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분 섭취량 측정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luid Intake Measurements 원문보기

성인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25 no.5, 2013년, pp.567 - 573  

이창관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  김유경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  서명화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  이경미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  이주은 (삼성서울병원 간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d two methods for measuring fluid intake and to assess the most effective method. Methods: Data from 44 hospitalized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was analyzed. Two methods were used. The liquid method is to measure the daily intake of water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기능장애가 있는 동일군을 대상으로 액체형태만을 수분섭취량으로 측정하는 방법이 모든 음식물에 포함된 수분을 수분섭취량으로 측정하는 기존의 방법에 비해 배설량과 일치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는 지와 두 가지 방법으로 측정한 수분 섭취량 배설량의 차이와 체중변화와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신기능장애가 있어 입원한 동일군을 대상으로 하여 수분섭취량을 측정하는 기존의 방법인 액체고체방법에 비해 액체방법이 배설량과 일치도에 차이가 있는 지와 이들 방법으로 측정된 수분섭취량 배설량의 차이와 체중변화와의 상관성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보다 간편한 방법인 액체형태만을 수분섭취량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 신기능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정확한 수분섭취량 측정법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신기능장애군을 대상으로 하여 밥, 과일 등 섭취한 음식 모두를 수분섭취량으로 측정하는 방법과 실온에서 액체 형태만을 수분섭취량에 포함하는 방법 중 배설량과 일치하는 방법을 알아내고 그 방법에 따라 측정한 섭취량 배설량의 차이와 체중변화와의 상관성을 파악함으로써 정확한 수분섭취량 측정법을 알아내어 그 결과를 임상에서 체액 균형의 지표로 활용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분의 섭취와 배설의 차이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한편 인체 내 수분의 균형은 건강유지에 필수적이며 정상인에 있어서 수분의 섭취는 수분의 소실과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섭취와 배설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매일 체중을 측정하여 비교하는 것이다(Song et al., 2008; Yang, Choi, Kim, & Sung, 1996).
일반적으로 시행하는 섭취량과 배설량의 기록 및 모니터링이 가진 제한점은 무엇인가? , 2000). 그러나 수분섭취 및 배설량 측정방법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같은 병원에서도 수분섭취량 측정방법에 차이가 있으며(Lee, Song, & Yoon, 2004), 섭취한 음식물을 환자 스스로 기록하게 하고 섭취량도 눈대중으로 측정하고 있어 기록 누락과 측정오류 등 많은 시간을 들이면서도 본인이 사정한 데이터에 대해 간호사 스스로도 자신감을 갖지 못하고 있다(Choi, Yang, & Jung, 1995; Lee et al., 2004; Mank, Semin-Goossens, Lelie, Bakker, & Vos, 2003).
간호 교과서에선 섭취량과 배설량의 기록 및 모니터링을 위해 어떤 방법을 제안하였는가? 간호 교과서(Kim, 1998; Potter & Perry, 2009)는 실온에서 액체형태를 갖는 음식만을 섭취량에 포함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주장에는 고형음식 속에 포함된 수분 800ml는 피부와 호흡을 통하여 빠져나가는 불감상실 약 800ml에 상응 하는 양이므로 다른 조건의 변화가 없다면 액체형태의 섭취량과 소변배설량으로 그날의 수분균형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Yang, Choi, Kim, & Sung,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Bae, S. Y. (2011). Sodium intake and excretion in adult women, and excessive sodium intake contributes food. Daegu: Keimyung University. 

  2. Brez, S., Steen, E., & Handke, A. (1998). Teaching patients INs and OUTs. Canadian Nurse, 94 (4), 51-52. 

  3. Choi, K. S., Yang, Y. H., & Jung, Y. (1995). A study on fluid intake and output measure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5 (1), 88-98. 

  4. Guyton, A. C., & Hall, J. E. (2006). Pocket companion to textbook of medical physiology (11th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5. Kim, G. S. (1998). Basic nursing practice.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6. Lee, S. J., Song, W. S., & Yoon, S. O. (2004). Correlation between the method of measurement of intake, output and the weight change-Lung resection patients. Paper presented at the Samsung Medical Center Nursing Conference, Seoul. 

  7. Machin, D., Campbell, M. J., Tan, S. B., & Tan, S. H. (2009). Sample size tables for clinical studies (3rd ed.). Singapore: Wiley-Blackwell. 

  8. Mank, A., Semin-Goossens, A., Lelie, J., Bakker, P., & Vos, R. (2003). Monitoring hyperhydration during high-dose chemotherapy: Body weight or fluid balance? Acta Haematologica, 109 (4), 163-168. 

  9. Meiner, S. E. (2002). Fluid balance documentation: A case study of daily weight and intake/output omissions. Geriatric Nursing, 23 (1), 46-47. 

  10.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2010). Menugen. Retrieved August 1, 2009, from the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Web site: http://koreanfood.rda.go.kr/mgn/mgnmealinfo_mealquery.aspx 

  11. Potter, P. A., & Perry, A. G. (2009). Fundamentals of nursing (7th ed.). St. Louis, MO: Mosby Elsevier. 

  12. Song, K. A., Park, H. S., Hong, Y. H., Yoon, E. J., Lee, K. Y., & Cho, B. H. (2008). Fundamentals of nursing. Seoul: Soomunsa. 

  13. Travers, B., O'loughlin, C., Murphy, N., Ryder, M., Coulon, C., & Ledwidge, M., et al. (2007). Fluid restriction in the management decompansated heart failure: No impact on time to clinical stability. Journal of Cardic Failure, 13 (2), 128-132. http://dx.doi.org/ 10.1016/j.cardfail.2006.10.012 

  14. Wise, L. C., Mersch, J., Racioppi, J., Crosier, J., & Thompson, C. (2000). Evaluating the reliability and utility of cumulative intake and output. Journal of Nursing Care Quality, 14 (3), 37-42. 

  15. Yang, Y. H., Choi, K. S., Kim, E. K., & Sung, I. S. (1996). A study of the fluid balance of the patients on soft die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 (3), 688-6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