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대생의 건강 관련 삶의 질 영향 요인
Factors Affect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Undergraduat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0 no.4, 2013년, pp.400 - 409  

차보경 (한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fine factors influencing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women undergraduates. Independent variables of physical activity, attitude to eating, satisfaction with body shape, stress and self-esteem were used to predict HRQOL. Method: Data were analyz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대생 시기의 건강관리는 가까운 미래인 성인기 건강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앞으로 결혼, 임신, 출산을 앞둔 여성 건강의 입장에서도 적극적인 예방적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기 성년기 여성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적, 정신적 건강의 지표로 고려되는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하는 요소를 파악하여, 건강관련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한 신체활동 증진과 건강한 섭식 행동 등을 포함하는 중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과 제 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먼저, 여대생의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에 포함된 제 요인들의 정도는 미국 일반인 수준은 유지하고 있으나, 연령별 비교에서는 20대 초반 미국 여성의 51.
  •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여성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조사연구로서, 여대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제 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여대생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영역 정도는 평균 73.
  • 본 연구는 횡단적 자료를 이용하여 여대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알아보고, 여대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을 검증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성인기 여성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 및 제 변수의 정도를 확인하고, 여대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하는 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이 축적되어야 하는가? 이중, 신체 활동은 집안일, 걷기, 산책 뿐 아니라 근력과 지구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포함하고 있으며(Acree et al., 2006), 건강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능력과 건강상태에 적합한 활동을 선택하여 최소한의 신체 활동 수준 이상으로 신체활동량이 축적되어야 한다(Pate et al., 1995).
신체 활동은 무엇을 포함하고 있는가? 이중, 신체 활동은 집안일, 걷기, 산책 뿐 아니라 근력과 지구력 증진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운동을 포함하고 있으며(Acree et al., 2006), 건강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개인의 능력과 건강상태에 적합한 활동을 선택하여 최소한의 신체 활동 수준 이상으로 신체활동량이 축적되어야 한다(Pate et al.
여대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제 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초기 성인기 여성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 조사연구로서, 여대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과 제 변수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며,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하는 요인들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 결과, 여대생의 건강 관련 삶의 질의 신체적 영역 정도는 평균 73.89점, 정신적 영역 정도는 68.45점 이었다. 여대생의 신체적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으로 자존감이 25%의 설명력을 나타냈고, 지각된 스트레스가 5%, 섭식태도가 3%, 신체활동 수준이 2%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들 4개 영향 요인의 설명력은 35%였다. 정신적 건강관련 삶의 질의 영향 요인으로 지각된 스트레스가 37%의 설명력을 나타내었고, 자존감이 4%, 섭식태도가 3%, 신체활동 수준이 1%의 설명력을 보였다. 이들 4개 영향 요인의 설명력은 45%였다. 따라서 여대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의 향상을 위해서는 자존감 향상과 스트레스 관리가 중요하며 건전한 섭식태도를 형성하고 건강증진활동 수준의 신체활동을 동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영향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개발할 것과 본 연구 변수 이외에 여대생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 추진을 제언하는 바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cree, L. S., Longfors, J., Fjeldstad, A. S., Fjeldstad, C., Schank, B., Nickel, K. J., et al. (2006). Physical activity i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4, Article 37. Retrieved Decemver 16, 2012, from http://hqlo.com/content/4/1/37 

  2. Choi, H., Lee, E. O., Kim, B. W., & Kim, I. J. (2004).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6, 191-201. 

  3. Choi, M. S., & Cheon, S. H. (2007).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body shape satisfaction, anger and eating attitudes in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13, 327-335. 

  4. Cohen, S., Kamarck, T., & Mermelstein, R. (1983). A global measure of perceived stres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4, 385-396. 

  5. Cooper, P. J., Taylor M. J., Cooper, Z., & Fairburn, C. G. (1987).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body shape questionnair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6, 485-494. 

  6. Doll, H. A., Petersen, S. E., & Stewart-Brown, S. L. (2005). Eating disorders and emotional and physical well-being:Associations between student self-reports of eating disorders and quality of life as measured by the SF-36. Quality of Life Research, 14, 705-717. 

  7. Engel, S. G., Adair, C. E., Hayas, C. L., & Abraham, S. (2009).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nd eating disorders:A review and updat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42, 179-187. 

  8. Garner, D. M., Olmsted, M. P., Bohr, Y., & Garfinkel, P. E. (1982). The eating attitude test: Psychometric features and clinical correlates. Psychological Medicine, 12, 871-878. 

  9. Han, K. S., Park, E. S., Song, J. A., Kim, K. M., Jin, J. H., & Kang, H. C. (2007). International attachment style, emotional regulation,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6, 198-204. 

  10.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Group. (2005). Guidelines for the data processing and analysis of the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Retrieved August 25, 2011, from http://www.ipaq.ki.se/ 

  11. J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7-130. 

  12. Kim, A. K. (2010). Yangsae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middle 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16, 297-306. 

  13. Kim, S. Y., Yun, J. E., Kim, H. J., & Jee, S. H. (2011). The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by the IPAQ to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2008.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8(2), 15-25. 

  14. Kleinbaum, D. G., Kupper, L. L., Nizam, A., & Muller, K. E. (2007). Applied regression analysis and other multivariable methods (4th ed.). Belmont: Duxbury Press. 

  15. Ku, H. J., & Lee, D. T. (2006). Estimation of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internation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s (IPAQ) in Korea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Sports Science Research, 24, 65-73. 

  16. Lee, G. H., Kim, C. H., Shin, H. C., Park, Y. W., & Sung, E. J. (2007). The relation of physical activity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8, 451-459. 

  17. Lee, K. H., Kim, S. K., Chun, K. J., & Han, S. H.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disorder and self-esteem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 390-399. 

  18. Mayer, B., Muris, P., Meesters, C., & Zimmermann-van Beuningen, R. (2009). Brief report: Direct and indirect relations of risk factors with eating behavior problems in late adolescent females. Journal of Adolescence, 32, 741-745.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2011 National Health Statistics. Retrieved September 1, 2013, from http://knhanes.cdc.go.kr/knhanes/index.do 

  20. Mussap, A. J. (2009). Acculturation, body image, and eating behaviours in Muslim - Australian women. Health & Place, 15, 532-539. 

  21. Noh, Y. K.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shape 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 and self-este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22. Park, Y. R., & Son, Y. J. (2009).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 353-361. 

  23. Park, Y. R., Wee, H., & Kim, S. J. (2010). Lifestyle, depressio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in Jeju provi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1, 148-155. 

  24. Pate, R. R., Pratt, M., Blair, S. N., Haskell, W. L., Macera, C. A., Bouchard, C., et al. (1995).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A recommendation from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73, 402-407. 

  25. QualityMetric. (1998). 1998 SF-36 normative data. Retrieved September 25, 2013, From http://www.sf-36.org/research/sf98norms.shtml?id5 

  26.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27. Yom, Y. H., & Lee, K. E. (2010). Factors affecting eating attitude of female undergraduates in regard to BM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40, 676-685. 

  28. Ware, J. E., & Sherbourne, C. D. (1992). The MOS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SF-36). I. Conceptual framework and item selection. Medical Care, 30, 473-483. 

  29. U. S. Department of Agriculture, & U. 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2010. Washington D.C.: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Retrieved July 25, 2013, From http://www.cnpp.usda.gov/DGAs2010-PolicyDocument.ht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