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천의 물리적 구조에 따른 하천경관의 선호도 및 시각적 이미지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eference and Visual Characteristics of Stream Landscape According to Hydromorpological Structure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5 no.3, 2013년, pp.301 - 315  

최윤의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이정아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전진형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생태적 특성이 나타난 하천구간에 대한 경관의 선호도 및 시각적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구조 특성을 실증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하천의 물리적 구조 평가를 위해 LAWA기법을 활용하여 하천의 생태성을 평가하고, SD평가법을 통해 하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를 조사하여 연구대상지의 물리적 구조 특성에 따른 시각적 이미지 차이를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생태성이 양호한 구간이 결여된 구간보다 조화롭고 아름다우며 자연적이고 깨끗한 이미지를 형성한다고 밝혀졌으며, 이러한 시각적 이미지에 큰 영향을 주는 물리적 구조는 하천식생 및 횡단형태, 인공구조물의 유무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하천복원시 훼손대상지의 생태적 기능과 경관미 향상을 위해 고려해야할 하천의 물리적 구조를 예측하고 제안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hydromorpological structures that affect landscape preference and visual characteristics on the sections of the designated streams where have dynamic ecological characteristics. We evaluated the ecological status of the streams utiliz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연구들은 하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만을 조사하여 경관 향상 방안에 대한 소극적인 제안을 한 것에 비해 본 연구는 하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이 나타난 이유에 대하여 다양한 물리적 구조 세부항목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고찰을 함에 따라 하천 정비시 생태적·심미적 안정성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물리적 구조 평가를 바탕으로 생태적 특성이 다양한 하천 구간을 대상으로 하천경관에 대한 선호도와 시각적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기존의 연구들은 하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만을 조사하여 경관 향상 방안에 대한 소극적인 제안을 한 것에 비해 본 연구는 하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이 나타난 이유에 대하여 다양한 물리적 구조 세부항목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고찰을 함에 따라 하천 정비시 생태적·심미적 안정성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수행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생태적 특성이 나타난 하천구간에 대한 경관의 선호도 및 시각적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물리적 구조 특성을 실증적으로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하천의 물리적 구조 훼손 여부에 따른 하천의 시각적 이미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 조사구간별 하천경관에 대한 선호도와 시각적 이미지에 대한 특성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하천의 양호구간과 결여구간의 선호도 및 시각적 이미지 차이검정을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양호구간과 결여구간의 물리적 구조 및 시각적 이미지 차이를 고찰하고 경관개선 방안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최근 생태하천에 대한 관심 증가로 다양한 하천정비 및 복원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률적인 복원공법의 적용으로 생태적 기능보다 심미적 기능에 중점을 둔 사례가 많으며 이수와 치수목적으로 제방 및 횡단 구조물, 농수로 등의 조성 시 콘크리트와 같은 인공재료를 사용하여 생태적·심미적 기능이 저하된 하천구간이 많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물리적 구조 훼손 여부에 따른 하천의 시각적 이미지 비교 및 분석을 통하여 하천의 경관을 형성하는 물리적 구조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조사구간마다의 물리적 구조 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남에 따라 하천 경관에 대한 선호와 시각적 이미지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이란? 하천은 예로부터 현재까지 농업, 교통, 도시의 발달 등 인간의 토지이용에 있어 큰 영향력을 지닌 공간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1964년 하천법이 제정되면서 홍수의 피해를 줄이고 농업용수 확보와 경제 개발을 위한 치수와 이수의 목적으로 하천환경사업이 시작됨에 따라 전국 대부분의 하천에 제방축조와 하도의 직강화가 시행되었다.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한계는? 최근의 하천 복원 경향은 자연과 유사한 형태의 하천을 조성하고자 하는 자연형 하천조성사업과 이보다 더욱 적극적으로 자연환경상태를 조성하여 하천 기능을 회복시키는 생태하천 복원사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업들은 복원 대상이 되는 하천의 훼손 현황과 주변 환경에 대한 고려가 결여된 채 일률적인 복원 기술을 적용하고 있으며, 하천 고유의 생태적 기능을 회복시키기 보다는 외형적인 심미성과 친수공간의 활용성을 강조한 형태의 복원사업으로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하천마다의 특이성이 결여되고, 유사한 하천경관이 창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하천을 구성하는 물리적 구조에는 무엇이 있는가? 하천을 구성하는 물리적 구조는 하천법상에 제시된 하천구역인 하상과 하안, 홍수터를 포괄하는 제외지와 제방터, 그리고 주변구역인 제내지의 교통시설 및 건물 등이 있다. 물리적 구조는 시지각을 통해 인지되는 하천 경관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라고 할 수 있다(GRI, 2002; Kwon and Cho,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Carling, PA (1991). An appraisal of the velocity-reversal hypothesis for stable pool-riffle sequences in the River Severn, England,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16, pp. 19-31. 

  2. Cho, DG (2011). Ecology Restoration Plan.Design, Nexusdesign, pp. 500-525. [Korean Literature] 

  3. Cho, HJ, Woo HS, Lee, JW, and Cho, KH (2008). Changes in riparian vegetation after restoration in a urban stream, Yangjae stream, J. of Watlands Research, 10(3), pp. 111-124. [Korean Literature] 

  4. Choi, GW, Kim, HJ, Park, JS, and Han, MS (2010). Hydromorphological structure assessment of urban streams after close-to-nature stream restoration using LAWA. J.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3(5), pp. 421-431. [Korean Literature] 

  5. Chon J and Shafer CS (2009). Aesthetic responses to urban greenway trail environments, Landscape Research, 34(1), pp. 83-104. 

  6. CIS-WFD (2003). Guidance on Establishing Reference Conditions and Ecological Status Class Boundaries for Inland Surface Waters, Common Implementation Strategy Working Group 2.3-REFCOND, pp. 28. 

  7. Gyeonggi Research Institution (GRI) (2002). A Survey and Analysis of River Landscape in Kyonggi-do, 2002-06, Gyeonggi Research Institution, pp. 9-27. [Korean Literature] 

  8. Gyeonggi Research Institution (GRI) (2008). Strategy of Stream Restoration in Gyeonggi Province through an Assessment of Stream Naturality and Ecological Health. 2007-09, Gyeonggi Research Institution, pp. 88-127. [Korean Literature] 

  9. Hong, KG and Ahn KH (2003). The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factors of scenic types of residential area on the skirts of river, J.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8(4), pp. 159-170. [Korean Literature] 

  10. Jeon, SJ (2011). Stream Plan.Design, Seoul, ENGBOOK, pp. 272-365. [Korean Literature] 

  11. Jeong, DY, Hur, SS, and Shin UD (2007). An analysis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actors of an urban river-with a case of Gapcheon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 J. of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0(3), pp. 14-24. [Korean Literature] 

  12. Jo, HK and Han, GS (2005). Seasonal changes in structure and landscape of urban stream corridor -In the case of Gongji stream in chuncheon-, J. of the Environment Sciences, 14(8), pp. 739-748. [Korean Literature] 

  13. Joo, SH and Lee, SH (2012).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 landscape by landscape adjectives- Focused on the cheonggyecheon and Yangjaecheon-, J.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7(4), pp. 49-63. [Korean Literature] 

  14. Kim, DC and Song, MJ (2010). An analysis of the visual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factors of traditional landscape of rivers in Kangnam region of China -with a case of river in Zhouzhuang, Jiangsu province of China, J.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3), pp. 122-130. [Korean Literature] 

  15. Kim, DH and Kim, DS (1999). Visual impact factor and preference image of urban stream landscape, J. of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2(4), pp. 9-15. [Korean Literature] 

  16. Kim, HJ (2005). Study on the biophys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s -A case of the sand streams in Kyonggi-do district-, J. of Korea Society Environment and Ecology, 19(3), pp. 215-230. [Korean Literature] 

  17. Kim, KH (2008). Assessment of physical river disturbances in the Namgang-dam downstream, J. of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1(3), pp. 74-86. [Korean Literature] 

  18. Kim, SG, Cho, WH, and Im, SB (1999). Landscape evaluation of rural stream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J.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5(1), pp. 35-44 

  19. Kim, SG, Kim, GE, Lee, JE, Shin, DH. and Lee, KS (2004). Urban stream landscape improvement after natural-style stream restoration -Case study of Yangjae stream, Seoul-, J. of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7(5), pp. 66-74. [Korean Literature] 

  20. Kim, SW (1991). Funktionale beziehungen zwischen verschiedenen faktoren der fluvialmorphologie, J.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6(1), pp. 1-29. [Korean Literature] 

  21.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KICT) (2006). Development of Multi-fuctional River Restoration Techniques,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pp. 130-165. [Korean Literature] 

  22.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2009). River Design Critera?Explanation,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360-373. [Korean Literature] 

  23. Kwon, YS and Cho, MS (2011). The character of urban design around the riverfront area in Korea-Focused on the composition of public space and land use pattern-, J.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7(9), pp. 251-260. [Korean Literature] 

  24. Lee, GR (2010). A comparative analysis on channel forms and landscapes at Naeseongcheon river and Wicheon river in Gyeongpook province, J.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7(4), pp. 1-16. [Korean Literature] 

  25. Lee, JS and Song, JG (2010). Flood stage analysis on vegetated patterns with river sites, J. of Korea Contents Society, 10(11), pp. 452-460. [Korean Literature] 

  26. Lee, SD and Kim, SC (2008). Studies on the ecological management and stream environmentin Dorim stream for establishing eco-wetland parks, J. of Wetlands Research, 10(3), pp. 133-139. [Korean Literature] 

  27. Lee, SH, Ock, GY, and Choi, JK (2008). A study on the expansion process of vegetation on sand-bars in fluvial meandering stream, J. of Korea Society Environment and Ecology, 22(6), pp. 658-665. [Korean Literature] 

  28. Lee, SS (2006). Visual preference of the methods for river embankment-The case of Dongchon in Gwangyang-, J.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3), pp. 12-22. [Korean Literature] 

  2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0). The National Aquatic Ecological Monitoring Program, Ministry of Environment of South Korea, pp. 1-554. [Korean Literature] 

  30. Robert A (1990). Boundary Roughness in Coarse-Grained Channel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14, pp. 42-70. 

  31. SPSS Inc. (2011). SPSS for Windows, Release 20.0. Chicago, Illinois, USA. 

  32. Woo, HS, Yoo, KK, and Park, JK (1994). A preliminary study of the hydraulic-geometrical relations of bed slope in some selected alluvial rivers, J.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29(3), pp. 253-265. [Korean Literature] 

  33. Yoo, SW (2006). A stud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Keum river sceneries at different water level, J.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63, pp. 273-282. [Korean Literature] 

  34. Yoo, SW (2007). Analysis of visual preference factor for Youngsan river scenery considering the variation of river stage, J.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20(3), pp. 141-150.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