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도군 접도의 식생 특성
Vegetation Characteristics in the Jeopdo(Island), Jindo-gu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1, 2020년, pp.27 - 41  

강현미 (국립목포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식물학적 가치가 높으나 식물과 관련된 연구가 전무한 접도를 대상으로 식생 특성을 파악하여 데이터베이스구축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식생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100㎡ 크기의 조사구 52개소를 설치하여 조사·분석하였다. TWINSPAN에 의한 군락분류 결과, 곰솔-소나무군락, 소나무-졸참나무군락, 소사나무-굴참나무군락, 소사나무-상수리나무군락, 굴참나무-소사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군락, 육박나무-동백나무군락 총 7개 군락으로 유형화되었다. 접도의 식생은 크게 상록침엽수군락(군락 I, II),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군락 III, IV, V), 상록활엽수군락(군락 VI, VII)로 구분할 수 있다. 상록침엽수군락은 현재 소나무, 곰솔이 졸참나무와 경쟁 상태에 있으며, 천이 중간단계 및 극상단계의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의 세력이 미비하여 현재상태가 유지될 것으로 판단된다. 소사나무-낙엽성 참나무류혼효군락은 토양조건의 영향으로 식생발달 속도가 늦어 현재상태가 오랫동안 유지될 것으로 판단되며, 상록활엽수군락은 소나무, 곰솔 등의 천이 초기단계에서 졸참나무를 거쳐 구실잣밤나무, 육박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되고 있다. 표본목의 연령은 대체적으로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가장 오래된 수목은 구실잣밤나무로 예측연령이 약 59년이었다. 주요 수종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곰솔과 사스레피나무, 소나무와 쇠물푸레나무, 육박나무와 동백나무 등이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소나무와 소사나무, 소사나무와 사스레피나무가 높은 부의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Jeopdo (island) for the construction of a database. We installed and analyzed 52 plots with 100㎡ quadrat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The community classification based on TWINSPAN found seven categories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식물학적 가치가 높은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접도의 식물사회학적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섬의 생태 및 식물학적 가치 등을 고려하여 연구가 미흡한 접도를 대상으로 식생특성을 조사․분석하고 정확한 실태를 파악하여 한반도 난온대림의 특성과 섬의 식물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데이터베이스구축을 목적으로 하고자 하였다.
  • 이 지역은 식생에 대한 연구가 전문한 지역이나 상록활엽수와 낙엽활엽수가 혼효하는 곳으로 식물학적 가치가 높은(About Jeonnam in Island, 2020) 것으로 알려진 곳이다. 이에 본연구는 섬의 가치와 중요성이 대두되고는 있으나 섬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 연구가 부족한 접도를 대상으로 조사구를 설치하여 식생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접도의 특징은? 진도군은 유인도 45개, 무인도 209개 총 254개의 도서(섬)(Jindo-gun, 2020)로 이루어진 도서 지역으로 접도는 45개 유인도 중 한 곳이다. 접도는 섬 중앙에 위치한 최고봉인 남망산(164m)으로부터 남서 방향으로 연결된 해발고도 150m 산능을 중심으로 산지 지형을 이루고 있고, 동쪽으로 남해와 접하고 있으며, 대부분은 암석해안을 이루고 있다(About Jeonnam in Island, 2020).
접도는 어디에 속해있나? 접도(接島)는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금갑리에 속한 섬으로 진도 본 섬과 가까이 접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연도교(1987년 준공)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Digital JindoGrandculture, 2020). 진도군은 유인도 45개, 무인도 209개 총 254개의 도서(섬)(Jindo-gun, 2020)로 이루어진 도서 지역으로 접도는 45개 유인도 중 한 곳이다.
섬이 식물 생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주변 해역(동해, 서해, 남해)은 수리적 위치, 수심, 해류 등이 달라 다양한 해양 환경이 나타난다. 특히 바다 한가운데 있는 육지 공간인 도서는 바다로 둘러싸여 있고 면적, 육지로부터의 거리, 도서 간 거리, 도서 내 미지형 등의 차이가 커 이를 반영한 다양한 형태의 식물 자생지가 만들어 진다(Kimet al., 201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bout Jeonnam in Island(2020) http://islands.jeonnam.go.kr 

  2. Bramwell, D. and Caujape-Castells, J.(2011) The Biology of Island Floras. Cambridge Univ. Press, New York, 536pp. 

  3. Brower, J.E. and J.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194pp. 

  4. Chang, C.S., H. Kim and K.S. Chang(2011)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3. Woody Plants.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Paju. 511pp. (in Korean) 

  5. Cho, Y.J.(2018)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and Vegetation Variation of Daeheuksan Island. Docto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 126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Curtis, J.T. and R.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476-496. 

  7. Digital Jindo Grandculture(2020) http://jindo.grandculture.net 

  8. Harcombe, P.A. and P.H. Marks(1978) Tree diameter distribution and replacement processes in southeast Texas forests. For Sci. 24(2): 153-166. 

  9. Hattori, T. and S. Nakanishi(1985) On the distributional limits of the lucidophyllous forest in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Botanical Magazine, Tokyo 98(4): 317-333. 

  10. Hill, M.O.(1979a) TWINSPAN - 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r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S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99pp. 

  11. Hill, M.O.(1979b) DECORANA - A FORTRAN Program for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Reciprocal Averaging.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 Ithaca, New York, 52pp. 

  12. Jindo-gun(2020) http://www.jindo.go.kr 

  13. Kang, H.M. and S.G. Park(2018) Characteristics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ridge of the Hannamgeumbuk-Jeongmaek and Geumbuk-Jeongmae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6): 618-6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ang, H.M., S.G. Park and S.C. Lee(2016) Characteristics of Pinus densiflora-Dominant community on the mountain ridges of the Nakdong-Jeongmaek: Focusing on the Baekbyeongsan, Chilbosan, Baegamsan, Unjusan, Goheonsa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0(4): 751-76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l, B.S. and J.U. Kim(1999) Syntaxonomy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Korea. Korean J. Environment Biology 17(3): 233-247.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6. Kim, H.H., D.B. Kim, H.H. Song, G.Y. Hwang and W.S. Kong(2018) Phyto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outermost islands in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3(2): 117-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ra, T.(1976) Terrestrial Ecosystems -An Introduction(Handbook of Ecology, Vol. 2)-. Kyouritsu Shuppan, Tokyo, 166pp. (in Japanese) 

  18.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05) Survey Natural Pinus densiflora Forest in Gwangneung Experimental Forest, 246pp. (in Korean) 

  19. Korea Forest Service(2017) The Study on a Natural Resources Change Survey and Management Practice in the HannamGeumbuk, Geumbuk-Jeongmaek. Korea Forest Service, 513pp. (in Korean) 

  20.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8)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325pp. (in Korean) 

  21.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9) http://www.weather.go.kr 

  22. Lee K.J., W. Cho and B.H. Han(1996)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forests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115-12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K.J., W. Cho and S.D. Lee(1999)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Nojasan in Koje Island.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1): 78-8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4. Oh, K.K. and S.H. Choi(1993) Vegetational structure and successional se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regio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6(4): 459-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Oh, K.K. and W. Cho(1996) Vegetation structur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forest at Chomchalsan, Chindo,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10(1): 66-7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Oh, K.K. and Y.S. Kim(1996) Restoration model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I)-Vegetational structur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1): 87-1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Oh, K.K.(1994)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Mt. Turyunsa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8(1): 43-5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Orloci, L.(1978) Multivariate Analysis in Vegetation Research(2nd Edition). Junk Publishing, The Hague, 468pp. 

  29. Park, I.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Seoul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of Philosophy, 4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Park, S.G. and K.K. Oh(2015) The types and structures of forest vegetation on the ridge of the Jeongmaek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5): 753-7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Park, S.G., S.H. Choi and S.C. Lee(2018) A review of vegetation succession in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Focusing on Actinodaphne lancifolia community.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32(1): 77-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2. Park, S.H.(2019)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establishment of a research institute for island policy and the direction of its organization design. The Studies in Regional Development 51(1): 75-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3. Pielou, E.C.(1975) Mathematical Ecology. John Wiley & Sons, N.Y., 385pp. 

  34. Uyeki, H.(1941) On the northern limit of evergreen broad-leaved tree in Korea acta. Phytotax. Geobot. 10(2): 89-93. (in Japanese) 

  35. Yim, Y.J.(1977)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gradient.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7:269-278. 

  36. Yoon, J.H.(2004) Characteristics and Change Prediction of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Stands in Korea: Emphasis on Impacts of Topography, Climate, and Soil Factors. Doctor's thesis, Korea Univ., 142pp.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Yun, J.H., J.H. Kim, K.H. Oh and B.Y. Lee(2011) Distributional change and climate condition of warm-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5(1): 47-5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8. Yun, J.H., J.S. Park, J.Y. Choi and K. Nakao(2017) Habitat prediction and impact assessment of Eurya japonica Thunb. under climate change in Korea. Journal of Environment Impact Assessment 26(5): 291-3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