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노화 지식,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인 부양 의식
A study on Aging Knowledge, Attitudes and Awareness about Supporting the Aged in Undergraduat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9 no.4, 2013년, pp.498 - 507  

양야기 (원광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ging knowledge, attitudes and awareness about supporting the aged in undergraduate student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385 undergraduate students in H University in G city.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1 to April 30, 2012,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고령화 사회의 부양자가 될 대학생들의 노화 지식,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 부양 의식을 파악하여 향후 노인 문제를 해결하고 노인을 위한 정책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의 노화 지식,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인 부양 의식에 대해 조사하고, 이들 변수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대학생 385명이었으며, 자료 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조사자가 직접 설명해주고 작성하는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노화 지식과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인 부양 의식을 파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일개 대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노화 지식,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인 부양 의식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성 조사연구이다.
  • 이를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노인에게 관심을 가지고 노인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노화 지식, 노인에 대한 태도 및 노인 부양 의식을 파악하고 이 변수들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대학 교육에서의 노화에 관한 정확한 지식의 획득,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형성, 노인 부양 의식 고취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결과에 따른 주요 시사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엇이 기대수명의 연장을 가져왔는가? 사회 제반 여건의 향상과 보건의료 기술의 발달은 괄목할 만한 기대수명의 연장을 가져와, 2030년에는 81.9세, 2050년에는 86.
2011년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얼마나 차지하는가? 우리나라는 2000년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2%로 고령화사회(aging society)에 진입한 이후, 2011년 11.3%를 차지하였고, 2030년에는 24.3%로 초고령사회(post-aged society)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Statistical Korea data, 2012).
사회 구성원들이 노인에게 관심을 가지고 노인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을 위함인가?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현 시점에서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은 우리가 해결해야 할 시급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를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노인에게 관심을 가지고 노인에 대해 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ck, J. U., & Kim, M. J. (2009). A Study on the undergraduates'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Clinical Social Work, 6(3), 67-85. 

  2. Cho, Y. J., & Lee, S. H. (2004).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emotional tie with their parents and attitudes toward parent caregiving.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2(3), 63-74. http://dx.doi.org/ 

  3. Choi, S. A., Cheong, J. H., Cho, S. J., & Jin, S. M. (2009). The effects of voluntary activities attitude and contentment of university students toward the elderly on awareness of supporting,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6, 239-261. 

  4. Chung, S. D., & Jung, Y. K. (2012). Public perceptions of aging korean society and the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2(2), 541-557. 

  5. Cottle, N. R., & Glover, R. J. (2007). Combating ageism: change in student knowledge and attitudes regarding aging. Educational Gerontology, 33(6), 501-512. http://dx.doi.org/10.1080/03601270701328318 

  6. Edwards, M. J. J., & Aldous, I. R. (1996). Attitudes to and knowledge about elderly people: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s of medicine, english and computer science and their teachers. Medical Education, 30(3), 221-225. http://dx.doi.org/10.1111/j.1365-2923.1996.tb00746.x 

  7. Faul, F., Erdfelder, E., Lang, A. G., & Buchner, A. (2007). G*power 3.: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8. Ha, K. Y., & Hong, D. A. G. (2002). Effect of grandchildren's solidarity with their grandparents on caring attitude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1(2), 107-121. 

  9. Han, J. R., Ryu, H. S., & Kim, G. J. (2007). Undergraduate students' knowledge about aging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26(3), 121-139. 

  10. Harris, L. A., & Dollinger, S. (2001). Participation in a course on aging: knowledge, attitudes, and anxiety about aging in oneself and others. Educational Gerontology, 27(8), 657-667. http://dx.doi.org/10.1080/036012701317117893 

  11. Jeon, H. S., & Kwon, K. J. (2009).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of the cyber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3, 203-226. 

  12. Jeon, J. S. (2012). The effect of the home self-esteem on the attitude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in christian college & university students -centering around spiritual well-being and anxiety as mediators-, Faith & Scholarship, 17(3), 271-292. 

  13. Joo, K. B., & Kim, K. B. (2008). A study of care burden, burnout, and quality of life among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Womens Health Nursing, 14(4), 276-289. http://dx.doi.org/10.4069/kjwhn.2008.14.4.278 

  14. Kang, J. S., Jung, D. Y., & Kim, Y. Y. (2009). Women university students' supporting awarenes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9(3), 851-865. 

  15. Kim, S. G., & Lim, H. Y. (2007). The effect of a senior simulation program on juvenile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7, 225-248. 

  16. Lee, J. H., Ahn, Y. S., & Yune, S. J. (2007). The effects of living experiences with the elderly and leaning about the elderly to knowledge of aging process and anxiety about aging process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7(2), 345-355. 

  17. Lee, S. S., & Sonia, S. (2005). Korean and american undergraduat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elderly and aging. Journal of Family Relations, 10(3), 195-218. 

  18. Lim, Y. O., Ryu, S. H., & Seok, J. E. (2011). Experience process of the undergraduates` aging simulation game.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4, 263-284. 

  19. Linda, J. A., & James, A. J. (2008). Undergraduate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The role of knowledge, contact and aging anxiety. Educational Gerontology, 35(1), 1-14. http://dx.doi.org/10.1080/03601270802299780 

  20. Mary E. K., Gary D. S., Bernard E. W. J., & Blair T. J. (2005). Attitudes toward younger and older adults: An updated meta-analytic review. Journal of Social Issues, 61(2), 241-266. http://dx.doi.org/10.1111/j.1540-4560.2005.00404.x 

  21. Palmore, E. B. (1977). The facts of aging quiz. The gerontologist, 17(4), 315-320. 

  22. Park, A. Y., & Kim, K. H. (2010). Training effectiveness and behavior towards the elderly of caregiver traine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2(2), 200-210. 

  23. Park, I. J., Choi, W. S., & Kim, A. H. (2008). The Effects of undergraduate`s optimism and family-control on their awareness of caregiving for the elderl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7(1), 13-26. 

  24. Park, K. R., & Lee, Y. S. (2001). Stereotypes of the elderly held by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1(2), 71-83. 

  25. Park, K. Y. (2007). Rational emotive behavioral therapy. Seoul, Hakgisa. 

  26. Park, M. G. (2009). Relationship of women's college students' knowledge, attitudes toward elderlies and consciousness about supporting the aged. Pusan Women's College Journal, 31, 263-277. 

  27. Sanders, G. F., Montgomery, J. E., Pittman, J. F., & Balkwell, C. (1984). Youth's attitudes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3(1), 59-70. 

  28. Seok, J. E. (2009). The differences and determinants in the perception on old-age support across generation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9(1), 163-191. 

  29. Statistics Korea data. (2012).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Statistics about Demographic studies in 2011. Retrieved December 7, 2012, from web site: http://www.index.go.kr/egams/stts/jsp/potal/stts/PO_STTS_IdxMain.jsp? idx_cd1010&bbsINDX_001. 

  30. Yu, S. J., Kim, S. M., & Lee, Y. J. (2004). The Effect of senior simulation on nurses' attitude toward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6), 974-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