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홍도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Hongdo Island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7 no.5, 2013년, pp.592 - 613  

이지혜 (한밭수목원) ,  도미솔 (충남대학교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  송호경 (충남대학교 산림환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홍도의 식생구조를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군락을 분류하고, 식생과 토양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구배분석을 실시하였다. 홍도의 식생은 구실잣밤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소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중요치 분석결과 구실잣밤나무가 75.56%로 가장 높았으며, 소나무 34.84%, 후박나무 29.11%, 동백나무 26.88%, 붉가시나무 17.79%, 황칠나무 15.23%, 광나무 13.41%, 소사나무 12.6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토양은 매우 높은 유기물과 질소함량을 보이며 표토층에서 강한 산성토양의 특성을 나타내어 우리나라의 일반 산림토양과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유기물함량 14.48~25.45%, 전질소함량 0.49~0.90%, 유효인산함량 26.00~58.68mg/kg, 치환성양이온 $K^+$$0.64{\sim}1.64cmol^+/kg$, $Ca^{2+}$$6.22{\sim}21.51cmol^+/kg$, $Mg^{2+}$$2.92{\sim}6.95cmol^+/kg$, 토양 pH는 4.42~5.44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DCCA를 이용한 홍도의 식생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구실잣밤나무 군락이 수분이 가장 많은 곳에 분포하였고,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순으로 분포하였다. 후박나무군락이 pH, 치환성양이온 $Ca^{2+}$, $Mg^{2+}$, $K^+$, 양이온치환용량 등이 가장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소사나무군락이 소나무군락에 비해 해발고, 전질소,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양이온 $Mg^{2+}$ 등이 높은 지역에 분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vegetation properties, soil characteristic, and ordination of forest in Hongdo islan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Carp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절대적인 보존이 필요한 지역이지만 집단시설지구가 보호구역내에 위치하고 서남해 도서지역의 대표적 관광자원으로 주민 및 관광객에 의해 고정적이고 지속적으로 동․식물의 서식 및 생육지가 교란․훼손되고 있는 등 관리상의 문제점들을 안고 있다. 본 연구는 홍도의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현재의 식물사회 분포와 구성을 통해 그 입지조건을 추정하여 보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2010)의 연구대상지를 양상봉에서 홍도 1구~깃대봉~홍도 2구까지 확장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토대로 식물군락을 분류하고 현재의 식물사회 분포와 구성을 통해 그 입지조건을 추정하여 보호,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최근 지구환경 변화와 더불어 종다양성 등 자원화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난대림의 식물사회 분포와 식생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인자들과의 관계를 구명하여 생육적지를 판정하므로 본 연구는 홍도의 서식지 보존 및 자원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후 홍도의 종 조성에 관한 조사를 통하여 종의 증감여부와 특산 식물, 희귀 및 멸종위기식물, 특정식물, 귀화식물 등의 주요 특성과 현황을 파악하고 종 보전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e 3. Auflage. Wien, New York, 865pp. 

  2. Cho, S.J., C.S. Park and D.I. Um(1985) Soil Science. Hyangmunsa, Seoul, 396pp. (in Korean) 

  3. Choi, S.K.(2003) Growth characteristics of Dendropanax morbifera LEV. in Wando area of Korea. Koean J. Crop Sci. 48(6): 434-4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 Ecology 32: 476-496. 

  5. Dierssen, K.(1990) Einfuhrung in die Pflanzensoziologie. Akademie- Verlag Berlin, 241pp. 

  6. Ellenberg, H.(1992) Zeigerwerte der Gefasspflanzen Mitteleuropas. Scripta Geobotanica 18. 2. Auflage, 258pp. 

  7. Hill, M.O. and H.G. Gauch(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etatio 42: 47-58. 

  8. Hill, M.O.(1979) DECORANA: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l Univ. Ithaca, N.Y. 14850, 52pp. 

  9. Hubner, W.(1989) Die okologischen Artengruppen nach Schonhar 1954/1988. Mitt. d. Verein F. Forstl. Standortskunde u. Forstpflanzenzuchtung 34: 25-38. 

  10. Ihm, B.S.(1986) Some Characteristics of Red Pine Trees of Hongdo Island at Different Soil Properties.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Biota Mokpo National College. vol. 3: 69-78. 

  11. Jeong, J.H., K.S. Koo, C.H. Lee and C.S. Kim(2002)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Korean forest soils by regions. Jour. Korean For. Soc. 91(6): 694-70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Jin, H.O., M.J. Lee, Y.O. Sin, J.J. Kim and S.G. Jeon(2002) Forest Soils. Hyangmunsa, Seoul, 325pp. (in Korean) 

  13. Kang, J.T., N.C. Park and Y.G. Chung(2002) Effects of the soil properties on growth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Dendropanax morbifera stands in warm temperate forest zone. Jour. Korean For. Soc. 91(6): 2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l, B.S. and J.U. Kim(1999) Syntaxonomy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Korea. Korean J. Environ. Biol. 17(3): 233-2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C.S. and J.G. Oh(1990a)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I): the vegetation of Chodo archipelago. Korean J. Ecol. 13(3): 181-19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C.S. and J.G. Oh(1990b) Phytosociological study o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II: The vegetation of Kumo archipelago. Korean J. Ecol. 13(4): 343-3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C.S.(1986) Studie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Hongdo Island. Bulletin of Institute of Littoral Biota, Mokpo National College 3: 1-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C.S.(1987) Studies on the Flora and Vegetation of Hongdo Island.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Hongdo Nature Reserve, Sinan-gun, pp. 88-175. (in Korean) 

  19. Kim, I.T., J.H. Lee and Y.G. Jin(2000) The vegetation of Hansando and Chubong islets. Korean J. Ecol. 23(5): 391-39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M.Y.(2004) Korean Edemic Plants. Solkwahak, Seoul, 224pp. (in Korean) 

  21. Kim, S.H.(2010)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of Vegetation in Denropanax morbifera Lev. Natural Forests in the Warm Temperate Zone of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pp. 1-21. (in Korean) 

  22. Kim, S.H., C.H. Shin, N.C. Jung, C.S. Na and Y.J. Kim(2000) Site characteristics and vegetation structure of Denropanax morbifera lev. natural forests in the warm temperate zone of Korea. Jour. Korean For. Soc. 89(1): 93-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6) Warm Temperate Tree Species of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63pp. (in Korean) 

  24.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2) Meteorological data. http://www.kma.go.kr/ 

  25. Lee, J.H., S.K. So, G.U. Suh, M.Y. Kim and H.K. Song(2010) Vegetation and soil properties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Korean J. Env. Eco. 24(1): 54-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S.W.(1981) Studies on forest soils in Korea (II). Jour. Korean For. Soc. 54: 25-3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ee, T.B. and T.W. Kim(1968) Report of the Academic Survey of Mt. Hanlasan and Hongdo Natural Conservatory Area : Natural Monument No. 182 and 170. Culture and Public Information, Seoul, pp. 308-359. (in Korean) 

  28.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II, Hyangmunsa, Seoul, I : 914pp; II 910pp. (in Korean) 

  29. Miller, H.G. and R.L. Donahue(1990) Soils: an Introduction to Soils and Plant Growth. Prentice-Hall. N. J., 768pp. 

  30.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2000) Analysis of Soil and Plants. 203pp. (in Korean) 

  31. Oh, K.K. and W. Cho(1994)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Hongdo, Korea. Jour. Env. Eco. 8(1): 27-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Oh, K.K. and Y.S. Kim(1996)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warm temperate region (I): vegetation structure, Korea. Jour. Env. Eco. 10(1): 87-1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Park, B.O.(1995) A study on Revegetation of Hongdo Nature Reserve, Korea. Master thesis, Univ. of Seoul, Korea, 140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4. Park, C.M.(1998) Investigation on the inhabitation environments and growth conditions of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in Oyonsanbando. Korean J. Env. Eco. 12(3): 242-2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5. Park, G.S and S.W. Lee(1990) The Influence of organic matter on soil aggregation in forest soils. Jour. Korean For. Soc. 79(4): 367-3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6. Park, G.S., H.K. Song and S. Yee(2000) Soil characteristics in Fagus multinervis subcommunities at Songinbong area of Ullungdo. Korean J. Environ. Biol. 18(3): 299-30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Ter Braak, C.J.F. and P. Smilauer(1998) CANOCO - Reference Manual and User's Guide to Canoco for Windows. Microcomputer Power, Ithaca, USA, 352pp. 

  38. Yee, S.(2000) A Studuy on Characteristic od Forest Vegetation and Site in Mt. Odae(I) -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y in Tongdaesan - Jour. Korean For. Soc. 89(2): 173-1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9. Yim, K.B. and C.S. Kim(1974) Pinus densiflora S. et Z. Population in Hong-do Island in Korea. Jour. Korean For. Soc. 24: 53-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0. You, K.A and K.K. Lee(1999) Geomophological, geological and oceanographical environments of Hongdo area. Journal of Naju College. vol. 4: 51-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