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NCM계(係) 리튬이온전지(電池) 공정(工程)스크랩의 수소환원처리(水素還元處理)에 의한 리튬회수(回收) 및 NCM 분말(粉末)의 침출거동(浸出擧動)
Recovery of Lithium and Leaching Behavior of NCM Powder by Hydrogen Reductive Treatment from NCM System Li-ion Battery Scraps 원문보기

資源리싸이클링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22 no.3, 2013년, pp.43 - 49  

김대원 ((주)타운마이닝캄파니) ,  장성태 ((주)타운마이닝캄파니) ,  백경민 ((주)타운마이닝캄파니)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NCM계 폐리튬전지 공정 스크랩 재활용의 연구에 일환으로서 리튬화합물의 회수와 NCM 전구체를 제조하기 위한 침출거동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수소를 이용하여 NCM계 스크랩 분말을 환원한 후, 먼저 $CO_2$ 가스로 탄산리튬을 회수하고, 산에 의한 침출거동을 연구하였다. 수소에 의한 환원율은 $800^{\circ}C$에서 약 93%를 나타내었으며, 수세에 의해 약 99%순도의 탄산리튬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수소환원 처리 전후 분말에 대한 산 침출거동을 비교한 결과, 수소환원 처리에 의하여 2M 황산농도에서 코발트 32%, 니켈 45%의 침출효과가 향상되었으며, 망간의 경우에는 약 90% 정도 침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study on the recovery of lithium and leaching behavior of NCM powder by hydrogen reduction for NCM system Li-ion battery scraps was investigated. The reductive rate was about 93% at $800^{\circ}C$ by hydrogen treatment. The lithium carbonate with 99% purity was manufactured by us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 수소환원 온도에 따른 결정상의 변화는 XRD로 평가하였다. 400℃에서는 Li(NCM)O2 결정구조가 변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결정 피크가 약간 존재하였다.
  • 가 완전히 환원되었을 때의 무게 감량으로 그 실험조건 (온도 및 수소투입량)에서 발생된 무게 감량을 나눔으로서 계산하였으며, Table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3가지 환원반응 중에서 실제로 수소에 의한 반응으로 M = Ni, Co, Mn은 완전히 금속화가 되지 않고 일부는 산화물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의 환원율은 반응 (2)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NCM계 양극스크랩 분말의 수소환원에 대한 기본적인 처리 온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우선 수소분위기의 TGA (Thermogravimetric Analysis) 분석기를 이용하여 중량 감소율을 측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Fig. 4에 나타내었다.
  • 그리고 챔버의 크기는 200 mm × 200mm × 400mm (가로 × 세로 × 길이)이며, 온도조절부는 R-type 열전대와 PID 온도제어장치를 이용하였다. 가스조절부는 3가지 종류의 가스를 흘려보낼 수 있도록 설계를 하였으며, 수소가스 및 질소가스가 정량적으로 흘러들어 갈 수 있도록 5 L/min용 flow meter를 장착하였다.
  • 그리고 수소환원 분말과 리튬을 회수하기 위하여 수소환원 후 수세한 분말에 대하여 초기의 Li(NCM)O2의 결정구조가 환원온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지 XRD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Fig. 5 및 Fig. 6에 나타내었다.
  • 또한 환원율은 NCM계 양극스크랩 Li (M = Ni, Co, Mn)O2가 완전히 환원되었을 때의 무게 감량으로 그 실험조건 (온도 및 수소투입량)에서 발생된 무게 감량을 나눔으로서 계산하였으며, Table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3가지 환원반응 중에서 실제로 수소에 의한 반응으로 M = Ni, Co, Mn은 완전히 금속화가 되지 않고 일부는 산화물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의 환원율은 반응 (2)를 기준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상기 과정의 수세액의 리튬 함유량을 분석한 결과 약 10,000 ppm 정도 존재하였으며, 리튬을 회수하기 위하여 각 온도에서 수소로 환원처리된 분말 수세액 500 ml 에 CO2 가스를 1 L/min으로 약 30분 정도 불어 넣어 줌으로서 탄산리튬을 제조하였으며, 그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 수소로 환원 처리된 NCM계 이차전지 공정 스크랩 분말에 대한 황산에 따른 유가금속의 침출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황산 1M에서 4M까지 변화시키고 고액비는 100 g/L 고정시켜 침출실험을 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수소환원 처리 전 분말에 대하여서도 똑같은 조건으로 황산침출 실험을 하였으며, 수소로 환원된 침출 원료는 500℃에서 1시간 처리된 분말을 사용하였다. 1M의 황산농도에서는 코발트 39%, 니켈 38%, 망간 81%로 침출되었으며, 황산 2M에서는 코발트 88%, 니켈 99% 이상, 망간 90%로 침출되었으며 전체적으로 1 M의 황산에 비해 약 45% 정도 침출율이 증가하였다.
  • 수소환원 처리된 NCM계 이차전지 공정 스크랩 분말 100g을 물 1L에 넣어 1시간 정도 수세한 후 여과를 통한 침출액의 리튬 함량을 분석하여 원료분말의 리튬 함량과 비교하여 리튬의 침출율을 구하였다. 리튬에 대한 침출율 결과를 Fig.
  • 실험은 알루미나 도가니를 사용하여 약 100 g의 샘플을 취하여 환원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가스는 우선 질소가스를 소정온도까지 1 L/min의 속도로 흘린 후 온도 유지 시간 동안 수소가스를 흘렸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NCM계 양극물질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스크랩에 대하여 수소환원 처리에 의해 리튬을 CO2가스를 이용하여 먼저 회수하고, 나머지 니켈, 코발트, 망간 함유 분말을 회수하게 위하여 산 침출거동을 살펴보았다.

대상 데이터

  • 그리고 챔버의 크기는 200 mm × 200mm × 400mm (가로 × 세로 × 길이)이며, 온도조절부는 R-type 열전대와 PID 온도제어장치를 이용하였다.
  • 사용한 시료의 니켈, 코발트 및 망간의 금속비는 니켈 54.7%, 코발트 18.3%, 망간 27.1%로 Li(Ni0.5Co0.2 Mn0.3)O2의 양극 활물질에서 나온 공정스크랩이라 추정되어진다.
  • 실험에 사용한 NCM계 양극 분말 스크랩에서 먼저 리튬을 회수하기 위하여 수소환원을 실시하였다. 실험 장치는 (주) KF에서 제작한 로를 사용하였으며, 그 로의 개략도를 Fig. 3에 나타내었다. 실험 장치는 크게 가열부, 온도조절부, 가스조절부로 구성되었다.
  • 3에 나타내었다. 실험 장치는 크게 가열부, 온도조절부, 가스조절부로 구성되었다. 가열부는 SiC 발열체를 사용하였으며, 사용온도는 약 1300℃로 환원 시에는 SUS316 챔버를 이용하기 때문에 상용 온도는 약 900℃ 이하가 적당하기 때문에 수소환원의 온도는 400℃에서 800℃까지 100℃ 간격으로 하였으며, 유지시간은 1 hr로 고정하였다.
  • 실험에 사용한 NCM계 양극 분말 스크랩에서 먼저 리튬을 회수하기 위하여 수소환원을 실시하였다. 실험 장치는 (주) KF에서 제작한 로를 사용하였으며, 그 로의 개략도를 Fig.
  • 실험에 사용한 시료는 국내 리튬이온전지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NCM계 양극스크랩으로서 알루미늄 호일에 도포하가 전의 원료를 사용하였으며, 그 화학조성은 왕수로 침출한 후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GBC Integra XL)로 분석하여 그 결과를 Table 1에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CM계 이차전지 공정 스크랩 분말에 대한 수소환원 처리에 따른 리튬회수 및 산침출 거동연구의 결과는? 1) 수소를 이용한 환원반응에 따른 무게 감량은 400℃부터 이루어졌으며, 800℃에서 약 15% 감소하였으며, 이때의 환원율은 93.3%였다. 2) 수소환원 온도에 따른 결정상의 변화는 XRD로 평가하였다. 400℃에서는 Li(NCM)O2 결정구조가 변하기 시작하였으며, 그 결정 피크가 약간 존재하였다. 500℃에서는 Li(NCM)O2 피크가 사라졌으며, Co/Ni, MnO, Li2O 피크가 존재하였으며, 600℃부터는 LiMnO2의 피크가 생성되기 시작하였다. 3) NCM계 이차전지 공정 스크랩 분말에 환원처리 후 리튬회수 결과를 보면, 500℃에서 수소환원 처리한 분말 100 g/L로 수세한 결과 약 75% 침출율로 최대를 나타났다. 그 이유는 600℃부터는 LiMnO2 결정의 생성으로 리튬이 물에 침출되지 않기 때문으로 판단되며, 회수된 탄산리튬은 순도는 약 99%였다. 4) NCM계 이차전지 공정 스크랩 분말에 환원처리 전후 황산 침출 결과를 보면, 수소환원 처리 후의 분말이 2 M 황산농도에서 코발트가 32%, 니켈이 45%가 침출효율이 향상되었으며, 망간의 경우에는 90% 정도 침출되었다. 그리고 수소환원 처리 분말의 3 M 황산용액의 침출율은 코발트 89%, 니켈 99% 이상, 망간 99% 이상 침출되었다.
현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용 고용량 양극소재로 적용되고 있는것은? 기존 사용되는 소형 가전기기 및 모바일용은 LiCoO2 (LCO)를 위주로 사용되어 왔으나 이는 코발트의 높은 가격과 폭발의 위험성으로 고출력을 요구하는 중/대형 전지에는 사용이 부적합하기 때문에 이에 고가의 코발트를 다량 사용하는 LCO를 대체할 수 있는 양극소재로 3원계 양극활물질이 각광을 받고 있으며, 니켈, 코발트, 망간의 3가지 금속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HEV)용 고용량 양극소재로 Li(NixCoyMnz)O2 (NCM)이 적용되어지고 있다.
기존의 이차전지 양극활물질을 재활용 방법의 단점은? 그리고 NCM계에 대하여서는 2011년 Kim 등16)이 전기자동차용 폐리튬이온전지 배터리팩을 물리적/화학적 처리를 통하여 니켈, 코발트, 망간 양극 활물질 Precusor를 제조하였으며, 공침여액을 이용하여 탄산리튬을 제조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러나 기존의 이차전지 양극활물질을 재활용 방법은 먼저 유가금속인 코발트, 니켈, 망간을 회수하고, 리튬은 탄산나트륨을 사용하여 탄산리튬 형태로 회수하게 되는데, 이 경우 나트륨이 불순물로 작용하여 여러 번 수세 공정을 거쳐야 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 C. Jung et al., 2010: Overview and future concerns for lithium-ion batteries materials, J.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17(3) pp. 175-189. 

  2. H. K. Park, 2008: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trend of cathode materials in lithium ion battery, J. Korean Electrochem. Soc., 11(3), pp. 197-210. 

  3. H. S. Hong et al., 2011: Overview and Prospects for cathode materials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Trend in Metals & Materials Engineering, 24(1), pp. 26-32. 

  4. G. C. Shim, 2011: A state of art review on lithium-ion batteries for vehicular applications, Trend in Metals & Materials Engineering, 24(6), pp. 49-64. 

  5. J. J. Lee and J. D. Chung, 2010: A study on the cobalt and lithium recovery from the production scraps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by high efficient and eco-friendly method, J.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19(6), pp.51-60. 

  6. B. Swain et al., 2005: Recovery of cobalt from waste cathodic active material generated in manufacturing lithium ion batteries by hydrometallugical process, J.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14(6), pp. 28-36. 

  7. C. K. Lee and D. H. Yang, 2001: Recovery of valuable metals from spent lithium ion batteries, J. Korean Ind. Eng. Chem., 12(8), pp. 890-895. 

  8. C. K. Lee and N. H. Kim, 2001: Reductive leaching of $LiCoO_2$ in a sulfuric acid solution, J.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10(6), pp. 9-14. 

  9. C. K. Lee and T. H. Kim, 2000: Leaching of cathodic active materials from spent lithium ion battery, J.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9(4), pp.37-43. 

  10. L. Li et al., 2010: Environmental friendly leaching reagent for cobalt and lithium recovery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Waste Management, 30, pp. 2615-2621. 

  11. Y. Yamaji et al., 2011: A novel flow sheet for processing of used lithium-ion batteries for recycling, Resource Processing, 58, pp. 9-13. 

  12. C. Liang et al., 2011: Separation and recovery of Ni, Co, and Mn from spent lithium-ion batteries, The Chinese Journal of Nonferrous Metals, 21(5), pp. 1192-1198. 

  13. M. Petranikova et al., 2011: Cobalt recovery from spent portable lithium accumulators after thermal treatment, Acta Metallugica Slovaca, 17(2), pp. 106-115. 

  14. E. M. Garcia, et al., 2011: Electrochemical recycling of cobalt from spent cathodes of lithium-ion batteries: its application as coating on SOFC interconnects, J. Appl. Electrochem, 41, pp. 1373-1379. 

  15. T. Georgi-Maschler et al., 2012: Development of a recycling process for Li-ion batteries, J. of Power Sources, 207, pp. 173-182. 

  16. S. K. Kim et al., 2011: The high efficient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 of spent lithium ion battery module of electric vehicle for recovery of valuable metals, The 2011 spring meeting and 36the conference, Korean Inst. of Resources Recycling, pp. 84-89. 

  17. R. Kononov, 2008: Carbothermal solid state reduction of manganese oxide and ores in different gas atmospheres, Ph. D. thesis,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