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경험이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cial Work Student's Attitude,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Senior Citizens 원문보기

디지털정책연구 = The Journal of digital policy & management, v.10 no.8, 2012년, pp.265 - 273  

이민숙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양소남 (경기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본 연구는 사회복지를 공부하고 있는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을 탐색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2011년 5월에서부터 6월까지 서울과, 경기도 그리고 충청도에서 전문대학을 포함한 4년제 대학과 대학 부설 평생교육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생 7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중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한 702명의 학생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 수준은 5점 만점에 평균 4.05점으로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연령, 노인과의 긍정적인 동거경험, 노인관련 자원봉사경험, 노인에 대한 태도, 노인에 대한 신체적 생리적 지식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논의와 노인부양의식의 고취를 위한 사회복지적 실천방안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experiences of, knowledge of, and attitude toward the aged affect consciousness of supporting the aged among students of social welfare. 702 students majoring in social welfare at university in the capital and regional area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from May to J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가치관 변화에 따른 부양기능의 쇠퇴가 노인부양문제의 핵심을 이룬다는 관점에서,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을 살펴보고, 특히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경험이 이들의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노인부양 복지대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가치관 변화에 따른 부양기능의 쇠퇴가 노인부양문제의 핵심을 이룬다는 관점에서, 사회복지전공 학생들의 노인부양의식을 살펴보고, 특히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경험이 이들의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바람직한 노인부양 복지대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결과들은 연구 시점이나 연구대상, 가족환경 및 사회변화에 따라 각각 상이한 관점으로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 대한 태도요인과 지식요인, 노인관련 경험요인을 중심으로 이들 요인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함께 사회복지현장실습을 노인복지 분야에서 경험한 학생들이 노인복지분야 취업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인다는 연구결과에서도 알 수 있듯이[27], 노인복지 분야에서의 사회복지현장실습은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 및 고정관념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되고 이는 부양의식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노인복지분야 실습경험을 경험요인에 포함시켜 연구를 진행했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노인에 대한 태도, 지식, 경험이 노인부양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첫째,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노인부양의식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지식요인 중 노인에 대한 신체 및 생리적 지식이 많을수록 노인부양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부양의식이란 무엇인가? 노인부양의식이란 부모에 대한 의무 보호부양과 경제적 지원을 포함하는 자녀의 성숙된 부양태도 또는 노부모의 복지유지를 지원하기 위한 개인적 의무감으로 노부모를 부양하고 보호하려는 의무와 의지를 말한다. 즉 노인부양의식은 경제적·정서적·신체적 환경이 열악한 노인의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의지라고 할 수 있다[25, 24, 26, 44, 51].
통계청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노인부양의식이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실제적으로 통계청이 사회조사를 통해서 부모부양에 대한 견해를 조사한 결과[40, 42], 노인부양의식이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만 13세 이상의 응답자 중 ‘노인은 가족이 부양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38.3%로 나타나, 전통사회에서 장남이 부모를 모셔야 한다는 부양의식이 달라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것은 2005년도 자료에서 노인 부양은 ‘가족이 전담해야 한다’ 는 의견이 60.7%였던 것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한 수치이다. 그리고 2010년 자료에서 ‘가족과 정부, 그리고 사회의 공동책임’이라는 의견이 37.8%, 그리고 ‘노인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의견이 18.4%로 나타난 것을 볼 때, 노인에 대한 사회적 부양에 대한 논의가 공론화되기 시작했음을 짐작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가족에 의한 부양은 크게 변하지 않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중 가장 높게 나타나는 것은 무엇인가? 즉 장남이거나 외아들일 경우 부모부양에 대해 긍정적이었으며, 여성의 경우에는 경제적부양이나 서비스적 부양보다 정서적 부양을 제공하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대학생의 노인부양의식은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부양의식이나 정서적 부양의식에 비해 서비스적 부양의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18].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 부양의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던 과거의 연구들과는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1, 29, 36, 37], 이를 통해 변화된 부양의식 실태를 파악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