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f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6, 2018년, pp.339 - 346  

홍세화 (한일장신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를 비교하고,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2017년 9월 25일부터 10월 8일까지 W군에 위치한 일 개 대학의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 22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자를 제외한 210명의 자가보고 설문지를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이행정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t=-0.489, p=625), 대인관계 영역의 점수가 가장 높고(간호대학생 $2.92{\pm}0.52$, 일반대학생 $2.94{\pm}0.53$), 건강책임 영역의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간호대학생 $2.01{\pm}0.50$, 일반대학생 $1.96{\pm}0.52$), 성별, 건강관련 강의 수강여부, 흡연 여부, 지각된 건강상태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하위 영역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토대로 대학 및 지역사회 보건기관이 협력하여 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향상을 위한 다양하고 지속적인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재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between nursing students and general college students. The participants were 210 students(100 nursing students, 110 general colleg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SPSS/WIN 23.0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앞으로 간호사가 되어 대상자들의 바람직한 건강행위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게 될 간호대학생들의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를 파악하는 것은 필요하겠다. 또한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와 비교해봄으로써 건강증진 향상을 위한 획일적인 관리가 아니라 학과 특성에 맞는 실질적 건강관리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를 비교하고, 건강 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융합연구로 추후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도모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추후 대학생의 건강도모를 위한 관리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일반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이행 정도를 파악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건강 관련 특성에 따라 건강증진행위 이행 정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융합연구로 추후 대학생의 건강증진행위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증진 행위의 범주를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Pender[2]는 건강증진 행위의 범주를 규칙적인 운동,여가활동, 휴식, 적정수준의 영양, 스트레스를 이완시키는 활동, 사회적 지지체계의 개발로 나누었으며, 개인이건강에 대한 책임을 가지고 생활양식의 변화를 갖게 되면 오늘날의 많은 건강문제를 예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좋은 건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젊은 시절부터 흡연, 음주 등의 건강위해행위 조절, 식이조절, 적절한 신체활동 등과 같은 건강증진행위를 시작함으로써 죽음과 질병, 불구를 초래하는 건강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고 보았다[3].
우리나라 대학생 시기에 있는 이들에게 노출되고 있는 문제는 무엇인가? 이 시기에 잘못 형성된 건강습관이나 부적절한 스트레스 노출과 관리는 대학생 시기의 건강상태 뿐만 아니라 향후 성인이 되었을 때의 건강 수준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5]. 현재 우리나라의 대학생은 대학 입학 이후 성적 경쟁과 취업 준비로 인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으며, 건강하지 못한 식이습관, 운동량 부족, 자유롭게 음주와 흡연을 할 뿐만 아니라 그 양이 증가하고 있어 건강행위와 관련된 다양한 위험요인에 노출되어 있다[6]. 하지만 대학생 시기는 생활습관의 개선이나 건강 교육을 통하여 건강행동의 수정이 가능하므로 대학생 때에 올바른 건강의 의미와 삶에 있어서 건강의 중요성을 깨닫게 하고 스스로 건강증진행위를 생활화하도록 하는 것은 매우 의의 있는 일이라 하겠다.
대학생을 포함한 초기 성인기의 특징은 무엇인가? 대학생을 포함한 초기 성인기는 성장발달 과정상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상호관계의 성장을 빠르게 경험하는 시기로, 경제적 독립을 준비하기 위한 역동적인 단계이면서 올바른 건강습관이 형성되지 않아 건강을 해치기 쉬운 시기이기도 하다[4]. 또한 대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사망률이나 질병의 이완율이 비교적 낮고 체력적으로 아주 건강한 생애주기에 해당하는 집단이나.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G. J. Kim. (2000). Prediction model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middle-aged men.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2. N. J. Pender. (1987).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2nd ed. Norwalk : Appleton & Lange. 

  3. WHO (2017). Health promoting school: an effective approach for early action on NCD risk factors. World Health Organization. http://www.who.int/healthpromotion/publications/health-promotion-school/en/. 

  4. B. K. Kim, M. S. Jung & C. H. Han. (2002).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and 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9(1), 59-85. 

  5. K. S. Han.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35(3), 585-592. 

  6. K. S. Han. (2005). Self efficacy,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ymptoms of stress among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4), 585-592. 

  7. Y. A. Ko. (2002). Effect of psychodrama group counselling on physical and mental health of nursing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8. M. Clement, L. W. Jankowski, L. Bouchard, M. Perreault & Y. Lepage. (2002). Health behaviors of nursing students: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1(6), 257-265. 

  9. S. W. Jung, R. I. Hwang & Y. S. Lee. (2017).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265-272. DOI : 10.15207/JKCS.2017.8.4.265 

  10. S. H. Hong.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9(1), 78-86. DOI : 10.5977/jkasne.2013.19.1.78 

  11. S. N. Walker, K. R. Sechrist & N. J. Pender. (1995).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II. Omaha :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12. H. M. Seo. (2000). Construction of health promoting behavior model in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D. H. Kim. (2012). Comparison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between health department and non-health department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Global Health & Nursing, 2(1), 26-33. 

  14. S. J. Kim & E. Y. Jung. (2015). A relevance on health perception, health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th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6(8), 5394-5403. DOI : 10.5762/KAIS.2015.16.8.5394 

  15. J. H. Park & E. H. Kim. (2017). Relationship of academic stress, ego-resilienc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9), 193-202. DOI : 10.5762/KAIS.2017.18.9.193 

  16. Y. S. Park & H. K. Lee. (2006). The correlational study of health promotion lifestyle and body composition in a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19(1), 67-78. 

  17. H. K. Kim. (2007). Gender differences i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related factors among university students using Pender's health promotion model.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21, 198-219. 

  18. Y. H. Chung, N. S. Seo & S. H. Moon. (2011). Related factor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by gender among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12(2), 29-42. 

  19. S. Y. Min & K. S. Paek. (2007).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program on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self-efficacy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8(4), 562-571. 

  20. K. H. Suh. (2007). Update in the smoking and smoking cessation of Korean wome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2(4), 695-713. 

  21. M. S. Lee, J. Y. Hong, H. J. Hwang & S. H. Bae. (2010).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 of smoking after a 6 month cessation at somking cessation clinic in phblic health center of one metropolotan c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 31-39. 

  22. J. H. Shin, M. H. Seo & M. I. Lee. (2016). Nursing jobs and gender in our age of convergence: research on male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3), 287-297. DOI : 10.14400/JDC.2016.14.3.287 

  23. M. S. Duffy & E. MacDonald. (1990). Determinates of functional health of older persons. Genrontologist, 30(4), 503-509. 

  24. C. L. Cox, E. H. Miller & C. S. Mull. (1987). Motivation in health behavior: measurement, antecedents, and correlates. Advances in Nursing Science, 9(4), 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