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과 배우자 지지,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Spousal Support, and Parenting Efficacy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31 no.5 = no.125, 2013년, pp.65 - 77  

권수현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이승연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at (1) investigating expectant mothers'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variables (age, gestational weeks, perceived health condition, anticipating the gender of the fetus, marriage duration, and parity), (2)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their prenatal attachment, spousal supp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산부를 예비 어머니로 인식하여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에 대해 분석해보고, 산전애착과 배우자의 지지,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예비 어머니가지각한 배우자의 지지가 부모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산전애착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결과는 산전애착 형성과 관련 있는 변인을 찾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산전애착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예비 아버지의 지지와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향상시키는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üller(1993)의 PAI를 사용하여 산전애착을 측정하고자 한다.
  • 즉, 임신 중 예비 어머니가 느낄 수 있는 어려움이나 복잡한 정서 상태에 대해 배우자가 이해하고 다양한 측면으로 배려하고 지원하게 되면, 예비 어머니는 태아에 대해 긍정적인 산전애착을 형성하게 되고, 앞으로 태어날 아이에게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느끼게 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 어머니 산전애착의 중요성과 이를 증진하기 위한 예비 아버지 지지의 역할 및 중요성을 확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부모효능감에 대한 많은 연구들(Cutrona & Troutman, 1986; Johnston & Mash, 1989; Moon, 1998; Yi & Choi, 2010)에서 사회적 지지와 부모효능감 간에 정적상관이 있다고 밝힌 것과 유사한 결과이다.
  • 본 연구는 예비 어머니의 변인에 따른 산전애착을 알아보고, 산전애착과 배우자 지지,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여, 산전애착의 매개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여기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논의하고,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 발달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에 대해 알아보고 산전 애착과 배우자 지지 및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을 증진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지원, 예비 아버지를 포함한 예비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계기가 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밝히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산전애착과 배우자의 지지, 부모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예비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예비 어머니의 연령, 임신주수, 스스로 인식하는 건강상태, 기대하는 태아의 성별과 실제 태아의 성별, 결혼기간, 출산경력, 교육정도, 직업유무 등의 일반적 배경을 묻는 부분과 산전애착, 배우자 지지, 부모효능감을 측정하는 부분으로 구성되었다.
  • 본 연구는 예비 어머니의 변인에 따른 산전애착을 알아보고, 산전애착과 배우자 지지,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를 탐색하여, 산전애착의 매개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 여기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논의하고,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 발달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임산부를 예비 어머니로 인식하여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에 대해 분석해보고, 산전애착과 배우자의 지지, 부모효능감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예비 어머니가지각한 배우자의 지지가 부모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산전애착이 매개변인으로 작용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과정과 결과는 산전애착 형성과 관련 있는 변인을 찾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산전애착의 중요성을 시사하며, 예비 아버지의 지지와 예비 어머니의 산전애착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향상시키는 예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관련 선행연구를 통해 예비 어머니가 느끼는 배우자의 지지가 산전애착에 영향을 미치며, 부모효능감은 산전애착의 영향을 받는 결과변인이 될 수 있다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즉, 산전애착이 배우자 지지와 부모효능감을 매개하는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Baron and Kenny(1986)의 매개가설 검증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낮은 산전애착의 영향은? 또한 산전애착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낮은 산전애착은 임신 중 예비 어머니 자신과 태아의 산전 관리(산전 검사, 체중 관리, 금연 등)의 결핍으로 이어지며, 임신 위험(pregnancy risk)과 출산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Lindgren, 2001). 따라서 낮은 산전애착은 태아의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Pollock & Percy, 1999).
산모에게 태아에 대한 애정적인 감정이 증가하는 시기는? 어머니와 자녀의 정서적 유대는 출산과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자녀 출산 이전인 자녀가 태아였을 때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Alhusen, 2008). 예비 어머니는 임신 5개월경이 되면 태아의 첫 태동을 느끼게 되고, 그 이후에 산전애착이 더 강해진다. 비로소 태아를 하나의 개체로 인식하게 되고, 태아에 대한 애정적인 감정이 증가하게 된다(Chung, 2004).
산전애착이란? 어머니와 자녀의 특별한 관계는 자녀가 태어나기 전부터 시작되며(Laxton-Kane & Slade, 2002; Cannella, 2004),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BielawskaBatorowicz & Siddiqui, 2008). 태아와 예비 어머니의 관계 (maternal-fetal relationships)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산전애착(prenatal attachment)은 예비 어머니와 태아 사이의 상호적 과정으로 예비 어머니가 태아에 대해 형성하는 독특한 애정적, 정서적 유대이다(Müller, 1989). 또한 산전애착은 산모와 태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Abasi, E., Tahmasebi, H., Zafari, M., & Nasiri Takami, G.(2012). Assessment on effective factors of maternal-fetal attachment in pregnant women. Life Science Journal, 9(1), 68-75. 

  2. Ahn, H. R.(1985). Experimental study of the effects of husband's supportive behavior reinforcement education on stress relief of primigravid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 Ahn, J. Y., & Park, S. Y.(2002).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al beliefs, efficacy and stress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40(1), 53-68. 

  4. Alhusen, J. L.(2008). A literature update on maternal-fetal attachment.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37(3), 315-328. 

  5. Baek, H. J.(2009). Mediation effect of recognition of spousal support and emotional state on the relationship of pregnant women's attachment to mother and maternal-fetal attach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Seoul. 

  6. Baron, R. M., & Kenny, D. A.(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d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7. Bielawska-Batorowicz, E., & Siddiqui, A.(2008). A study of prenatal attachment with Swedish and Polish expectant mothers.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36(4), 373-384. 

  8. Bronfenbrenner, U.(1986).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Research perspective. Developmental Psychology, 22(6), 723-742. 

  9. Callister, L. C.(2002). Comments: Relationships among maternal-fetal attachment, prenatal depression, and health practices in pregnancy. American Journal of Maternal/Child Nursing, 27(1), 59. 

  10. Cannella, B. L.(2004). Maternal-fetal attachment: An integrativ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0(1), 60-68. 

  11. Cho, H. J.(2003). A study of predicting postpartum depression and the recovery factor from prepartum depress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2. Chung, M. R., Kang, S. K., & Lee, H. J.(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quality and parent-fetal attachment by pregnant coupl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50(4), 51-61. 

  13. Chung, Y. S.(2004). Influencing factors on prenatal attachment. Korean Parent-Child Health Journal, 7(1), 38-49. 

  14. Cranley, M. S.(1981). Development of tool for the measurement of maternal attachment during pregnancy. Nursing Research, 30(3), 281-284. 

  15. Cutrona, C. E., & Troutman, B. R.(1986). Social support, infant temperament and parenting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postpartum expression. Child Development, 57(6), 1507-1518. 

  16. Dormire, S. L., Strauss, S. S., & Clarke, B. A.(1989).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the parental role in first-time adolescent mother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18(4), 327-337. 

  17. Eswi, A., & Khalil, A.(2012). Prenatal attachment and fetal health locus of control among low risk and high risk pregnant women. World Applied Sciences Journal, 18(4), 462-471. 

  18. Jeon, S. Y.(2001). Program development for pre-parent education.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6(3), 73-95. 

  19. Jeong, Y. S.(2004). The relationship among mother-daughter relationship, husband-wife relationship and prenatal attachment according to pregnant women's internal working mode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0(3), 210-217. 

  20. Johnston, C., & Mash, E. J.(1989). A measure of parenting satisfaction and efficac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18(2), 167-175. 

  21. Kang, K., & Bae, E.(2008). The development of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in the residential care. Korea Journal of Parent Education, 5(1), 23-42. 

  22. KBS News.(2013. 2. 27). '셋째 딸'출산 증가...초저출산국 탈출하나? Retrieved from http://news.kbs.co.kr/news/NewsView.do?SEARCH_NEWS_CODE2619203. 

  23. Kemp, V. H., & Page, C. K.(1987). Maternal prenatal attachment in normal and high-risk pregnancies.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16(3), 179-184. 

  24. Kim, M. Y.(2009). A comparative study of the factors effecting on marital satisfaction by age cohort. Korean Journal of Family Social Work, 26, 35-62. 

  25. Laxton-Kane, M., & Slade, P.(2002). The role of maternal prenatal attachment in a woman's experience of pregnancy and implications for the process of care.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0(4), 253-266. 

  26. Lee, B.(2003).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undergraduate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3(1), 133-153. 

  27. Lee, S. M., & Jang, J. M.(2009). A study an parent efficacy and child rearing knowledge of parents in pregnancy.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6(3), 251-273. 

  28. Lee, Y.(2010). Conjugal role sharing on women's marital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33(1), 103-131. 

  29. Lindgren, K.(2001). Relationships among maternal-fetal attachment, prenatal depression and health practice in pregnancy.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24(3), 203-217. 

  30. LoBiondo-Wood, G.(1985). The progression of physical symptoms in pregnancy and the development of maternal-fetal attachm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 University, New York. 

  31. Mercer, R. T., & Ferketich, S. L.(1988). Stress and social support as predictors of anxiety and depression during pregnancy.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0(2), 26-39. 

  32. Mikhail, M. S., Freda, M, C., Merkatz, R. B., Polizzotto, R., Mazloom, E., & Merkatz, I. R.(1991). The effect of fetal movement counting on maternal attachment to fetu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165(4), 988-991. 

  33. Moon, H. R.(1998).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eveloped by mother's social support networks and parenting stres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34. Moon, H. J.(1999). The influence of working moth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elf-efficacy on the child-rearing practice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7(6), 97-107. 

  35. Muller, M. E.(1989). The development and testing of the Muller prenatal attachment invento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San Francisco. 

  36. Muller, M. E.(1993). Development of the prenatal attachment inventory.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5(2), 199-215. 

  37. Norbeck, J. S., & Anderson, N. J.(1989).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anxiety in mid- and late-pregnancy among lower income women.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2(5), 281-287. 

  38. Park, Y. Y., & Rha, J. H.(2003). A study on childrearing belief and parental efficacy. Korean Living Science Association, 12(3), 287-301. 

  39. Pollock, P. H., & Percy, A.(1999). Maternal antenatal attachment style and potential fatal abuse. Child Abuse and Neglect, 23(12), 1345-1357. 

  40. Siddiqui, A., & Hagglof, B.(2000). Does maternal prenatal attachment predict postnatal mother-infant interaction? Early Human Development, 59(1), 13-25. 

  41. Siddiqui, A., Hagglof, B., & Eisemann, M.(1999). An exploration of prenatal attachment in Swedish expectant women.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17(4), 369-380. 

  42. Siddiqui, A., Hagglof, B., & Eisemann, M.(2000). Own memories of upbringing as a determinant of prenatal attachment in expectant women.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18(1), 67-74. 

  43. Sim, M. J.(1993).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husband's support behavior perceived by postpartum women in pregnancy. Journal of Kwangju Health Junior College, 18, 369-382. 

  44. Sjogren, B., Edman, G., Widstrom, A. M., Mathiessen, A. S., & Uvnas-Moberg, K.(2004). Maternal foetal attachment and personality during first pregnancy.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2(2), 57-69. 

  45. Vedova, A. M. D., Dabrassi, F., & Imbasciati, A.(2008). Assessing prenatal attachment in a sample Italian women. Journal of Reproductive and Infant Psychology, 26(2), 86-98. 

  46. Won, S, H., & You, Y, D.(200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preparent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D. W. Winnicott's object relations theory.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1(1), 1-33. 

  47. Yakasem, P., & Chaiyasung, P.(2012). Effect of prenatal attachment promoting program on maternal-fetal attachment in teenage prenant women. Journal of Nursing Science & Health, 35(3), 19-25. 

  48. Yi, J. H., & Choi, Y. H.(2010).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and social support on the parenting efficacy of mothers. Korean Journal of Play Therapy, 13(1), 19-32. 

  49. Zelkowitz, P., Schinazi. J., Katofsky, L., Saucier, J. F., Valenzuela, M., Westreich, R., & Dayan, J.(2004).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pregnant immigrant women. Transcultural Psychiatry, 41(4), 445-46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