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명대(明代) 유의(儒醫) 이천(李梴)의 도교(道敎)이해
A research of Ruyi(儒醫), Li-Chan(李梴)'s viewpoint on Taoism 원문보기

大韓韓醫學原典學會誌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classics, v.26 no.4, 2013년, pp.281 - 290  

성호준 (영산대학교 자유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medicine originated from Taoist tradition which identifies itself with medicine, making a harmonic combination between taoist theory of life fostering(養生論) and confucianism was a everlasting task for Ru-Yi, Li-chan who attach great importance to Confucian-medicine. Differing from th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醫儒同道라는 표현은 무엇의 집약인가? 중국의 宋代 이후 유학과 의학의 관계는 ‘醫儒同道’라는 표현으로 집약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유학적 의학 내지는 유학적 의학자라 칭할 수 있는 儒 醫가 정립되었고, 儒醫들은 유학의 인간 내면의 도덕적 주체성 확립을 목적으로 하는 심성수양의 전통을 의학이론과 의학윤리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儒 醫는 무엇이라 칭할 수 있는가? 중국의 宋代 이후 유학과 의학의 관계는 ‘醫儒同道’라는 표현으로 집약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유학적 의학 내지는 유학적 의학자라 칭할 수 있는 儒 醫가 정립되었고, 儒醫들은 유학의 인간 내면의 도덕적 주체성 확립을 목적으로 하는 심성수양의 전통을 의학이론과 의학윤리에 접목하고자 하였다. 그런데 儒醫에 대한 개념정의는 논란이 없지 않은 듯하 다.
醫道同源이라는 표현은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가? 그런데 의학은 본디 道敎의 養生論과 맥이 닿아 있다. 이를 醫道同源이라 표현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김대기. 16世紀 中國 醫學者의 心에 대한 인식과 醫德論. 江原史學 22.23 합집. 강원대학교 사학회. 2008. pp.289-306. 

  2. 김세정. 중국의 양명학파 연구 경향에 대한 분석과 비판. 양명학 제22호. 1999. pp.63-97. 

  3. ?蘭玉.周軍. 朱丹溪 "養陰"思想的養生學意義. 西部中醫藥. 25卷 6期. 2012. pp.40-41. 

  4. 성호준. 儒醫의 개념정립과 張介賓.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20권1호. 2007 참조. pp.125-136. 

  5. 이경룡. 태주학파 王桐의 靈體와 誠意. 明淸史硏究 제31집. 2009. pp.1-66 

  6. 조남호. 선조와 주역참동계. 한국도교학회학술대회자료집. 2013. 

  7. 차웅석. 李? 醫學思想의 學術系統 및 特徵에 대한 硏究. 韓國醫史學會誌 14권 2호. 2001. p.245. 

  8. 李?. 醫學入門. 上海科學技術文獻出版社. 1997. p.92, 138, 1063, 1065, 3, 146, 1, 140, 147, 145, 135, 144, 138, 196, 740, 196, 709, 737. 

  9. 三浦國雄. 이승연옮김. 주자와 기 그리고 몸. 예문서원. 2003. pp.186-212, 

  10. 性理大全. 서울. 景文社. 1981. p.34, p.15 

  11. 王守仁. 王陽明全集.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5. p.16. 

  12. 原本周易. 서울. 一中社. 1992. p.493. 

  13. 李遠國, 道敎氣功養生學. 四川社會科學院出版社, 1988. pp.372-375. 

  14. 李珥. 栗谷全書二. 서울. 成均館大學校 大東文化硏究院. 1986. p.558. 

  15. 林殷(문제곤 옮김). 한의학과 유교문화의 만남. 서울. 예문서원. 2000. p.227, 205 

  16. 朱震亨. 格致餘論. 瀋陽. 遼寧科學技術出版社.1997. p.15, 1. 

  17. 中國道敎協會外. 道敎大辭典. 北京. 華夏出版社.1994. p.88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