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작은 요로 결석에 의한 급성 신후성 신부전 및 폐쇄 후 이뇨 1례
Acute Kidney Injury and Postobstructive Diuresis Caused by a 4 mm Urinary Calculus 원문보기

대한소아신장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ediatric nephrology, v.17 no.2, 2013년, pp.117 - 121  

정의석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  양은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  김찬종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결석으로 인한 요관 폐쇄는 신후성 신부전의 주요한 원인으로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폐색 후 이뇨는 폐쇄성 요로 질환의 막힘 제거될 때 흔히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는 경우가 많으나 저혈압이나 전해질 이상 등의 소견이 나타날 경우에는 수액 요법을 통한 치료가 필요하다. 단일신 환아에서 4 mm 크기의 작은 결석으로 인한 신후성 신부전이 발생하였으며 결석이 배출되고 발생한 폐쇄 후 이뇨는 보존적 치료로 회복되었다. 대부분의 4 mm 미만의 작은 결석은 저절로 배출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저자들은 4 mm 크기의 결석으로 생긴 신후성 신부전 및 폐쇄 후 이뇨가 발생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rinary obstructions from ureteral calculi are one of the causes of postrenal acute kidney injury (AKI). Here we present a case of AKI caused by a 4 mm ureteral calculus with postobstructive diuresis following the spontaneous passage of the calculus. A 13-year-old girl who underwent nephrectomy for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단일신 환아에서 4 mm 크기의 작은 결석으로 인한 신후성 신부전이 발생하였으며 결석이 배출 되고 발생한 폐쇄 후 이뇨는 보존적 치료로 회복되었다. 대부분의 4 mm 미만의 작은 결석은 저절로 배출 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저자들은 4 mm 크기의 결석으로 생긴 신후성 신부전 및 폐쇄 후 이뇨가 발생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iano F, Pascual J. Epidemiology of acute renal failure: a prospective, multicenter, community-based study. Madrid Acute Renal Failure Study Group. Kidney Int 1996;50:811-8. 

  2. Khan IH, Catto GR, Edward N, Macleod AM. Acute renal failure: factors influencing nephrology referral and outcome. QJM 1997;90:781-5. 

  3. Rabbani MA, Habib HB, Siddiqui BK, Tahir MH, Ahmad B, Murtaza G, et al. Etiology of acute renal failure in a tertiary center. Saudi J Kidney Dis Transpl 2008;19:1009-14. 

  4. Wang SJ, Mu XN, Zhang LY, Liu QY, Jin XB. The incidence and clinical features of acute kidney injury secondary to ureteral calculi. Urol Res 2012;40:345-8. 

  5. Pearle MY, Lotan Y. Urinary Lithiasis. In: Wein AJ, Kavoussi LR, Novick AC, Partin AW, Peters CA, editors. Campbell-Walsh Urology. 10th ed. Philadelphia: W.B. Saunders Co, 2011:1257-86 

  6. Schwarz RD, Dwyer NT. Pediatric kidney stones: long-term outcomes. Urology 2006;67:812-6 

  7. Erbagci A, Erbagci AB, Yilmaz M, Yagci F, Tarakcioglu M, Yurtseven C, et al. Pediatric urolithiasis--evaluation of risk factors in 95 children. Scand J Urol Nephrol 2003;37:129-33. 

  8. Coll DM, Varanelli MJ, Smith RC. Relationship of spontaneous passage of ureteral calculi to stone size and location as revealed by unenhanced helical CT. AJR Am J Roentgenol 2002;178:101-3. 

  9. Nally JV Jr. Acute renal failure in hospitalized patients. Clevel Clin J Med 2002;69:569-74. 

  10. Dubovsky EV, Russell CD. Quantitation of renal function with glomerular and tubular agents. Semin Nucl Med 1982;12: 308-29. 

  11. Andreev E, Koopman M, Arisz L. A rise in plasma creatinine that is not a sign of renal failure: which drugs can be responsible? J Intern Med 1999;246:247-52. 

  12. van Acker BA, Koomen GC, Koopman MG, de Waart DR, Arisz L. Creatinine clearance during cimetidine administration for measurement of glomerular fltration rate. Lancet 1992;340: 1326-9. 

  13. Witte MH, Short FA, Hollander W Jr. Massive polyuria and natruresis following relief of urinary tract obstruction. Am J Med 1964;37:320-6. 

  14. Muldowney FP, Duffy GJ, Kelly DG, Duff FA, Harrington C, Freaney R. Sodium diuresis after relief of obstructive uropathy. N Engl J Med 1966;274:1294-8. 

  15. Massry SG, Schainuck LI, Goldsmith C, Schreiner GE. Studies on the mechanism of diuresis after relief of urinary-tract obstruction. Ann Intern Med 1967;66:149-58. 

  16. Robards VL Jr, Ross G Jr. The pathogenesis of postobstructive diuresis. J Urol 1967;97:105-9. 

  17. Harris RH, Yarger WE. The pathogenesis of post-obstructive diuresis. The role of circulating natriuretic and diuretic factors, including urea. J Clin Invest 1975;56:880-7. 

  18. Klahr S. Pathophysiology of obstructive nephropathy. Semin Nephrol 1991;11:156-68. 

  19. Seifter JL, Brenner BM. Urinary tract obstruction. In: Fauci AS, Braunwald E, Longo DL, Hauser SL, Jameson JL, Kasper DL, et al. editor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6th ed. New York:McGraw-Hill, 2004: 1722-4. 

  20. Capelouto CC, Saltzman B. The pathopysiology of ureteral obstruction. J Endourol 1993;7:93-1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Hybrid)

저자가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지불한 논문에 한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hybrid 저널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