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QFD/AHP를 이용한 Heavy Lifting 서비스 업체 선정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riteria of Selecting Heavy Lifting Service Provider Using QFD/AHP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36 no.3, 2013년, pp.51 - 62  

박세정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  김승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  김우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글로벌융합산업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opose a method using QFD for desig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AHP. This method provides definition for each area of House of Quality and design the hierarchical structure of the bottom-up QFD/AHP in which the upper hierarchy is designed through the classification of common characteristic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QFD 모형을 정확하고 세부적인 검증을 위해 계량화하여 점수 척도로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전문가 설문을 통해 연관성 여부를 검증하였다. 점수 결과를 기반으로 관계 검증을 통해 AHP 계층구조를 수립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체들이 자사에 맞는 Heavy Lifting 서비스 업체를 선정할 때 기존의 가격과 경험이 아닌 과학적 평가지표 모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품질기능전개(QFD : Quality Function Deployment, 이하 QFD) 방법론을 활용한 새로운 평가지표 설계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AHP 계층구조 설계 시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전혀 연관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관계는 0점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로서 4개 공통 평가항목과 15개 평가지표 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평가하도록 함으로서 요소들 간의 독립성과 공통평가 항목 도출이 객관성을 충족 하는지 분석하였다. 각 항목과 공통항목과의 연관성이 4점(보통) 이상일 경우 연관성이 있다고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업체들이 자사에 맞는 Heavy Lifting 서비스 업체를 선정할 때 기존의 가격과 경험이 아닌 과학적 평가지표 모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품질기능전개(QFD : Quality Function Deployment, 이하 QFD) 방법론을 활용한 새로운 평가지표 설계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AHP 계층구조 설계 시 객관성을 높일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한 계층의 요소들은 상위 계층의 요소에 대하여 종속적이되, 동일계층의 요소들 상호간에는 독립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넷째, 기대성(expectation)에 대한 충족이다. 의사결정의 목적에 대한 사항을 하위계층 구성을 통하여 완전하게 포함하여야 한다[21].
  • 의사결정자는 동일한 계층 내에 있는 2개의 요인을 쌍대비교할 때 A가 B보다 X배 중요하면 B는 A보다 1/X배 중요하다는 것이다. 둘째, 동질성(homogeneity) 충족이다. 중요도는 제한된 범위 내에서 정해진 척도에 의하여 표현되어야 하며, 그러한 중요도에 대한 평가척도는 동일해야 한다.
  • AHP 기법에서는 4가지의 기본공리에 대한 충족을 요구하고 있다. 첫째, 역수성(reciprocal)에 대한 충족이다. 의사결정자는 동일한 계층 내에 있는 2개의 요인을 쌍대비교할 때 A가 B보다 X배 중요하면 B는 A보다 1/X배 중요하다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PC 업체들이 장비 업체에게 요구하는 것은?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이하 EPC) 업체라 불리는 대형 건설업체들은 단순히 장비를 대여하여 쓰는 것이 아닌 세부적인 엔지니어링을 장비 업체에게 요구하게 되었고 장비 업체들은 무거운 자재를 들어올려 이동 할 수 있는 엔지니어링 기술을 가지는 것이 필수 요소가 되면서 Heavy Lifting은 전문 인력들만 다룰 수 있는 고도의 전문 분야가 되었다.
국내 EPC 건설업체들의 시행착오적인 방법 사용에 의한 문제점은? 그러나 국내 EPC 건설업체들은 중장비 선정 시 기술력과 공사능력을 고려하지 않고 주로 낮은 가격과 경험이나 실적에 시행착오적인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적절하지 못한 장비의 선정은 생산성 저하, 공기 지연, 추가비용 발생 등의 문제를 야기시킬 뿐만 아니라 과학적이지 않은 중장비 선정 및 관리는 체계적인 공사계획 수립까지 어렵게 만드는 요소가 되고 있다.
QFD는 무엇인가? QFD의 기본 개념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품질에 대한 고객의 요구사항으로 처리함으로써 설계 특성들의 상호관계를 파악하여 이를 계층구조로 설계하는 것이다[14]. QFD는 1972년 일본 미쓰비시 중공업의 고베 조선소에서 원양어선 제작 시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설계 과정에서 동시에 고려하기 위한 수단으로 시작된 기법으로,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을 통해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목적[19]으로 만들어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 S.T., Signalman Action Analysis for Container Crane Controlling.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2009, Vol. 12, No. 12, p 1728-1735. 

  2. Bicknell, B. and Bicknett, K.D., The Road Map to Repeatable Success; using QFD to Implement Change, CRC Press, Boca Raton, FL, 1995. 

  3. Gi, D.H. and Kim, W.G., Crane died Status and safety meas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05, Vol. 20, No. 1, p 137-142. 

  4. Govers, C.P.M., What and How about Quality function Deployment (QFD).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1996, Vol. 46, p 575-585. 

  5. Ho, J.K., The Development of Tools Selecting Tower Crane and Reviewing the Safety. Korean Society for internet Information(Fall), 2005, Vol. 6, No. 2, p 811-814. 

  6. Jang, G.H. and Park, C.S., Development of an Enhanced PQ model for contractor qualification. Architecture Institute of Korea, 1995, Vol. 15, No. 2, p 667-671. 

  7. Jeon, J.H. and Han, M.Y., A Study on using Counter Weight Technology for a Crane's Energy Saving and Improving performance.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Fall), 2002, p 1051-1056. 

  8. Jeong, D.K. and Yun, G.B., A Study on Fatigue Life Assessment Procedure for a Container Cran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1999, Vol. 14, No. 2, p 11-18. 

  9. Kim, J.S., A study on the High speed Railway Route Selection-Focusing on 4 design tools, 2011. Seoul Natio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aster's degree Thesis, 2011. 

  10. Kim, Y.S., Cho, J.K., Kim, M.J., Cho, K.M., and Hyun, C.T., A Productivity Analysis of Tower Crane Installation Progress Based on Simulation Technique.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2010, Vol. 10, No. 2, p 33-40. 

  11. Kim, J.H., Sohn, S.G., and Lee, K.T., Empirical Study on Efficiency Of Government Contract in Korea. korean jounal of management accounting research, 2011, Vol. 1, No. 1, p 133-154. 

  12. Ko, B.I., Park, J.H., Im, H.G., and Seo, E.H., Compared to the ergonomic evaluation of international relevant standards for crane accident prevention.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Fall), 2006, p 389-392. 

  13. Lee, B.W., A Study on Core Competences of ITS Project Managers using QFD and AHP. Seoul Natio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Master's degree Thesis, 2010. 

  14. Lee, H.J.,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the Performance of Defense Core-Technology R&D Projects Using SMR/AHP. Seoul Nation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0, Doctor degree Thesis. 

  15. Masood, A.B., A combined AHP-GP model for quality control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2001, Vol. 72, No. 1, p 27-40. 

  16. Ohk, S.M., Park, T.J., and Ryu, K.R, Optimization of the work plan of the real-time automation Jean Ji Jean Cran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Fall), 2006, p 336-344. 

  17. Park, J.H., Park, T.J., Im, H.G., and Seo, E.H., Analysis of Crane Accidents by Using a Man-Machine System Mode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007, Vol. 22, No. 2, p 59-66. 

  18. Vaidya, O.S. and Kumar, S., Analytic hierarchy process : An overview of application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2006, Vol. 169, p 1-29. 

  19. Won, Y.W., Kim, K.Y., and Yun, D.K., Consistency Check of a House of Quality Chart by Limiting Probability Concept and Median Rank. The Journal of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2010, Vol. 33, No. 3, p 22-29. 

  20. Wu, D., Lin Y., Wang, X., Wang, X., and Shunde G., Algorithm of Crane Selection for Heavy Lifts.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copyright}$ ASCE, 2011, p 57-65. 

  21. Yang, Y. and Mitsuo GEN, Resource Allocation Problem for a Quay Cranes and Berths Scheduling by Hybrid Evolutionary Algorithm, 2008, feedback. Applied Mathematics and Computation, 2006, Vol. 180, p 63-75. 

  22. Yun, T.W., Kim, H.Y., and Lee, K.J., A Study on Evaluating Method for the Capability of Construction Firms(Final).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1989, Vol. 12, p 1-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