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 활용도 개선 방안
Improvement scheme of utilization of the results of the post-construction evalu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4 no.6, 2013년, pp.78 - 89  

이두헌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경제연구실) ,  박재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관리.경제연구실)

초록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는 공공건설사업 수행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유사한 공공건설사업의 계획 수립 시 활용되어져야 하나, 현행 제도는 당초 기획 계획 당시에 추정한 수요, B/C비율, 공사비, 공사기간 등 예측치와 건설공사 완공후 일정기간(3년 내지 5년) 경과후에 측정한 실제 결과치를 단순히 비교하여 제시하는 수준에 그치고 있다. 또한 대부분 공공발주기관에서는 수동적인 사후평가 업무수행에 그치고 있어 제대로 환류가 이루어지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발주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의 수행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국내 사후평가 제도와 유사한 미국과 일본의 건설사업 평가체계를 벤치마킹하였다. 또한,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와 관련된 국토부 실무담당자와의 수차례 업무회의를 실시하여 사후평가 수행의 적시성 확보 및 활용성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 개선을 통해 건설사업 수행과정에서의 목표 및 성과에 대한 확인 점검 분석 체계를 내실화하고, 건설공사 특성별로 평가내용 및 방법을 차등화함으로써 발주청의 사후평가 수행에 대한 실천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ost-evaluation system reflects the results of performing a public construction project in the future similar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to be utilized in the planning. However, the current system simply compares the expected values, such as demand, B/C ratio, cost of construction, construction 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건설공사 사후평가 전문관리기관 설치방안을 제시하여 사후평가 수행결과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분석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 사후평가감시위원회에 의한 심의결과에서 사업계획․조사에 대한 원칙과 평가기법에 대한 재검토의 필요성이 제기된 경우, 사후평가의 실시주체는 소관부국에 그 내용을 보 고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사후평가 실시주체가 지방공공단 체인 경우는 원칙적으로 지방지분부국을 경유해서 소관부 국에 보고하고 있으며, 소관부국은 이 보고를 기초로 필요에 따라 동종사업의 계획·조사에 대한 원칙과 평가기법에 대해 재검토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에 대한 확인・점검・분석 체계 마련을 위해 전문성을 갖춘 건설공사 사후평가 전문관리기관 설치・운영을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행 개별 발주청 자체적인 전담기관의 운영형태보다는 국토부 차원의 사후평가 수행결과에 대한 통합적인 정보관리및 분석・보급・확산을 수행하는 컨트롤 타워 기능을 수행할 조직의 설치 및 운영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계획단계에 서는 사후평가 수행결과가 계획 수립시 평가지표, 방법 등 개선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여야 되고,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는 공공발주기관 간에 정보교류・공유를 활성화하여 차후 유사한 건설공사에 활용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공공건설공사 평가체계 비교・분석에 있어서 국내 건설공사 사후평가제도와 유사한 평가지표 및 정책을 수행하고 있는 미국 건설산업연구소(CII;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의 벤치마킹 매트릭스 및 일본의 사후평가 제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사후평가서를 축적・분석하여 건설공사 시행과정별로 표준적인 소요 비용을 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국토해양부의 ‘건설공사 적정공사비 산정 및 관리시스템’과 연계 시행방안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사후평가제도의 평가의 적시성․활용 도를 제고하기 위해 사후평가 평가시기를 다원화하였다. 이를 위해 건설공사 사후평가를 ‘사업수행성과’, ‘사업효율 및파급효과’로 구분(안 제7조 제1항, 안 제8조 제2항)하였고, 단위 건설공사만으로 사업효과가 충분히 발현되지 않는 노선축 공사 등은 별도의 평가시점에 평가를 실시(안 제8조제3항 및 제4항)하도록 하였다.
  • 일본은 공공사업의 효율성 및 그 실시과정의 투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후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건설사업 완료 후에 사업의 효과, 환경 영향 등을 확인하고자 실시되고 있다. 사후평가 실시결과를 바탕으로 필요에 따라서 적절한 평가 항목, 방법 등의 개선조치가 이루어지며, 사후평가 결과를 동종사업의 계획․조사시에 피드백(feed-back)하여 효율적인 건설공사 수행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 셋째,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 개선안을 제시하여 평가 수행의 적시성과 활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 또한, 기수행된 건설공사 사후평가 실적보고서 검토 및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 타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이하, 지자체) 등 공공발주기관의 사후평가 업무수행 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건설공사 사후평가 제도의 운영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국토부 실무담당자와의 수차례 업무 협의를 실시하여 제도개선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련 지침 개선안 제시를 통해 공공발주기관에서 사후 평가 수행결과의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이에 본 고에서는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에 대한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적정공사비 산정 및 관리시스템과의 연계를 위하여 표준적인 공사비 산정에 요구되는 비용 관련 정보의 내용에 대해서 파악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아직까지 도로건설사업에 국한되어 있고, 도로건설사업에 포함되어 있는 교량 및 터널공사에 대한 비용자료를 그 대상으로 하고있다.
  • 첫째, ‘건설공사 적정공사비 산정 및 관리시스템’과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여 공공건설공사의 표준적인 공사비 산출을 위한 정보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사후평가서를 축적・분석하여 건설공사 시행과정별로 표준적인 소요 비용을 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국토해양부의 ‘건설공사 적정공사비 산정 및 관리시스템’과 연계 시행방안을 제시하였다. 해당 시스템은 건설공사 비용자료 축적・분석을 통해 개략 공사비 산정 시 참고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써, 해당 시스템을 통해서 산출한 공사예정가격이 건설사업 시행과정에서 변동되는 비용자료 축적과 원인분석을 통하여 향후 건설사업 추진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해당 시스템의 운영에 있어서 비용자료 수집이 제도적으로 의무화되어 있지 않아, 공공건설공사 수행시 소요되는 비용 관련 자료를 취득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업평가는 어떻게 구분되는가? 일본의 건설사업 평가는 사업의 목적이 타당한지의 판단과 기대효과․예상비용 등을 추정하고, 중간․사후의 시점에서 사전에 수행된 평가내용을 근거로 하여 실제의 효과와 비용 등을 검증하는 체계로 되어 있다. 사업평가는 평가를 실시하는 시점에 따라 ‘신규사업 채택시 평가’, ‘재평가’ 및 ‘사후평가’ 등 세 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사업평가에 대한 전체적인 실시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본의 건설사업 평가는 어떤 체계로 되어있는가? 일본의 건설사업 평가는 사업의 목적이 타당한지의 판단과 기대효과․예상비용 등을 추정하고, 중간․사후의 시점에서 사전에 수행된 평가내용을 근거로 하여 실제의 효과와 비용 등을 검증하는 체계로 되어 있다. 사업평가는 평가를 실시하는 시점에 따라 ‘신규사업 채택시 평가’, ‘재평가’ 및 ‘사후평가’ 등 세 가지로 구분되어 있다.
건설공사 사후평가 수행결과에 대한 활용 성을 높이기 위해 제시하는것은 무엇인가? 첫째, ‘건설공사 적정공사비 산정 및 관리시스템’과 “건설공사 사후평가시스템”과의 연계방안을 제시하여 공공건설공사의 표준적인 공사비 산출을 위한 정보로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건설공사 사후평가 전문관리기관 설치방안을 제시 하여 사후평가 수행결과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분석될 수있는 기반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건설공사 사후평가 시행지침 개선안을 제시하여 평가 수행의 적시성과 활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onstruction Industry Advancement Committee (2009). "The public projects efficiency plan". Construction Industry Institute of US 

  2.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12). "Study on the substantiality plan of construction project post-evaluation system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3.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9).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Construction Project Performance Management and Evaluation System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4. Lee, D., Park, H., and Lee, K. (2006). "Industry's Perception of Construction Technology Policy for Public Sector Projec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nering and Management, KICEM, 7(3), pp. 122-129. 

  5.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1999). "Comprehensive plan for the efficiency of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of Japan 

  7.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Transportation facility investment evaluation guidelines (4th revision)". 

  8. National Assembly Budget Office (2009). "Evaluation of total operating expenses management system". 

  9. Public Procurement Service (2012). "Analysis of construction cost for each type of Public Buildings in 2011". 

  10. The Korea Transport Institute (2010).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the post-evaluation implementation methods of transportation Investment Projects". 

  11. Transportation Research Institute (2001). "Study on the investment evaluation Guidelines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12.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Evaluation and Research Institute (2006).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evaluation systems for Efficient SOC project operation", pp. 9-14. 

  13. Yoon, T., and Lee, S. (2011),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tem for Discrimination Increasing in Post Evaluation of Public Building Construction Project",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nering and Management, KICEM, 12(2), pp. 21-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