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베타아밀로이드로 유도된 신경소교세포 사멸에 대한 루테올린의 보호효과 연구
Protective Effect of Luteolin against β-Amyloid-induced Cell Death and Damage in BV-2 Microglial Cells 원문보기

大韓本草學會誌 = The Korea journal of herbology, v.28 no.6, 2013년, pp.79 - 86  

박규환 (경북대학교 약학대학 약학연구소) ,  장정희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europrotective effects and molecular mechanisms of luteolin against ${\beta}$-amyloid ($A{\beta}_{25-35}$)-induced oxidative cell death in BV-2 cells. Methods : The protective effects of luteolin against $A{\beta}_{...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루테올린의 항치매 효능을 규명하고자, 베타아밀로이드로 신경소교세포 사멸을 유도한 후 루테올린에 의한 보호효과를 관찰하였고, 항산화기전을 중심으로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노인성 치매의 병인에 있어 산화적 조직손상 및 신경소교세포의 활성화가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루테올린의 신경소교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정확히 규명하고 적절히 조절한다면 이는 노인성 치매의 예방 및 조절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특히, 발병기전이 복합적인 치매에 대해 단일 표적중심의 합성신약이 치료 효능상의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기 때문에, 여러 경로의 표적을 동시에 제어하고 부작용을 경감시킬 수 있는 천연물 유래 항치매 활성물질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물질인 임자엽(荏子葉)에 많이 함유된 루테올린의 신경세포 보호 효능과 작용 기전을 규명하고 치매의 예방 및 치료물질로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신경소교세포인 BV-2 세포를 대상으로 항산화 작용 및 신경세포 사멸 억제에 미치는 루테올린의 효과에 중점을 두고 일련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소교세포가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활성화 될 경우 어떻게 되는가? 신경소교세포는 뇌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일종의 대식세포로서, 신경독성물질인 베타아밀로이드를 포식작용으로 제거하는 이로운 역할을 수행한다. 하지만, 비정상적으로 과도하게 활성화 될 경우 chemokine (C-C motif) ligand (CCL2), interleukin-1β (IL-1β), interleukin-6 (IL-6),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nitric oxide (NO), prostaglandin E2 (PGE2) 등 염증성 신경 독성물질을 분비하여 신경세포에 손상을 유발한다. 그 밖에도 신경소교세포의 과도한 활성화는 보체(complement), 단백분해효소(proteases),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의 생성을 현저히 증가시켜 신경소교세포 및 신경세포의 사멸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치매란? 치매는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가 정한 21세기 3대 질환의 하나로, 대표적인 만성 진행형 퇴행성 뇌 정신 질환이며, 이 중 유병률이 가장 높은 노인성 치매는 흔히 알츠하이머병으로도 불린다. 노인성 치매에서는 주로 해마(hippocampus), 전뇌(forebrain), 측두엽(temporal lobe) 등이 순차적으로 손상을 받게 되며, 이 과정에서 약 30-40% 정도의 신경이 손실된다.
정상상태에서의 신경소교세포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병적상태에서 베타아밀로이드에 의해 활성화된 신경소교세포(microglia)는 염증성 싸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s), 산화질소(nitric oxide, NO),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 등을 생성, 유리하여 간접적인 신경독성을 매개한다3,4). 반면에 정상상태에서의 신경소교세포는 중추신경계의 주 면역세포로서 축적된 베타아밀로이드를 제거하는 이로운 역할을 하기도 한다5). 노화에 따른 신경세포의 퇴행을 억제하고 신경세포를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신경세포와 신경소교세포와의 긴밀한 상호작용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서는 신경소교세포의 생존과 기능유지가 선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Imbimbo BP, Lombard J, Pomara N. Pathophysiology of Alzheimer's disease. Neuroimaging Clin N Am. 2005 ; 15 : 727-53. 

  2. Behl C. Amyloid beta-protein toxicity and oxidative stress in Alzheimer's disease. Cell Tissue Res. 1997 ; 290 : 471-80. 

  3. Cotter RL, Burke WJ, Thomas VS, Potter JF, Zheng J, Gendelman HE. Insights into the neurodegenerative process of Alzheimer's disease: a role for mononuclear phagocyte-associated inflammation and neurotoxicity. J Leukoc Biol. 1999 ; 65 : 416-27. 

  4. Giulian D. Microglia and the immune pathology of Alzheimer disease. Am J Hum Genet. 1999 ; 65 : 13-8. 

  5. Morgan D. The role of microglia in antibody-mediated clearance of amyloid-beta from the brain. CNS Neurol Disord Drug Targets. 2009 ; 8 : 7-15. 

  6. Ueda H, Yamazaki C, Yamazaki M. Luteolin as an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constituent of Perilla frutescens. Biol Pharm Bull. 2002 ; 25 : 1197-202. 

  7. Ashokkumar P, Sudhandiran G. Protective role of luteolin on the status of lipid peroxidation and antioxidant defense against azoxymethane-induced experimental colon carcinogenesis. Biomed Pharmacother. 2008 ; 62 : 590-7. 

  8. Leung HW, Kuo CL, Yang WH, Lin CH, Lee HZ. Antioxidant enzymes activity involvement in luteolin-induced human lung squamous carcinoma CH27 cell apoptosis. Eur J Pharmacol. 2006 ; 534 : 12-8. 

  9. Yoo DY, Choi JH, Kim W, Nam SM, Jung HY, Kim JH, Won MH, Yoon YS, Hwang IK. Effects of luteolin on spatial memory, cell proliferation, and neuroblast differentiation in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in a scopolamine-induced amnesia model. Neurol Res. 2013 ; 35 : 813-20. 

  10. Tsai FS, Peng WH, Wang WH, Wu CR, Hsieh CC, Lin YT, Feng IC, Hsieh MT. Effects of luteolin on learning acquisition in rats: involvement of the central cholinergic system. Life Sci. 2007 ; 80 : 1692-8. 

  11. Liu Y, Tian X, Gou L, Sun L, Ling X, Yin X. Luteolin attenuates diabetes-associated cognitive decline in rats. Brain Res Bull. 2013 ; 94 : 23-9. 

  12. Jang S, Dilger RN, Johnson RW. Luteolin inhibits microglia and alters hippocampal-dependent spatial working memory in aged mice. J Nutr. 2010 ; 140 : 1892-8. 

  13. Xu B, Li XX, He GR, Hu JJ, Mu X, Tian S, Du GH. Luteolin promotes long-term potentiation and improves cognitive functions in chronic cerebral hypoperfused rats. Eur J Pharmacol. 2010 ; 627 : 99-105. 

  14. Tsai FS, Cheng HY, Hsieh MT, Wu CR, Lin YC, Peng WH. The ameliorating effects of luteolin on beta-amyloid-induced impairment of water maze performance and passive avoidance in rats. Am J Chin Med. 2010 ; 38 : 279-91. 

  15. Liu R, Gao M, Qiang GF, Zhang TT, Lan X, Ying J, Du GH. The anti-amnesic effects of luteolin against amyloid beta(25-35) peptide-induced toxicity in mice involve the protection of neurovascular unit. Neuroscience. 2009 ; 162 : 1232-43. 

  16. Zamzami N, Marchetti P, Castedo M, Decaudin D, Macho A, Hirsch T, Susin SA, Petit PX, Mignotte B, Kroemer G. Sequential reduction of mitochondrial transmembrane potential and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in early programmed cell death. J Exp Med. 1995 ; 182 : 367-77. 

  17. Kaushik DK, Basu A. A Friend in Need May Not be a Friend Indeed: Role of Microglia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CNS Neurol Disord Drug Targets. 2013 ; 12 : 726-40. 

  18. Zhu LH, Bi W, Qi RB, Wang HD, Lu DX. Luteolin inhibits microglial inflammation and improves neuron survival against inflammation. Int J Neurosci. 2011 ; 121 : 329-36. 

  19. Rezai-Zadeh K, Ehrhart J, Bai Y, Sanberg PR, Bickford P, Tan J, Shytle RD. Apigenin and luteolin modulate microglial activation via inhibition of STAT1-induced CD40 expression. J Neuroinflammation. 2008 ; 5 : 41. 

  20. Kao TK, Ou YC, Lin SY, Pan HC, Song PJ, Raung SL, Lai CY, Liao SL, Lu HC, Chen CJ. Luteolin inhibits cytokine expression in endotoxin/cytokine-stimulated microglia. J Nutr Biochem. 2011 ; 22 : 612-24. 

  21. Lin CW, Wu MJ, Liu IY, Su JD, Yen JH. Neurotrophic and cytoprotective action of luteolin in PC12 cells through ERK-dependent induction of Nrf2-driven HO-1 expression. J Agric Food Chem. 2010 ; 58 : 4477-86. 

  22. Guo DJ, Li F, Yu PH, Chan SW. Neuroprotective effects of luteolin against apoptosis induced by 6-hydroxydopamine on rat pheochromocytoma PC12 cells. Pharm Biol. 2013 ; 51 : 190-6. 

  23. Wruck CJ, Claussen M, Fuhrmann G, Romer L, Schulz A, Pufe T, Waetzig V, Peipp M, Herdegen T, Gotz ME. Luteolin protects rat PC12 and C6 cells against MPP+ induced toxicity via an ERK dependent Keap1-Nrf2-ARE pathway. J Neural Transm Suppl. 2007 ; 72 : 57-67. 

  24. Cheng HY, Hsieh MT, Tsai FS, Wu CR, Chiu CS, Lee MM, Xu HX, Zhao ZZ, Peng WH. Neuroprotective effect of luteolin on amyloid beta protein (25-35)-induced toxicity in cultured rat cortical neurons. Phytother Res. 2010 ; 24 : S102-8. 

  25. Zhao G, Yao-Yue C, Qin GW, Guo LH. Luteolin from Purple Perilla mitigates ROS insult particularly in primary neurons. Neurobiol Aging. 2012 ; 33 : 176-86. 

  26. Romanova D, Vachalkova A, Cipak L, Ovesna Z, Rauko P. Study of antioxidant effect of apigenin, luteolin and quercetin by DNA protective method. Neoplasma. 2001 ; 48 : 104-7. 

  27. Meng L, Lozano YF, Gaydou EM, Li B. Antioxidant activities of polyphenols extracted from Perilla frutescens varieties. Molecules. 2008 ; 14 : 133-40. 

  28. Peng Y, Ye J, Kong J. Determination of phenolic compounds in Perilla frutescens L. by capillary electrophoresis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J Agric Food Chem. 2005 ; 53 : 8141-7. 

  29. Choi SH, Hur JM, Yang EJ, Jun M, Park HJ, Lee KB, Moon E, Song KS. Beta-secretase (BACE1) inhibitors from Perilla frutescens var. acuta. Arch Pharm Res. 2008 ; 31 : 183-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