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경제성장과정의 건설산업과 GDP의 관계 분석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nd GDP in Economic Development Proces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4 no.6, 2013년, pp.70 - 77  

최달식 ((주)삼보기술단 해외사업부) ,  (호치민대학교토목공학과) ,  이영대 (부경대학교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거시경제의 발전과정에서 건설산업의 역할과 관련성을 연구하고자 한국은행의 40년(1970년~2011년) 동안의 분기별 GDP상의 건설산출물과 GDP 시계열자료통계기법(ANOVA분석, 회귀분석, 종단분석 및 횡단분석 등)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의 건설산업은 Bon이 제시한 역 U 자형의 곡선 관계를 나타었고 이 입증된 역U 형의 관계는 건설산업의 GDP 내 비중에서 뿐만 아니라 저개발국단계와 신흥산업국으로의 단계를 지나 선진국단계에 까지 진입했음을 보여주었다. 인과관계검증결과 실GDP 성장률이 한국건설산업의 실질증가를 이끄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역 방향으로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한국의 건설산업발전도 다른 선진국의 건설산업 성장의 경우와 유사한 형태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industry is broadly agre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sectors of any economy around the world. In this paper, time series data of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nd Korean economy are examined. The Bon's proposition will be inspected for Korean context using both cross-sectional and l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건설업의 GDP중 건설업생산총액과 1인당 GDP사이에 역 U자형 관계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건설업생산총액의 시 계열자료가 역 U자형으로 따라가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건설산업이 경제성장을 촉진하는지와 이의 역의 관계도 성립하는가를 알아보고 한국 거시경제의 발전과정에서 건설산업의 역할을 알아보는데 있다.
  • 한국건설업의 GDP중 건설업생산총액과 1인당 GDP사이에 역 U자형 관계가 존재하는지, 그리고 건설업생산총액의 시 계열자료가 역 U자형으로 따라가는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건설산업이 경제성장을 촉진하는지와 이의 역의 관계도 성립하는가를 알아보고 한국 거시경제의 발전과정에서 건설산업의 역할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횡단 분석을 통해 무엇을 검토하였는가? 이번 연구를 위하여 한국 건설산업과 경제의 시 계열 자료를 수집분석하고 1인당 GDP와 건설업생산총액과의 관계는 횡단 분석(Cross-Sectional Analysis)을 이용하여 검토하였고, 건설업생산총액의 시 계열자료는 종단분석(Longitudinal Analysis) 을 이용하여 검토하였으며, 실질국내총생산액 (Real GDP)과 실질건설업생산총액 (Real Gross Value of Construction Work. RVoC)사이의 인과관계는 인과검정(Casualty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건설산업에서의 점차적인 투자증가는 어떤 변화를 이루어냈는가? Bon(1997)에 의하면 아시아 건설시장은 세계적으로 관심의 대상이며, 특히 한국의 경우 건설서비스, 소재분야에서 최고의 매력이 있는 시장이다. 한국 건설산업의 성장은 구조상의 변화로 특징지어지며, 건설산업에서의 점차적인 투자증가는 노동집약형 구조에서 고도화된 기술과 장비 및 신소재와 노동력 절감형 장비투입으로 한국건설산업의 방식을 바꾸는 혁신을 유도하였다.
2008년 이후 건설부문의 경제 현황은 어떠한가? 이 기간 중 2008년에 심각한 감소를 나타내었지만 정부의 장려정책과 민간업체의 유동성 개선으로 2010년부터 회복신호를 보이고 있다. 경제의 회복과 더불어 정부의 지원정책은 점차 축소할 것으로 예상된다(Industry Review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on, R. (1997). The future of international construction-some survey results, 1993-96. Building Research and Information, 20(3). 

  2. Bon, R., and Hutchinson, K. (2000) Sustainable construction: some economic challenges.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28(5/6), pp. 310-314. 

  3. Carassus, J. (2004) The construction sector system approach: an international framework, CIB Publication 293, CIB, Rotterdam. 

  4. Chia, F.C. (2011) Revisiting the "Bon curv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9, pp. 695-712. 

  5. Choi, S.I. (2011) 2020 Key Issues and Trends: Prospects of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Published by CERIC (Construction and Econom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11, pp. 67-77 (in Korean). 

  6.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1995) Civilian white paper on construction industry, CAK, Seoul. 

  7. Crosthwaite, D. (2000) The global construction model: a cross-sectional analysis.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18, pp. 619-627. 

  8. Drewer, S. (1980)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a new perspective. Habitat International 5(3/4), pp. 395-428. 

  9. ECOS (Korean Economic Statistics System, Bank of Korea) (2012), retrieved from http://ecos.bok.or.kr/flex/EasySearch_e.jsp (various years). 

  10. EDCF (Economic Development Cooperation Fund) (2012), retrieved from http://edcfkorea.go.kr/edcf/statis/report.jsp (several years) (accessed October 10, 2012). 

  11. Engineering News Record (2012), retrieved from http://enr.construction.com/toplists/Top-Global-Contractors/001-100.asp (accessed September 21, 12). 

  12. Gruneberg, S.L., and Ive, G.J. (2000) The economics of the modern construction sector, MacMillan Press Ltd. 

  13. Industry Review (2011) The Future of Construction in South Korea to 2015, retrieved from http://industryreviewstore.blogspot.com/2011/08/future-of-construction-in-south-korea.html (accessed September 21, 2012). 

  14. Kim, S. (1997) Organization and managerial environment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15, pp. 409-419. 

  15. Lee, Y.D., Acharya, N.K., and Kim, J.K., (2007), "Investigation of Key Factors to measure on-site Performance of a Construction firm",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8(6), pp. 1-17 

  16. Le-Hoai, L., Lee, Y.D., and Cho, J.W., (2010) "Model for Predicting Success of Partnering in Vietnam: A Discriminant Analysis Approach"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1(5), pp. 84-94 

  17. Lopes, J. (2009) Investment in construction and economic growth: a long-term perspective, in Economics for the modern built environment, Les Ruddock (ed.). Taylor & Francis. 

  18. 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12) retrieved from www.oecd.org (various years). 

  19. Ofori, G. (1988) Construction industry and economic growth in Singapor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6, pp. 57-70. 

  20. Pietroforte, R. and Gregori, T. (2006) Does volume follow share? The case of the Danish construction industry.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4(7), pp. 711-715. 

  21. Ramsaran, R., and Hosein, R. (2006) Growth, employment and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rinidad and Tobago.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4(7), pp. 465-474. 

  22. Ruddock, L., and Lopes, J. (2006) The construction sector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Bon curve."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4(7), pp. 717-723. 

  23. Wong, J.M.W., Chiang, Y.H., and Ng, T.S. (2008) Construc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the case of Hong Kong.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6(8), pp. 813-824. 

  24. Yiu, C.Y., Lu, X.H., Leung, M.Y., and Jin, W.X. (2004) A longitudinal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output and GDP in Hong Kong. Construction Management and Economics, 22(4), pp. 339-3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