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활동이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uxury Brand Marketing Activities on the Formation of Customer-Based Brand Equity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37 no.7, 2013년, pp.935 - 951  

황유경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cent entry and heated competition of numerous fashion brands in the luxury fashion market have all compelled luxury businesses to change. The issue of brand equity has emerg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areas for luxury marketing management. Despite strong interest in the subject, there is 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먼저 럭셔리 브랜드의 시그니쳐 마케팅은 대부분의 럭셔리 브랜드가 하고 있는 마케팅 활동으로써, 브랜드 고유의 디자인이나 컬러, 패턴 등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시키고, 브랜드 연상에 영향을 미쳐 궁극적으로 브랜드 자산 형성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많은 럭셔리 브랜드들이 치열한 럭셔리 마켓에서 생존하기 위해서 타 브랜드와는 차별화된 브랜드 고유의 컬러, 패턴, 시그니쳐아이템으로 고객의 인지도를 높이고 호의적인 브랜드 연상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럭셔리 시장은 세계적인 경기불황임에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는 가운데 럭셔리 브랜드에 관련된 선행연구들은 주로 럭셔리 소비 심리에 관련한 연구가 대다수를 이루었으며, 럭셔리 브랜드의 장기적인 수익 창출을 위한 브랜드 자산 형성에 효과적인 마케팅 활동에 대한연구는 부재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브랜드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활동을 제시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본 연구결과를 럭셔리 브랜드들이 향후 마케팅 전략수립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한다면 더욱 의미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브랜드의마케팅 활동이 Keller(2001)가 제시한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형성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가정하여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활동들을 브랜드 자산의 선행변수로 첨가하였다. 따라서 이들 선행변수와 브랜드 자산의 차원 간의 연결관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초점이라 할 수 있다.
  • 1). 또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럭셔리 브랜드자산 창출에 효과적인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활동과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를 밝히고, 둘째,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활동(브랜드 시그니쳐, 헤리티지, 프리미엄 가격, 엄선된 유통채널, 프로모션 전략)과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브랜드 인식/연상,고객판단, 고객감정, 고객-브랜드 공명) 간의 인과적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여 유의한 경로를 통해 럭셔리 브랜드 자산 형성과정을 살펴본다.
  • 본 연구는 럭셔리 브랜드의 마케팅 속성을 밝히고, 럭셔리 브랜드의 마케팅 성과를 살펴보기 위해 Keller(2001)의 CBBE Model에 기초하여 효과위계모형에 따라 모형화하였으며, 럭셔리 브랜드 자산 형성의 결정적 전략 요소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 또한 오랫동안 생존한 브랜드일수록 소비자들의 인지도가 높으며 기대수준에 부합하는 일관된 품질수준을 가진 제품을 생산할 능력을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브랜드 애호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브랜드의 다양한 마케팅 활동 중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대표하는 고유의 컬러, 패턴, 디자인 등을 강조한 브랜드 시그니쳐 마케팅 전략, 브랜드의 역사와 제품 제작과정에 얽힌 스토리를 강조한 헤리티지 마케팅 전략, 브랜드 가치를 상징하는 럭셔리 브랜드의 프리미엄 가격전략, 전세계적으로 엄격하게 관리된 유통관리를 통해 브랜드가치를 관리하는 제한된 유통전략, 다양한 채널을 이용한 광고, 촉진전략이 브랜드의 인지도 및 연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나아가 고객 감정, 판단을 통해 브랜드공명 즉 브랜드 자산가치 형성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브랜드의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자산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럭셔리 브랜드를 선정하기 위해 Y대학교 의류학 전공자 50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사전조사 설문지에는 럭셔리 패션브랜드하면 떠오르는 브랜드와 자신이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에 대해 기입하도록 하였다.
  • 이와 같이 럭셔리 브랜드마케팅은 브랜드 시그니쳐, 헤리티지, 프리미엄 가격, 엄선된 유통전략, 프로모션 전략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5가지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활동이 브랜드 자산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Keller(2001)이 제시한 CBBE Mo-del에 기초하여 럭셔리 브랜드 자산의 형성경로를 가정하고, 이를 형성과정으로 모형화하는데 있다(Fig. 1). 또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럭셔리 브랜드자산 창출에 효과적인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전략수립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즉 마케터들이 강력한 브랜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제품과 서비스 그리고 마케팅 프로그램을 통해먼저 고객이 적절한 경험을 가지도록 하여 바람직한 생각, 느낌, 이미지, 믿음, 인지, 의견 등이 브랜드와 연관되도록 해야 한다(Keller, 2001). 이러한 CBBE Model은 럭셔리 패션브랜드 자산 형성과정으로 모형화하기에 적합한 이론적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고객기반 브랜드 자산의 구성요소로써 브랜드 인지/연상,고객판단, 고객감정, 고객-브랜드 공명을 실증조사를 통해 모델의 유용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수립자의 전략적 자원배분에 관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마케팅 활동, 브랜드 자산 구축과정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참조할 수 있는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제안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Keller(2001)가 제안한 CBBE Model을 럭셔리 브랜드에 적용하여 실무자들이 제한된 자원을 효과적으로 배분할 수 있도록 마케팅 활동과 브랜드 자산의 구조적 관계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경로모형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이 때 이러한 브랜드 인식 및 연상이 호의적이고 타 브랜드와는 차별화되게 형성되도록 기업은 마케팅 노력에 의해 통제할 수 있으므로,럭셔리 브랜드의 마케팅 활동 5가지 변수들은 브랜드 자산의 ‘외생적(exogenous) 잠재변수’로 가정하였다.
  • 이러한 과정은 고객이 브랜드의 가치를 지각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고객과 브랜드는 상호 간의 공명관계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고객판단 및 고객감정, 고객-브랜드공명은 브랜드의 마케팅 노력결과 고객의 지각에서 브랜드 자산으로 발전되는 차원으로써 이를 ‘내생적(endo-genous) 잠재변수’로 가정하였다.
  • 이와 같은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럭셔리 브랜드의마케팅 활동이 Keller(2001)가 제시한 고객기반 브랜드자산 형성과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가정하여 럭셔리 브랜드 마케팅 활동들을 브랜드 자산의 선행변수로 첨가하였다.
  • Chaudhuri(1999)는 브랜드 충성도가 브랜드자산을 매개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즉 브랜드 자산은 브랜드 충성도에 의해 형성되며, 브랜드 충성도는 브랜드 태도나 구매습관에 의해 형성된다고 가정하였다. 연구결과 강력한 브랜드 태도는 시장점유율,유통점유율과 같은 브랜드 성능과 관련된 판매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몰입이나 충성도와 같은 강력한 브랜드 태도는 시장상황에서 고가격 프리미엄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증거를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럭셔리 브랜드의 정의는 무엇인가? 럭셔리 브랜드는 연구자마다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는데, 역사와 전통이 있고, 아름다운 장인정신으로 만들어진 최고 품질의 국제적인 선택적 유통망을 통해 판매되는 상품(Chevalier & Mazzalovo, 2008)이며, 고가격으로고품질의 희소성과 상징성이 높은 제품(Dubois and Du-quesne, 1993)으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럭셔리 브랜드는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통해 기업 이윤을 창출하는데, 마케팅 활동은 ‘기업이 통제 불가능한 환경에 적응하거나자사에 유리한 환경을 창출하기 위하여 통제 가능한 마케팅 변수를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Lee & Park, 2007).
많은 브랜드들이 상품이 희소하다는 인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넷째, 럭셔리 브랜드의 경우 프랜차이즈 매장, 면세점, 주요 백화점 및 전문점 등의 엄선된 유통채널(cont-rolled distribution) 전략으로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고있다. 럭셔리 브랜드의 과도한 노출은 럭셔리 브랜드의가치를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많은 브랜드들이 상품이희소하다는 인식을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한다(Fionda& Moore, 2009). 대표적인 사례로 기존 버버리는 각종대형쇼핑몰이나 백화점 등 유통채널을 사용함으로써 높은 고객접근성을 추구하였으나, 이러한 무분별한 유통전략은 라이센싱의 확대와 함께 브랜드 이미지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버버리는 브랜드 가치 강화 및 이미지 제고를 위해 수익이 적거나 브랜드와 관련성이 낮은 라이센싱을 철회하고 유통망을 재정비하였다.
루이비통에서 합리적 가격의 엔트리 제품에서 수천만원에 이르는 하이엔드 제품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판매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루이비통의 가격정책을 살펴보면 합리적 가격의 엔트리 제품에서 수천만 원에 이르는하이엔드 제품까지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이는 대중화를 통한 수익성과 럭셔리 브랜드로서의프리미엄 이미지 사이의 균형을 이루기 위함이며, 기본적으로 루이비통은 가격인하 및 할인판매 금지전략 등을 통해 럭셔리 브랜드로서의 프리미엄 가격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8)

  1. Aaker, D. A.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Free Press. 

  2. Aaker, D. A. (1996). Measuring brand equity across products and markets.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28(3), 102-120. 

  3. Alba, J. W., & Hutchinson, J. W. (1987).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4), 411-453. 

  4. Bagozzi, R. P., & Yi, Y. (1988).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6(1), 76-94. 

  5. Baldauf, A., Cravens, K. S., & Binder, G. (2003). Performance consequences of brand equity management; evidence from organizations in the value chain.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12(4), 220-236. 

  6. Beverland, M. (2004). Uncovering “theories-in-use”: Building luxury wine brands.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8(3/4), 446-466. 

  7. Bosshart, D. (2001). 소비의 미래 [The future of consumer-21 century market trend] (J. D. Park, Trans.). Seoul: Thinking Tree. (Original work published 1997) 

  8. Brown, S., Kozinets, R. V., & Sherry, J. F. (2003). Teaching old brands new tricks: Retro branding and the revival of brand meaning. Journal of Marketing, 67(3), 19-33. 

  9. Bruce, M., & Kratz, C. (2007). Competitive marketing strategies in luxury fashion companies. In T. Hines & M. Bruce (Eds.), Fashion marketing: Contemporary issues (pp. 130-150). New York: Elsevier/Butterworth-Heinemann. 

  10. Chaudhuri, A. (1999). Does brand loyalty mediate brand equity outcomes? Journal of Marketing Theory & Practice, 7(2), 136-146. 

  11. Chevalier, M., & Mazzalovo, G. (2008). Luxury brand management: A world of privilege. Singapore: Wiley and Sons. 

  12. Choi, S. H. (2005). The effect of marketing mix on the formation of fashion brand equity.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3(1), 174-187. 

  13. Choi, Y. J., & Rhee, E. Y. (2004). Dimensions of brand equity of luxury fashion brands (part 1).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7), 1007-1018. 

  14. Cobb-Walgren, C. J., Ruble, C. A., & Donthu, N. (1995). Brand equity,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 Journal of Advertising, 24(3), 25-40. 

  15. Deighton, J., Handerson, C. M., & Neslin, S. A. (1994). The effects of advertising on brand switching and repeat purchasing.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31(1), 28-43. 

  16. Dubois, B., & Duquesne, P.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27(7), 35-44. 

  17. Farris, P., Olver, J., & Kluyver, C. D. (1989). The relationship between distribution and market share. Marketing Science, 8(2), 107-128. 

  18. Fionda, A. M., & Moore, C. M. (2009). The anatomy of the luxury fashion brand.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5), 347-363. 

  19. Fogm, K., Budtz, C., Munch, P., & Blanchette, S. (2010). Storytelling: Branding in practice (2nd ed.). Berlin: Springer. 

  20. Fornell, C., & Lacker, D. F.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21. Gagliano, K. B., & Hathcote, J. (1994). Customer expectations and perception of service quality in retail apparel specialty store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8(1), 60-69. 

  22. Hanna, J. (2004, August 16). Luxury isn't what it used to be. Harvard Business School Bulletin. Retrieved July 13, 2013, from http://hbswk.hbs.edu/item/4321.html 

  23. Huh, S. B., & Choo, W. G. (2008). Building and maintain strategies for luxury jewelry brands: A focus on global brands. The Korea Society of Crafts, 11(1), 1-21. 

  24. Hwang, Y. K. (2013a). The effects of luxury brand marketing mix on the formation of customer equity-Focusing on luxury brand's product customers in 20-40'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1), 103-115. 

  25. Hwang, Y. K. (2013b). The effect of luxury fashion brand customer equity drivers on customer loyalty-Differences among segmented markets based on purchasing pattern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2), 219-230. 

  26. Interbrand. (2012, October 2). Best Global Brands 2012. Interbrand. Retrieved June 25, 2013, from http://www.interbrand.com/ko/best-global-brands/2012/Best-Global-Brands-2012.aspx 

  27. Kang, S. J. (2001). Effect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brand equity.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8, 233-267. 

  28. Kapferer, J. N., & Bastien, V. (2009). The specificity of luxury management: Turning marketing upside down.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5), 311-322. 

  29. Keller, K. L. (1993).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 1-22. 

  30. Keller, K. L. (2001). Build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Marketing Management, 10(2), 14-19. 

  31. Keller, K. L. (2009). Managing the growth tradeoff: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luxury branding. Journal of Brand Management, 16(5-6), 290-301. 

  32. Kim, E. Y., & Brandon, L. (2010). Modeling brand equity for lifestyle brand extensions: A strategic approach into generation Y vs. baby boomer. Journal of Global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0(1), 35-48. 

  33. Kim, E. Y., & Park, E. J. (2012). Perceived fit and brand value transfer in luxury fashion brand extension.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1(1), 151-163. 

  34. Kim, H. J., & Lim, S. J. (2002). How to measure customer based brand equity of casual wea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1), 1660-1671. 

  35. Kim, H. J., & Lim, S. J. (2004). The conceptual framework of building fashion brand equity: Focused on casual wear bran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8(2), 252-261. 

  36. Kim, J. H. (2011).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marketing activities, brand equity, and brand performance: Focused on service industries. Korea Industrial Economics Association, 24(4), 2343-2365. 

  37. Kim, S. S. (2005). The study about masstiege high-end products (Part I)-Focusing on valu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11), 1381-1388. 

  38. Ko, E. J. (2011). Social media marketing_Louis Vuitton, Gucci, Burberry. In E. J. Ko, E. Y. Kim, K. A. Park, E. J. Park, H. W. Sung, K. Y. Oh, M. Y. Lee, S. H. Lee, Y. J. Lee, & H. J. Choo (Eds.), Case studies of fashion marketing (pp. 80-113). Paju: Kyomunsa. 

  39. Krishnan, H. S. (1996). Characteristics of memory associations: A customer-based brand equity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in Marketing, 13(4), 389-405. 

  40. Krishnan, H. S., & Chakravarti, D. (1993). Varieties of brand memory induced by advertising: Determinant, measures, and relationships. In D. A. Aaker & A. L. Biel (Eds.), Brand equity & advertising: Advertising' role in building strong brands (pp. 213-234). Hilldale, NJ: Lawrence & Erlbaum Associates. 

  41. Lassar, W., Mittal, B., & Sharma, A. (1995). Measuring custo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Customer Marketing, 12(4), 11-19. 

  42. Lee, H. Y., & Park, K. H. (2007). Marketing strategies of fashion brands-Focused on the British, French, Italian luxury fashion bran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9(2), 211-220. 

  43. Lee, G. N., & Shin, S. Y. (2012). Purchase behaviors on imported fashion luxury brand's bag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sumption values of female customers in 20's and 30'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Clothing Industry, 14(4), 554-566. 

  44. Lee, S. H., & Shin, C. Y. (2002). An exploratory study on fashion counterfeits purchasing among female college students-Materialism and shopping val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6(11), 1537-1546. 

  45. McCarthy, E. J. (1978). Basic marketing: A managerial approach (6th ed.). Homewood, IL: Irwin. 

  46. Moore, C. M., & Birtwistle, G. (2004). The Burberry business model: Creating an international luxury fashion brand.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2(8), 412-422. 

  47. Motameni, R., & Shahrokhi, M. (1998). Brand equity valuation: A global perspective. Journal of Product & Brand Management, 7(4), 275-290. 

  48. Nueno, J. L., & Quelch, J. A. (1998). The mass marketing of luxury. Business Horizons, 41(6), 61-69. 

  49. Okonkwo, U. (2007). Luxury fashion branding: Trends, tactics, techniques.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50. Olson, J. C., & Mitchell, A. A. (1981). Are product attribute beliefs the only mediator of advertising effects on brand attitude?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3), 318-332. 

  51. Park, H. S. (2007). The effect of materialism and conspicuous consumption on purchase of fashion luxury goods and counterfei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6 (1), 103-110. 

  52. Rao, A. R., & Monroe, K. B. (1989). The effect of price, brand name, and store name on buyers' perceptions of product quality: An integrated review.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6(3), 351-357. 

  53. Simon, C., & Sullivan, M. W. (1993). The measurement and determinants of brand equity: A financial approach. Marketing Science, 12(1), 28-52. 

  54. Solomon, M. R. (1996). Customer behavior: Buying, having, and being (3rd ed.). New Jersey: Prentice Hall. 

  55. Wiedman, K. P., Henning, N., & Siebels, A. (2009). Valuebased segmentation of luxury consumption behavior. Psychology and Marketing, 26(7), 625-651. 

  56. Yang, J. O. (2013). The effects in brand attitudes and brand historicity perception on history length and brand legitimacy succession in fashion brand stories and customer orient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7(1), 1-16. 

  57. Yoo, B. H., & Donthu, N. (2001). Developing and validation a multidimensional customer-based brand equity scale.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52(1), 1-14. 

  58. Yoo, B. H., Donthu, N., & Lee, S. H. (2000). An examination of selected marketing mix elements and brand equity.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8(2), 195-2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