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알킬 아크릴레이트와 관능성 단량체계 다중 Core-Shell 복합입자의 제조
Preparation of Alkyl Acrylate and Functional Monomer Multi Core-Shell Composite Particles 원문보기

접착 및 계면 = Journal of adhesion and interface, v.14 no.1, 2013년, pp.1 - 12  

최성일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조대훈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설수덕 (동아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re 입자로 methyl methacrylate (MMA), ethyl methacrylate (EMA)를 사용하고 shell 입자로 MMA, EMA, 2-hydroxyl ethyl methacrylate (2-HEMA), glycidyl methacrylate (GMA) 및 methacrylic acid (MAA)를 각각 사용하여 개시제 ammonium persulfate (APS), 유화제로 sodium dodecyl benzene sulfonate (SDBS)의 농도(0.01~0.03 wt%), 단량체의 종류와 조성을 변화시켜 수용성 유화중합으로 다중 core-shell복합입자를 제조하여 전환율, 입자경 및 입도분포, 평균분자량, 분자구조, 유리전이온도, 플라즈마 처리후의 접촉각, 등온열분해속도 및 인장강도를 각각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SDBS 농도 0.02 wt%에서 MMA core-(EMA/GMA) shell 복합입자의 전환율이 98.5%로 우수하였고, 입자직경은 SDBS 농도 0.03 wt%에서 EMA core-(MMA/GMA) shell의 복합입자가 $0.48{\mu}m$로 높게 나왔다. 유리전이온도 측정으로부터 공중합체는 1~2개의 전이곡선 그리고 다중 core-shell 복합입자는 3개의 전이곡선을 얻었다. 전체적으로 접착박리강도의 크기는 shell 단량체가 MMA core인 경우 EMA/MAA > EMA/2-HEMA > EMA/GMA의 순으로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lti core-shell composite particles were prepared by the water-born emulsion polymerization of various core monomers such as methyl methacrylate (MMA), ethyl methacrylate (EMA) and shell monomers such as MMA, EMA, 2-hydroxyl ethyl methacrylate (2-HEMA), glycidyl methacrylate (GMA) and methacrylic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다중 core-shell 복합입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주 단량체로는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 계열의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MMA),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EMA)에 관능성 단량체로서 α-하이드록시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α-hydroxy ethyl methacrylate, 2-HEMA),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glycidyl methacrylate, GMA) 및 메타아크릴산(methacrylic acid, MAA)를 사용하여 core-shell 복합입자를 제조하는데, 시간변화에 따른 전환율, 단량체의 종류와 함량비, 입자직경 및 입도분포, 점도평균 분자량, 유리전이온도, 접촉각 측정 및 플라즈마 표면처리, 등온열분해 속도해석, 인장강도 측정에 따른 자료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유화중합법의 장단점은? 장점으로는 빠른 중합속도로 분자량이 높은 폴리머를 얻을 수 있고 개시반응, 정지반응 및 연쇄이동 반응 등에 의해 중합반응의 조절이 용이하며 분산매로서 물을 사용하므로 폴리머 취급 공정이 비교적 단순하고 다른 폴리머 용액에 비하여 고농도의 라텍스를 낮은 점도로 얻을 수 있어, 생산물의 교반이나 이송이 아주 쉬운데 반해 유화제와 기타 첨가제가 잔존하므로 폴리머의 순도가 낮고 폴리머의 입체구조 등 정교한 폴리머를 얻기 어려운 단점도 있다.
아크릴 접착바인더로 사용되는 단량체는 무엇이 있는가? 아크릴 접착바인더로 사용되는 단량체는 유리전이온도가 대부분 낮은 아크릴레이트계열로 알킬아크릴레이트 및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등[1-3]이 있다. 이들 단량체의 단일 중합체는 부드럽고 접착성이 있으나 단일 중합체 단독으로는 접착바인더로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단일 단량체에 여러 종류의 2차 공단량체들과 공중합시켜서 접착제의 성능을 변형시킬 수 있다.
공중합체의 물성은 무엇에 의존하는가? 공중합체의 물성은 사용한 단일 중합체의 중간적인 성질을 갖는다고 볼 수 있으며 해당하는 단일 중합체들을 혼합했을 때의 성질과 동일함을 알 수 있다[4]. 더 긴 곁사슬을 가진 폴리머의 경우에 있어서는 열경화하려는 경향을 보이며 이것이 공중합체의 가소화에 영향을 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S. D. Seul, J. Adhesion and Interface, 11, 3 (2010). 

  2. D. H. Cho, S. I. Choi, H. M. Go, and S. D. Seul, J. Adhesion and Interface, 12, 1 (2011). 

  3. Y. S. Jung, S. K. Min, and S. D. Seul, J. Adhesion and Interface, 10, 4 (2009). 

  4. D. H. Cho, S. I. Choi, and S. D. Seul, J. Adhesion and Interface, 13, 2 (2012). 

  5. C. E. Rehberg and C. H. Fisher, J. Am. Chem. Soc., 66, 1203 (1944). 

  6. A. C. Nuessle, Chem. Ind. (London), 1580 (1966). 

  7. D. W. Aubrey and S. J. Ginosatics, J. Adhes., 12, 189 (1981). 

  8. H. P. Brown, Rubber Chem. Technol., 36, 931 (1963). 

  9. K. Cho, Polymer, 39, 14 (1988). 

  10. T. O. Ahn, T. W. Hwang, and J. Y. Jho, Polymer, 21, 290 (1997). 

  11. A. J. Backhouse, U. S. Patent, 4, 403, 003 (1983). 

  12. T. R. Paxton, J. Polym. Sci., 46, 1387 (1992). 

  13. J. N. Goodier, J. Appl. Mech., 55, 39 (1993). 

  14. D. H. Sim and S. D. Seul, Polymer, 32, 276 (2008). 

  15. D. H. Sim, J. E. Ban, M. S. Kim, and S. D. Seul, Polymer, 32, 470 (2008). 

  16. K. C. Lee, Polymer, 21, 384 (1997). 

  17. F. Vazquez, Polym. Int., 41, 1 (1996). 

  18. T. I. Min, A. Klein, M. S. El-Aasser, and J. W. Vanderhoff, J. Polym. Sci. Polym. Chem. Ed., 21, 2845 (1983). 

  19. I. Cho and K. W. Lee, J. Appl. Polym. Sci., 30, 1903 (1985). 

  20. M. Okubo, S. Yamaguchi, and T. Matsumoto, J. Appl. Polym. Sci., 31, 1075 (1986). 

  21. Y. Nakamura, H. Tabata, H. Suzuki, K. Iko, M. Okubo, and T. Matsumoto, J. Appl. Polym. Sci., 32, 4865 (1986). 

  22. S. D. Seul, Korean Chem. Eng. Res., 49, 557 (2010). 

  23. M. S. Kim and S. D. Seul, Polymer (Korea), 33, 232 (2009). 

  24. K. Ito, J. Polym. Sci. Polym. Part A-1, 10, 1481 (19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