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타민 D 섭취가 여성노인의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the Physiological Indices, Muscle Mass, and Physical Functions of Aged Women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5, 2013년, pp.539 - 548  

김인경 (영동대학교 간호학과) ,  김옥수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l vitamin D on the physiological indices, muscle mass, and physical functions of aged women. Methods: A non-equivalent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65 elderly women with low serum vitamin D lev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비타민 D 섭취가 여성노인의 비타민 D 관련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평균 연령 73세의 여성노인으로 대상자의 약 90%는 1일 평균 햇빛 노출 시간이 1시간 미만이었다.
  • 본 연구는 비타민 D 섭취가 여성노인의 비타민 D 관련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의 유사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비타민 D 섭취와 운동이 여성노인의 비타민 D 관련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결과적으로 비타민 D의 섭취는 여성노인의 혈중 비타민 D의 수준, 근육량 및 신체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임상 및 지역사회 간호사에게 여성노인의 비타민 D 섭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주고 임상에서 여성노인의 비타민 D의 수준에 간호사가 관심을 갖고 측정해야 하는 이유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판단된다. 또한 여성노인에게 운동만을 단독으로 진행했던 기존 지역사회 프로그램에 비타민 D를 함께 적용해 보는 것 또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비타민 D 섭취가 여성노인의 비타민 D 관련 생리적 지표, 근육량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는데 있으며 구체적인 연구가설은 다음과 같다.
  • 비타민 D의 섭취와 관련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효과 검증 연구가 최근 국외에서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비타민 D의 섭취와 관련한 효과 검증 연구는 아직까지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여성노인을 대상으로 비타민 D를 적용하고 비타민 D가 대상자의 생리적 지표, 근육량, 신체기능 항목인 근력, 신체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병원과 지역사회에서 여성노인의 신체기능 향상을 위한 독자적인 간호중재의 근거가 될 것이다.

가설 설정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근육량이 증가할 것이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비타민 D 관련 생리적 지표인 혈청 비타민 D, 부갑상선호르몬, 칼슘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신체기능인 근력, 신체균형, 보행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 가설 1. 비타민 D 섭취와 운동을 적용받은 실험군은(이하 실험군) 운동만 적용한 대조군(이하 대조군)에 비해 혈중비타민 D 수준 및 칼슘 수준은 향상될 것이며, 부갑상선호르몬 수준은 낮아질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근육량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신체기능인 근력, 신체균형, 보행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노인의 신체기능은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12)의 Short Physical Performance Battery (SPPB)로 측정하였다. 이 도구는 미국의 National Institute of Aging에서 기존의 알려진 노인 신체기능 평가 방법들 중 노인에게 쉽게 측정할 수 있으면서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항목인 의자에서 일어나기, 균형, 보행을 포함하고 있다(Guralnik, Ferrucci, Simonsick, Salive, & Wallace, 1995). 측정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위해 3인의 연구보조원에게 측정 방법 및 유의 사항에 대해 교육하였으며,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해 한 항목을 1인이 전담하여 측정하도록 하였다.
비타민 D란 무엇인가? 비타민 D란 골격근과 평활근 및 많은 조직과 기관에서 발견되는 특정한 핵 호르몬 수용체인 VDR (Vitamin D Recep tor)에 결합하여 신체대사를 조절하는 호르몬이다(Bartoszewska, Kamboj, & Patel, 2010). 비타민 D는 음식과 자외선을 통해 흡수되며 혈액 및 림프계를 거친다.
성인의 근육량은 50세를 기준으로 어떤 양상을 보이는가? 인체는 노화가 진행되면서 구성이 변화하며 특히 근육량의 감소가 일어나는데 이는 전반적인 신체기능을 감소시켜 독립적인 활동에 제한을 주므로(Park, 2007) 취약계층인 노인에게는 근육의 강화를 위한 적절한 비타민 D 섭취가 반드시 필요하다(Robinson, Cooper, & Aihie Sayer, 2012). 성인의 근육량은 50세 이후부터 감소되기 시작하며 80세가 되면 50%의 감소율을 보인다(Faulkner, Larkin, Claflin, & Brooks, 2007). 특히 여성노인은 남성에 비해 근육이 허약하며 운동 또한 부족하여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는데 위협을 받는다(Park & Lee,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toszewska, M., Kamboj, M., & Patel, D. R. (2010). Vitamin D, muscle function, and exercise performance. Ped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57 (3), 849-861. http://dx.doi.org/10.1016/j.pcl.2010.03.008 

  2. Bunout, D., Barreraa, G., Leviaa, L., Gattasa, V., Avendan?oa, M., Hirscha, S., et al. (2006). Effects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and exercise training on physical performance in Chilean vitamin D deficient elderly subjects. Experimental Gerontology, 41 (8), 746-752. 

  3. Cannell, J. J., & Hollis, B. W. (2008). Use of vitamin D in clinical practice. Alternative Medicine Review, 13 (1), 6-20. 

  4. Ceglia, L. (2008). Vitamin D and skeletal muscle tissue and function. Molecular Aspects of Medicine, 29 (6), 407-414. http://dx.doi.org/10.1016/j.mam.2008.07.002 

  5. Diffey, B. L. (2010). Is casual exposure to summer sunlight effective at maintaining adequate vitamin D status? Photodermatology, Photoimmunology & Photomedicine. 26 , 172- 176. 

  6. Faulkner, J. A., Larkin, L. M., Claflin, D. R., & Brooks, S. V. (2007). Age-related changes in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skeletal muscle. Clinical and Experimental Pharmacology and Physiology, 34, 1091-1096. http://dx.doi.org/10.1111/j.1440-1681.2007.04752.x 

  7. Gordon, P. L., Sakkas, G. K., Doyle, J. W., Shubert, T., & Johansen, K. L. (2007). Relationship between vitamin D and muscle size and strength in patients on hemodialysis. Journal of Renal Nutrition, 17 (6), 397-407. 

  8. Guralnik, J. M., Ferrucci, L., Simonsick, E. M., Salive, M. E., & Wallace, R. B. (1995). Lower-extremity function in persons over the age of 70 years as a predictor of subsequent disability.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32 (9), 556-561. 

  9. Hamilton, B. (2010). Vitamin D and human skeletal muscle. Scandinavian Journal of Medicine & Science in Sports, 20 (2), 182-190. http://dx.doi.org/10.1111/j.1600-0838.2009.01016.x 

  10. Holick, M. F., Binkley, N. C., Bischoff-Ferrari, H. A., Gordon, C. M., Hanley, D. A., Heaney, R. P., et al. (2011). Evaluatio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Vitamin D deficiency: An endocrine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96 (7), 1911-1930. http://dx.doi.org/10.1210/jc.2011-0385 

  11. Houston, D. K., Tooze, J. A., Davis, C. C., Chaves, P. H., Hirsch, C. H., Robbins, J. A., et al. (2011). Serum 25-hydroxyvitamin D and physical function in older adults: The Cardiovascular Health Study All Star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 (10), 1793-1801.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1.03601.x 

  12. Janssen, H. C., Emmelot-vonk, M. H., Verhaar, H. J. & van der Schouw, Y. T. (2013). Vitamin D and muscle function: Is there a threshold in the relation? Journal of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14 (8), 13-18. http://dx.doi.org/10.1016/j.jamda. 2013.05.012 

  13. Kenny, R. A., Rubenstein, L. Z., Tinetti, M. E., Brewer, K., Cameron, K. A., Capezuti, E. A., et al. (2011). Summary of the updated American geriatrics society/British geriatrics society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prevention of falls in older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 (1), 148-157.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0.03 234.x 

  14. Kim, M. K., Baek, K. H., Song, K. H., Kang, M. I., Park, C. Y., Lee, W. Y., et al. (2011). Vitamin D deficiency is associated with sarcopenia in older Koreans, regardless of obesity: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IV) 2009.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96 (10), 3250-3256. http://dx.doi.org/10.1210/jc.2011-1602 

  15.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16. Lee, M. K., Yoon, B. K., Chung, H. Y., & Park, H. M. (2011). The Serum Vitamin D nutritional status and its relationship with skeletal status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54 (5), 241-246. http://dx.doi.org/10.5468/ KJOG.2011.54.5.241 

  17. Mastaglia, S. R., Seijo, M., Muzio, D., Somoza, J., Nunez, M., & Oliveri, B. (2011). Effect of vitamin D nutritional status on muscle function and strength in healthy women aged over sixty-five years. Journal of Nutrition, Health & Aging, 15 (5), 349-354. 

  18. Moreira-Pfrimer, L. D., Pedrosa, M. A., Teixeira, L., & Lazaretti-Castro, M. (2009). Treatment of vitamin D deficiency increases lower limb muscle strength in institutionalized older people independently of regular physical activity: A randomized double-blind controlled trial. Annals of Nutrition & Metabolism, 54 (4), 291-300. http://dx.doi.org/10.1159/000235874 

  19. Moyal, D. D. & Fourtanier, A. M. (2008). Broad-spectrum sunscreens provide better protection from solar ultravioletsimulated radiation and natural sunlight-induced immunosuppression in human beings.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58 (5), S149-S154. http://dx.doi.org/10.1016/j.jaad.2007.04.035 

  20. Muir, S. W. & Montero-Odasso, M. (2011).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muscle strength, gait and balance in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9 (12), 2291-2300. http://dx.doi.org/10.1111/ j.1532-5415.2011.03733.x 

  21. National Institute on Aging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2010). Excercise and physical activity. Retrieved March 21, 2012, from National Institute on Aging National Institute of Health Web site: www.nia.nih.gov/Go4Life. 

  22. Okuno, J., Tomura, S., Yabushita, N., Kim, M. J., Okura, T., Tanaka, K., et al. (2010). Effects of serum 25-hydroxyvitamin D (3) levels on physical fitness in community-dwelling frail women. Archives of Gerontology and Geriatric, 50 (2), 121-126. http://dx.doi.org/10.1016/j.archger. 

  23. Park, B. J. & Lee, Y. J. (2010). Integrative approach to elderly frailty. Journal of Family Medicine, 31 , 747-754. http://dx.doi.org/10.4082/kjfm.2010.31.10.747 

  24. Park, S. W. (2007). Sarcopenia of the old 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docrinology, 22 (1), 1-7. 

  25. Park, T. J., Cho, Y. E., Choi, Y. J., Kim, Y. K., Ahn, S. M., Jung, S. H., et al. (2005). The effects of oral vitamin D supplement in vitamin D inadequa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steoporosis, 3 (2), 121-125. 

  26. Pfeifer, M., Begerow, B., & Minne, H. W. (2002). Vitamin D and function. Osteoporosis International, 13 (3), 187-194. 

  27. Robinson, S., Cooper, C., & Aihie Sayer, A. (2012). Nutrition and sarcopenia: A review of the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ve strategies. Journal of Aging Research, 2012, 1-6. http://dx.doi.org/10.1155/2012/510801 

  28. Smedshaug, G. B., Pedersen, J. I., & Meyer, H. E. (2009). Can vitamin D supplementation improve grip strength in elderly nursing home residents? A double-blinded controlled trial. Scandinavian Journal of Food & Nutrition, 51 (2), 74-78. http://dx.doi.org/10.1080/ 03461230701422528 

  29. Stockton, K. A., Mengersen, K., Paratz, J. D., Kandiah, D., & Bennell, K. L. (2011). Effect of vitamin D supplementation on muscle streng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steoporosis International, 22 (3), 859-871. http://dx.doi.org/10.1007/s00198-010-1407-y 

  30. Zhu, K., Austin, N., Devine, A., Bruce, D., & Prince, R. L. (2010).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he effects of vitamin D on muscle strength and mobility in older women with vitamin D insufficiency.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58 (11), 2063-2068. http://dx.doi.org/10.1111/j.1532-5415.2010.03142.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