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구곡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f Yongha Gugok in Worak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4, 2013년, pp.487 - 497  

백승준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강현경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김선화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계곡을 대상으로 용하구곡 시문에 내재되어 있는 식생경관 요소를 도출하고,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식생구조를 파악, 국립공원 내 구곡경관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식생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시문을 통하여 자연경관요소를 도출한 결과, 너럭바위, 자연첩석, 맑은 물, 밝은 돌, 시냇물, 골짜기, 폭포, 소나무, 당단풍으로 나타났으며, 주요 식생경관 요소로서 소나무와 당단풍으로 도출되었다. 현존식생 조사 결과, 자연식생은 67.5%로 소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 굴참나무-소나무군집, 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 졸참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신갈나무-소나무군집, 낙엽활엽수군집으로 분류되었다. 인공식생(18.7%)은 졸참나무-일본잎갈나무군집, 신갈나무-밤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밤나무군집, 관목림, 일본잎갈나무-신갈나무군집이 분류되었으며, 초지지역(2.0%)은 참억새군집, 갈대군집, 기타지역(11.9%)은 조경수식재지, 밭, 과수원, 주거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용하구곡의 대표식생은 소나무군집, 굴참나무-졸참나무군집, 일본잎갈나무군집, 낙엽활엽수군집이었으며 Shannon의 종다양도는 전체적으로 0.6274~0.9908이었다. 용하구곡은 도통계승과 자연애의 표상이며, 조선말과 일제강점기의 위정척사사상이 담겨있는 청정지역으로 자연성이 높은 계곡경관의 보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와 같은 역사 문화적 구곡의 식생경관 관리방안을 위하여 소나무군집은 경관유지, 일본잎갈나무군집은 자연천이 유도를 위한 밀도관리가 필요하며, 자연재해 및 인위적 훼손시, 계곡부 식생복원을 위하여 역사 문화적 식생경관인 소나무 중심의 식생복원계획이 적용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Gugok landscape maintenance and improvement by deducing the vegetation landscape factors inherent in Yongha Gugok and understanding vegetation structure through the investigate of existing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역사적 배경으로 의당 박세화의 용하구곡 관련 시를 통하여 그 당시 식생경관 요소를 도출할 수 있으며 현재의 식생 특성을 토대로 한 관리의 방향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월악산국립공원 용하계곡을 대상으로 용하구곡 시문에 내재되어 있는 식생경관 요소를 도출하고, 현존식생, 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여 식생구조를 파악, 국립공원 내 구곡경관의 유지 및 개선을 위한 식생 관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용하구곡각자사실의 내용은? 용하구곡각자사실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곡 홍단연쇄 (虹斷烟鎖)는 “흐르는 시냇물을 거슬러 수백 무(武) 쯤 올라가면, 하나의 돌이 흐르는 시내를 가로 지르고 있는데, 네모나게 깎여있으며, 평평하고 높아 몇 길이 된다. 위로는 하나의 늘어진 소나무가 울창하게 서려 언개(偃蓋)를 이루며, 아래에 수십 명이 앉을 수 있다.”로 해석되며, 2곡 전산 기중(前山幾重)은 “돌로 이루어진 대(臺)가 있어 흐르는 시내에 닿아있다. 골짜기가 깊고 돌이 밝으며 물이 희어 가장 좋은 경치이다.”로 해석된다. 3곡 가학정도(架壑停棹)는 “시내 위쪽에 석벽(石壁)이 병풍처럼 깎아지른 듯 서있으며, 소나무와 당단풍이 빽빽히 비치고, 돌 하나가 평평하고 넓어 어슬렁 거닐만 하다.”로 해석되며, 4곡 암화수로(暗花 垂露)는 “가장 그윽하고 깊으며 좌우에 기이한 경치가 펼쳐져 기쁘게 한다. 하나의 큰 돌이 흐르는 시내를 눌러 끊고, 위로 푸르게 늘어진 노송(老松)을 떠받들고 있다.”로 해석 된다. 5곡 산고운심(山高雲深)은 “기다란 돌이 평평하게 펼쳐져 있는데, 위로는 층층의 돌이 벽(壁)을 이루었다. 물이 깊게 고여 못을 이루었는데 사람들이 ‘하용추(下龍湫)’라 전하였다.”로 해석된다. 6곡 원조춘한(猿鳥春閒)은 “숲이 무성하게 가려져 있는, 석벽(石壁) 가운데 비어있는 공간에, 동굴집(窟宅)이 있다. 그윽하고 어두우며, 왼쪽으로 들어가서 오른쪽으로 나올 수 있으며, 기이함을 외치고 괴상함을 즐길 수 있다.”로 해석되며, 7곡 봉우비천(蜂雨飛泉)은 “석벽(石壁)이 우뚝 둘러싸고 있으며, 물이 위로부터 아래로 떨어져 큰 폭포가 이루어졌다. 남북으로 석벽(石壁)이 얼굴을 대하고 있다. 당단풍이 그윽하고 경계(境界)가 가장 좋아, 휘파람 불며 뽐낼 만하다. 다만 물이 심하게 돌고 날씨가 어둑해지면 갑자기 오싹해지고 냉기가 몰려와 오래 머무를 수 없다.”로 해석된다. 8곡 풍연욕개(風烟欲開)는 “돌이 층계를 이루고 아래에 물이 매달려, 곧 ‘와폭(臥瀑)’을 이루었으며, 아래에 물이 돌고 깊어져 못을 이루었다.”로 해석되며, 9곡 제시인간별유천(除是人間別有天)은 “아래에 돌이 있는데 넓게 대(臺)를 이루어 ‘강서대(講書臺)’라 새기었고, 큰 돌이 물가에 우뚝 솟아있어 소립탁이(所立卓爾)라 새기었다. 위는 땅이 평평하게 펼쳐져 ‘도량(道場)’을 이루고, 이에 돌을 쌓아 대를 만들었는데 수 십여 인이 앉을 수 있으며, 동서 두 계단의 당도(堂塗)를 만들어, 정원을 열었다.”로 해석되었다.
최초로 지정된 국립공원은?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 의해 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관리, 운영되고 있다. 1967년 12월 27일 지리산국립공원이 최초로 지정되었으며 1987년 7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설립되기 전까지 시ㆍ도 또는 시ㆍ군ㆍ구에서 공원관리를 하였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의 설립은 관리체제의 일원화로 관리기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일관성 있는 정책집행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다.
국립공원은 누가 관리, 운영하나?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 의해 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관리, 운영되고 있다. 1967년 12월 27일 지리산국립공원이 최초로 지정되었으며 1987년 7월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설립되기 전까지 시ㆍ도 또는 시ㆍ군ㆍ구에서 공원관리를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Choi, K.S.(1990) The Interpretation of Structure of the Korean Traditional Landscape Expressed in Gok and Kyoung. Ph. D. Thesis, Graduate School of The Hanyang University, 208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S.H., K.K. Oh, S.H. Cho and H.M. Kang(2005) Edge vegetation structure of trails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2): 106-1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4. Han, B.H., J.I. Kwak, J.H. Jang and J.H. Bae(2009) A study on vegetation management plan for improvement of Gugok landsacpe of Hwayang valley in Songn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2): 194-2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echeonsi(2013) Scientific investigation of Neunggang and Yongha Gugok. Jecheon, South Korea, pp. 72-76. (in Korean) 

  6. Kim, S.J. and W.K. Sim(2005) Yulgok's view of ideal landscape depicted in Gosangugo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3(4): 1-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Lee, S.H. and H.Y. Lee(2001) Cultural landscape characters of Kokwungukok.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19(4): 47-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Lee, T.B.(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980pp. (in Korean) 

  9. Park, I.H., J.J. Kim and K.S. Kim(2005)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altitude and part of slope in the Mansugol valley at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9(2): 99-1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Park, J.S., J.H. Rho and W.K. Sim(2010) Taoist hermit motif reflected in Seonyu Gugok-Wonlim.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28(4): 30-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Pielou, E.C.(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and Sons Inc, New York, 165pp. 

  12. Shin, K.H., H.J. Kwon and H.K. Song(2011)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the Young-bong area in W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4(1): 43-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