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상에 의한 직장파열로 발생한 파상풍
Tetanus Developing after a Traumatic Rectal Rupture - A Case Report - 원문보기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JTI, v.26 no.3, 2013년, pp.214 - 217  

김진수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외과학교실) ,  김기훈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외과학교실) ,  박성진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외과학교실) ,  남소현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외과학교실) ,  김운원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외과학교실) ,  김용한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 마취통증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etanus is a neurologic disorder caused by a tetanospasmin released from Clostridium tetani and usually occurs as a result of a dirty open wound or abrasion. Post traumatic tetanus is a life threatening disease and has a mortality rate of 15~39%. Because of a nationwide active immunization progra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로 인해 진단이 지연 되거나 증상이 심한 경우 적극적인 치료에도 불구하고 환자가 사망에 이를 수 있으므로 무엇보다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요구된다. 이에 저자들은 외상에 의한 직장파열로, 오염된 상처를 통해 발생한 파상풍을 진단하고 치료한 예를 경험하였기에 조기 진단 및 적절한 치료를 위해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파상풍의 잠복기는 어떠한가? 그러므로 파상풍의 임상양상 및 감염경로 소견이 있는 경우 반드시 파상풍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조기에 적절한 치료가 필요할 것이다. 파상풍의 잠복기는 보통 3~21일로 평균 2주정도이나 경우에 따라 수개월까지도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잠복기가 짧을수록 병의 사망률이 높고 불량한 예후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파상풍이란 무엇인가? 파상풍이란 Gram 양성의 혐기성 세균인 Clostridium titani에서 생성되는 외독소가 신경계통을 침범하여 근육의 경련 및 호흡마비를 초래하여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질환이다.
파상풍의 감염경로는 무엇인가? 파상풍은 그람 양성의 혐기성 세균인 Clostridium tetani에서 분비하는 외독소인 tetanospasmin에 의해 신경학적 증상을 유발하는 급성 감염성 질환으로 알려져 있다. 감염경로는 피부연부조직의 오염된 개방성 손상으로 인해 불결한 창상을 가진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이외에 화상, 교상, 비위생적 산부인과적 시술에 의하여 감염될 수 있다.(3,4) 과거에는 45%의 높은 사망률을 보고 하였으나, 최근에는 예방의학 및 호흡에 대한 집중치료의 발달로 사망률이 10~15%로 현저히 감소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Sanders RK. The management of tetanus 1996. Trop Doct 1996; 26: 107-1. 

  2. Lee DH.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national immunization program. Korean J Infect Dis 1995; 27: 213-9. 

  3. Kim JO. A clinical survey of tetanus. J Korean Surg Soc 1975; 17: 45-50. 

  4. Lee YH, Han DJ. A clinical analysis of tetanus. J Korean Surg Soc 1991; 40: 77-87. 

  5. Abrutyn E. Tetanus. In Wilson JD, Braunwald E, Isselbacher KJ et al (eds):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13th ed. New York, NY, McGraw-Hill, 1994: 633-5. 

  6. Wright DK, Lalloo UG, Nayiager S, Govender P. Autonomicnervous system dysfunction in severe tetanus: current perspectives. Crit Care Med 1989; 17: 371-5. 

  7. Groleau G. Tetanus. Enviromental Emergencies 10: 351-60, 1992. 

  8. Kim SK, Choi SC, Cho TH. A clinical analysis on tetanus. J Korean Surg Soc 1988; 34: 17-23. 

  9. Weinstein L. Tetanus. N Engl J Med 289: 1293-6, 1973. 

  10. Sanford JP. Tetanus--forgotten but not gone. N Engl J Med 1995; 332: 812-3. 

  11. Bunch TJ, Thalji MK, Pellikka PA, Aksamit TR. Respiratory failure in tetanus: case report and review of a 25-year experience. Chest 2002; 122: 1488-92. 

  12. Bleck TP. Review. Pharmacology of tetanus. Clin Neuropharmacol 9: 103-20, 1986. 

  13. Sternlo JE, Andersen LW. Early treatment of mild tetanus with dantrolene. Intensive Care Med 1990; 16: 345-6. 

  14. Farrar JJ, Yen LM, Cook T, Fairweather N, Binh N, ParryJ, et al. Tetanus.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2000; 69(3): 292-3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