과활용 중심의 공간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공간빅데이터 관련 기술경쟁력 확보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concept of spatial big data and effective ways to build a spatial big data system are presented. Big Data is defined as 3V(volume, variety, velocity). Spatial big data is the basis for evolution from 3V's big data to 6V's big data(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공간빅데이터체계는 다양한 정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민간에 다양한 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공간빅데이터체계에서 생성한 다양한 융합정보 및 공간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를 개발하여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공간빅데이터체계는 민간 및 공공에 새로운 생산요소를 제공한다.
  • 공간정보 오픈플랫폼은 다양한 기관이 분산적으로 생산하는 공간정보를 수집하여 민간에 공개하고 민간 참여를 위한 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상지도, 3차원 건물 및 지형, 행정경계 및 교통시설, 지적도관련정보, 배경지도 및 시설명칭 등 각종 공간 정보의 민간 제공 및 참여체계를 구현하였다[8].
  • 넷째, ‘공간관련 사회현안 적극적 해결’은 공간요소를 고려한 사회현안의 탐지·분석기술 활용을 통해 공간빅데이터를 생성·가공·활용함으로써 공간과 관련을 맺고 있는 사회 현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둘째, ‘공간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산업 활성화’는 공간빅데이터 플랫폼을 통해 생성한 공간빅데이터의 공공부문 선제적 활용으로 공간빅데이터 시장을 새로이 창조하고 이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산업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러한 기본방향을 토대로 공간빅데이터체계의 구성요소를 인프라(하드웨어), 기술(소프트웨어), 공간빅데이터(데이터), 인력, 법‧제도로 설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공간 빅데이터체계 구축을 위한 목표로 공간기반 정책수립 지원, 공간빅데이터 플랫폼 기반 산업 활성화, 공간 빅데이터 융합기반 조성, 공간관련 사회현안의 적극적 해결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전략은 ‘범정부적 협력체계 구축’, ‘신산업 창출 및 활용 활성화’, ‘성과활용 중심의 공간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공간빅데이터 관련 기술경쟁력 확보’이다.
  •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공간빅데이터체계는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의 미래지향적인 발전모습이다. 또한 정부 3.0에서 추구하고 있는 개방, 공유, 소통, 협력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공간빅데이터체계를 구축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빅데이터체계는 국가공간정보기반, 융합플랫폼, 서비스제공자, 생산요소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개념과 효과적으로 공간빅데이터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간빅데이터는 3V(volume, variety, velocity)로 정의되고 있는 빅데이터를 6V(volume, variety, velocity, value, veracity, visualization)의 빅데이터로 진화시키는 기반이다.
  • 부동산 행정정보 일원화는 분산되어 관리되고 있는 공부를 부동산 종합공부시스템으로 통합 관리하고, 중복관리로 인한 행정업무 비효율성을 개선하여 업무 효율성 및 민원인 편의성을 제고하고, 지적자료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적도, 토지대장, 건축대장, 토지이용계획확인서 등과 지적행정 시스템, 한국토지정보시스템, 건축행정시스템, 부동산등기시스템을 통합해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 셋째, ‘공간빅데이터 융합기반 조성’은 공간빅데이터 플랫폼에 공간정보와 행정정보의 융합을 위한 체계를 조성하여 공간적 특성과 파급효과를 고려한 대국민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러한 공간빅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공간빅데이터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방향을 설정하였으며, 공간빅데이터체계는 국가공간정보기반, 융합플랫폼, 서비스제공자, 생산요소제공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기본방향을 토대로 공간빅데이터체계의 구성요소를 인프라(하드웨어), 기술(소프트웨어), 공간빅데이터(데이터), 인력, 법‧제도로 설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간빅데이터체계를 효과적으로 구축하기 위한 방안 수립을 목적으로 공간빅데이터에 대한 개념정립, 공간정보 통합관련 추진 현황, 국내외 공간 빅데이터 관련 정책 및 사례, 공간빅데이터 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 첫째, ‘공간기반 정책수립 지원’은 공간정보 기반의 의사결정 및 분석기능 지원을 통해 정책 프로세스를 혁신함으로써 정책수립과정에 공간 개념을 고려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정보란 무엇인가요? 공간정보란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이하 ‘법’ 이라 한다)」 제2조에 따르면 ‘지상‧지하‧수상‧수중 등공간상에 존재하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객체에 대한 위치정보 및 이와 관련된 공간적 인지 및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말한다. 즉, 공간정보는 지도 및 지도 위에 표현이 가능하도록 위치, 분포 등을 알 수있는 모든 정보로 도형과 속성정보로 구성된다.
국가공간정보통 합체계는 어떤 기관에서 구축한 공간정보체계인가요? 즉, Fig. 1과같이 중앙행정기관,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등에서 구축한 국가공간정보체계를 통합 또는 연계하여 국토 교통부장관이 구축·운용하는 공간정보체계이다. 이러한 국가공간정보통합체계는 공간정보의 중복 구축 및갱신 비용을 절감하고, 각 부처의 토지 이용 및 규제 정보 등 다양한 토지관련 정보를 다양한 사용자가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도록 하여, 대민서비스의 개선과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정책 수립을 지원하고 있다.
해외 주요국의 빅데이터 진흥 정책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정보통신 또는 스마트 혁명과 함께 사용자가 생산 하는 데이터 양이 폭증하고 데이터 유형이 다양화 되면서, 이들 데이터를 수집, 축적, 분석, 활용하여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내는 빅데이터가 정보통신 분야 및산업 전 분야에 새로운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 주요국은, 한편으로는 공공 정보 이용을 촉진하거나 공공부문이 직접 빅데이터 기술 개발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성장세에 있는 민간 부분을 지원하고, 다른 한편으로 개인정보 보호, 인프라 구축 지원 등 제도적 기반을 개선하는 방식으로 빅데이터 진흥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e, D. M; Park, H. S; Oh, K. H. 2013, Trends and Policy Implications of Big Data,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25 (10); 37-74. 

  2. Bum, J. I; Choi, S. J. 2013, Big Data Use Cases and Implications, CEO Focus 312, Nonghup Economic Research Institue. 

  3. Kim, B. 2013, Big Data Analysis Trends, 2013 Database White Paper, 216-239, Korea Database Agency. 

  4. Kim, H. N. 2012, Trends and Implications of Big Data,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Policy Review, 24(19). 

  5. Kim, J. J; Shin, I. S; Han, K. J. 2013, Spatial Big Data Technology Trends, Weekly Technical Trends, 1594; 14-25,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6. Kim, M. S; Jang, I. S; Lee, C. H; Shin, S. W. 2013, Spatial Big Data Trend Analysis', Weekly Technical Trends, 1612; 1-13, National IT Industry Promotion. 

  7. Kim, T. J. 2012,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Desirable Model of the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 Policy Promotion System,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6); 91-98,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8. Koh, J. H; Kim, M. G. 2012, The Efficient Public Private Partnerships for the Geospatial Data,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20(2); 71-79, Korea Spatial Information Society. 

  9. Korea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tal, http://www.nsdi.kr. 

  10. MEST; MOSPA; MKE; KCC; NSTC. 2012, Big Data Master Plan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State. 

  11.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12. MoneyToday(www.mt.co.kr). 2013, Japan, Expected Big Data Economic Effect of an Annual 88 trillion-won. 

  13. National Information Strategy Committee. 2011, Implementation Smart Government with Big Data Utilizing. 

  14. Risk Assessment and Horizon Scanning Experimentation Centre, http://www.dsta.gov.sg. 

  15. Shashi S. 2012, Spatial Big Data, AAG-NIH Symp. on Enabling a National Geospatial Cyberinfrastructure for Health Researc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