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상성 다발성 골절 후 발생한 뇌 지방 색전증 1예
Cerebral Fat Embolism after Traumatic Multiple Fracture: A Case Report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6 no.2, 2013년, pp.58 - 62  

김호현 (부산대학교병원 외상센터) ,  박윤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외상외과) ,  이동규 (목포한국병원 외상센터) ,  박찬용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외상외과) ,  김재훈 (부산대학교병원 외상센터) ,  김영대 (부산대학교병원 외상센터) ,  김정철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외과학교실 외상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cerebral fat embolism is an uncommon but serious complication of long bone fracture. It can be fatal, and early detection is not easy. Neurologic symptoms are variable, and the clinical diagnosis is difficult. The pathogenesis remains controversial, and several theories have been proposed. Magne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저자들은 외상 후 대퇴골 골절을 포함한 다발성 골절을 주소로 내원한 81세 남자 환자에서 폐 색전증 없이 자기 공명영상 검사에서 뇌 지방 색전증이 확인되어 보존적 치료를 시행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방 색전증이란? 지방 색전증(fat embolism)은 하지나 골반의 장골 골절 후 발생하는 드물지만 매우 심각한 합병증으로, 주로 폐에 발생하나 뇌, 신장, 피부 등 여러 장기에 발생할 수 있으며 호흡곤란, 의식소실, 피부의 점상 출혈 등을 일으킨다. 특히 뇌를 침범한 뇌 지방 색전증의 경우 대개 외상 후 며칠 이내 호흡 부전 및 뇌 기능장애를 보이며 가역적 혹은 비가역적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
뇌 지방 색전증은 어떠한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가? 지방 색전증(fat embolism)은 하지나 골반의 장골 골절 후 발생하는 드물지만 매우 심각한 합병증으로, 주로 폐에 발생하나 뇌, 신장, 피부 등 여러 장기에 발생할 수 있으며 호흡곤란, 의식소실, 피부의 점상 출혈 등을 일으킨다. 특히 뇌를 침범한 뇌 지방 색전증의 경우 대개 외상 후 며칠 이내 호흡 부전 및 뇌 기능장애를 보이며 가역적 혹은 비가역적후유증을 남길 수 있다.(1)
지방 색전증의 진단은 쉬운가? 지방 색전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외상성 골절 및 정형외과적 수술 후 가장 흔하나 췌장염, 장기간의 스테로이드 복용, 겸상 적혈구 질환자의 골경색, 림프관 조영술 후 및 지방 흡인술 후에도 보고된 바 있다.(1,2) 하지만 대개 증상이 다양하고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조기에 진단하기가 어려우며, 임상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진단이 되지 않는 경우도 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ohnson MJ, Lucas GL. Fat embolism syndrome. Orthopedics 1996; 19: 41-7. 

  2. Bardana D, Rudan J, Cervenko F, Smith R. Fat embolism syndrome in a patient demonstrating only neurologic symptoms. Can J Surg 1998; 41: 398-402. 

  3. Muller C, Rahn BA, Pfister U, Meinig RP. The incidence, pathogenesis, diagnosis, and treatment of fat embolism. Orthop Rev 1994; 23: 107-17. 

  4. Park SJ, Sung DW, Jun YH, Oh JH, Ko YT, Lee JH, et al. Pulmonary Fat Embolism Induced Intravenous Injection of Autologous Bone Marrow in Rabbit: CT and Pathologic Correlation. J Korean Radiol Soc 1999; 41: 303-11. 

  5. Akhtar S. Fat embolism. Anesthesiol Clin 2009; 27: 533-50. 

  6. Gurd AR. Fat embolism: an aid to diagnosis. J Bone Joint Surg Br 1970; 52: 732-7. 

  7. Saito A, Meguro K, Matsumura A, Komatsu Y, Oohashi N.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a fat embolism of the brain: case report. Neurosurgery 1990; 26: 882-4. 

  8. Sakamoto T, Sawada Y, Yukioka T, Yoshioka T, Sugimoto T, Taneda M. Computed tomography for diagnosis and assessment of cerebral fat embolism. Neuroradiology 1983; 24: 283- 5. 

  9. Parizel PM, Demey HE, Veeckmans G, Verstreken F, Cras P, Jorens PG, et al. Early diagnosis of cerebral fat embolism syndrome by diffusion-weighted MRI (starfield pattern). Stroke 2001; 32: 2942-4. 

  10. Bryan RN, Levy LM, Whitlow WD, Killian JM, Preziosi TJ, Rosario JA. Diagnosis of acute cerebral infarction: Comparision of CT and MR imaging. AJNR Am J Neuroradiol 1991; 12: 611-20. 

  11. Kim HJ, Lee CH, Lee SH, Cho BM, Kim HK, Park BR, et al. Early development of vasogenic edema in experimental cerebral fat embolism in cat. Invest Radiol 2001; 36: 460-9. 

  12. Kawano Y, Ochi M, Hayashi K, Morikawa M, Kimura S.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cerebral fat embolism. Neuroradiology 1991; 33: 72-4. 

  13. Schoneld SA, Ploysongsang Y, DiLisio R, Crissman JD, Miller E, Hammerschmidt DE, et al. Fat embolism prophylaxis with corticosteroids. A prospective study in high risk patients. Ann Intern Med 1983; 99: 438-43. 

  14. Habashi NM, Andrews PL, Scalea TM. Therapeutic aspects of fat embolism syndrome. Injury. 2006; 37 Suppl 4: S68-73. 

  15. Takahashi M, Suzuki R, Osakabe Y, Asai JI, Miyo T, Nagashima G, et 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indings in cerebral fat embolism: correlation with clinical manifestations. J Trauma 1999; 46: 32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