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와 경부 관통상 환자에 대한 임상적 고찰
Clinical Analysis of Patients with Abdomen or Neck-penetrating Trauma 원문보기

大韓外傷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numatology, v.23 no.2, 2010년, pp.107 - 112  

노하니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김광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박준범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류훈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배금석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학교실) ,  강성준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외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Recently, the change to a more complex social structure has led to an increased frequency of traumas due to violence, accident and so on. In addition, the severity of the traumas and the frequency of penetrating injuries have also increased. Traumas to cervical and abdominal areas, what a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이런 외상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손상의 부위와 정도를 파악하고 신속하고 적극적인 처치를 시행하는 것이 환자의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저자들은 한 기관에서 관통상으로 입원 치료 받았던 환자들에 대한 임상 양상의 분석 및 타해 또는 자해로 인한 관통상 환자를 비교 분석하여 각각의 특성을 파악해 보기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고에서 조사한, 손상 받은 복벽의 위치가 가장 흔한 곳은 어디인가? 본 연구에서 손상 받은 복벽의 위치는 자해인 경우는 명치 부위, 타해인 경우는 좌상복부가 가장 흔하였고 우상 복부가 그 다음을 이었다. 고영길 등(5)의 연구에서는 복부 손상의 가장 흔한 부위는 심와부가 29.
본 연구에서 조사한 예 중 경부 손상이 가장 흔하게 나타난 구역은 어디인가? 흔히 경부 손상은 2구역이 가장 흔하다고 알려져 있다.(2) 본 연구에서도 역시 자해와 타해를 통틀어서 2구역이 가장 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부 손상 발생 시 치명적일 수 있는 그 특성은 무엇인가? 현대 사회의 복잡한 사회구조적 변화는 폭력, 상해, 자해로 인한 외상의 빈도의 증가를 이끌어 냈으며, 이로 인한 외상의 정도도 심해 지고 관통상의 빈도도 증가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1) 특히 경부의 손상은 다양한 생명 유지에 필요한 장기가 위치하며, 이러한 장기의 보호를 위한 구조물이 부족한 경부의 특성상 발생시 치명적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또한 복부는 둔상 및 자상에 의해 흔히 손상 받는 부위 중 하나로써 다수의 장기가 밀집되어 있는 특성으로 인해 복부의 관통상 역시 치명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ent AL, Jeans P, Ewards JR, Byrne PD. Ten year review of thoracic and abdominal penetrating trauma management. Aust N Z J Surg 1993;63:772-9. 

  2. Waseem M, Gernsheimer J. A penetrating neck injury: trivial trauma with serious consequences. Pediatr Emerg Care 2010;26:126-8. 

  3. Hyun SY, Oh SW, Kim JK, Lim YS, Yang HJ, Lee G, et al. Clinical Analysis of Patients with Thorax or Neck Trauma Treated with Emergent Operatio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2003;16:116-23. 

  4. Kim HJ, Kim HS, Seo KW, Ju JK, Ryu SY, Kim JC, et al. Analysis of the Prognostic Factors for Abdominal Traum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Traumatology 2007;20:12-8. 

  5. Ko YG, Kim BJ, Baek KJ, Cho YU, Kim JS. A Clinical Analysis of Abdominal Stab Injuries for Five Yea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2003;14:536-43. 

  6. Lee JH, Ji HS, Park Ki, Kim CK. Surgical Management of Abdominal Stab Wound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Society 1985;28:550-9. 

  7. Chun KH, Lee DS, Sung GY, Song MH, Kim W, Park IY, et al. A Clinical Study of Abdominal Stab Wounds Journal of The Korean Surgical Society 1999;57:959-66. 

  8. Van Brussel M, Van Hee R. Abdominal stab wounds: a five-year patient review. Eur J Emerg Med 2001;8:83-8. 

  9. Cayten CG, Frangiopane L, Poladora F, Inouye W. Abdominal stab wounds: a ten-year review of 204 patients Am Surg 1982;48:250-4. 

  10. Taviloglu K. When to operate on abdominal stab wounds. Scand J Surg 2002;91:58-61. 

  11. Leppaniemi AK, Voutilainen PE, Haapiainen RK. Indications for early mandatory laparotomy in abdominal stab wounds. Br J Surg 1999;86:76-80. 

  12. van Haarst EP, van Bezooijen BP, Coene PP, Luitse JS. The efficacy of serial physical examination in penetrating abdominal trauma. Injury 1999;30:599-604. 

  13. Demetriades D, Rabinowitz B. Indications for operation in abdominal stab wounds. A prospective study of 651 patients. Ann Surg 1987;205:129-32. 

  14. Leppaniemi A, Salo J, Haapiainen R. Complications of negative laparotomy for truncal stab wounds. J Trauma 1995;38:54-8. 

  15. Shanmuganathan K, Mirvis SE. CT scan evaluation of blunt hepatic trauma. Radiol Clin North Am 1998;36:399-411. 

  16. Soto JA, Morales C, Munera F, Sanabria A, Guevara JM, Suarez T. Penetrating stab wounds to the abdomen: use of serial US and contrast-enhanced CT in stable patients. Radiology 2001;220:365-71. 

  17. Lin HF, Wu JM, Tu CC, Chen HA, Shih HC. Value of diagnostic and therapeutic laparoscopy for abdominal stab wounds. World J Surg 2010;34:1653-62. 

  18. Gorecki PJ, Cottam D, Angus LD, Shaftan GW. Diagnostic and therapeutic laparoscopy for trauma: a technique of safe and systematic exploration. Surg Laparosc Endosc Percutan Tech 2002;12:195-8. 

  19. Chol YB, Lim KS. Therapeutic laparoscopy for abdominal trauma. Surg Endosc 2003;17:421-7. 

  20. Bell RB, Osborn T, Dierks EJ, Potter BE, Long WB. Management of penetrating neck injuries: a new paradigm for civilian trauma. J Oral Maxillofac Surg 2007;65:691-705. 

  21. Insull P, Adams D, Segar A, Ng A, Civil I. Is exploration mandatory in penetrating zone II neck injuries? Anz Journal of Surgery 2007;77:261-4. 

  22. Bukur M, Inaba K, Barmparas G, DuBose JJ, Lam L, Branco BC, et al. Self-inflicted penetrating injuries at a Level I Trauma Center. Injury-International Journal of the Care of the Injured 2010;41:1013-6. 

  23. Asensio JA, Chahwan S, Forno W, MacKersie R, Wall M, Lake J, et al. Penetrating esophageal injuries: Multicenter study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Surgery of Trauma. Journal of Trauma-Injury Infection and Critical Care 2001;50:289-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