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spergillus Oryzae로 발효시킨 비지메주의 항비만 및 지질개선 효과
Effect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FSCR; SCR-meju) by aspergillus oryzae on the anti-obesity and lipids improvement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6 no.6, 2013년, pp.493 - 502  

이상일 (계명문화대학 식품영양조리학부) ,  이예경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김순동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이지언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최종근 (청운대학교 화장품과학과) ,  박종필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임종환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서주원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  이인애 (명지대학교 농생명바이오식의약소재개발사업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designed to confirm the dietary effect of anti-obesity of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FSCR; SCR-Meju; Biji-meju) by A. oryzae, which is well known as a Korean traditional meju microbe. We observed that body weight gain, serum and hepatic lipid profile, as well as the activity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오랜 세월 동안 전통적으로 이용해 온 미생물인 A. oryzae를 비지에 발효시켜 비지 메주를 제조하여 고지방식이 마우스의 체중과 지질개선효과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 메주 미생물로 알려져 있는 A. oryzae를 이용하여 제조한 비지 메주 (SCR-meju)의 항비만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고지방 식이에 첨가하여 실험동물에 투여 하였을 때의 체중, 혈액 및 간 조직 지질의 함량변동과 간조직 ROS 생성계 및 소거계 효소의 활성을 조사하였다. 체중 증가율과 부고환주변 지방조직의 함량은 SCR에서보다 SCR-meju군에서 고지방식이 대조군인 HC군에 비해 더욱 많이 감소하였다.

가설 설정

  • 7) Values are mean ± standard deviations (n = 5), different superscripts in the same row indicate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비만의 작용 기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지난 30여 년 동안 여러 종류의 항 비만제가 개발되었으나 실제 활용되고 있는 것은 pancereatic lipase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서 장내의 지방흡수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orlistat (xenical)7)가 있으며 그 외 식욕 억제제로 알려진 sibutramine (reductil)8)등은 심각한 부작용 때문에 사용이 제한9,10) 되고 있다. 항비만의 작용 기전으로는 lipase 저해,11)식욕억제,12)에너지 소비촉진,13)지방세포의 분화저해,14)지방대사 조절15) 및이들의 복합작용16) 등이 알려져 있으며, 본 연구의 재료인 비지에 함유된 genistein 및 L-carnitine (isoflavone)은 peroxisome-proliferator activated receptor로 지방 대사를 촉진17) 하 며, β-conglycinin 및 glycinin (globulins)의 지방산의 생합성을 억제와 동시에 β-oxidation을 촉진18) 하며, genistein은 지방 세포의 분화를 억제19) 함으로서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비지란? 비지 (soybean curd residue: SCR)는 대두에 물을 넣어 파쇄한 후 끓여 두유를 얻고 남은 잔유물로 대부분이 대두의 껍질부분을 포함한 비수용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SCR에는 내열성의 고초균 (Bacillus substilis)이 부착되어 있어 40℃ 내외에서 하룻밤 띄우면 독특한 향미를 가지는 발효비지를 만들 수 있으며 우리나라 전통식품의 하나로 이용되어 왔다.
비지에 부착된 균은 무엇인가? 비지 (soybean curd residue: SCR)는 대두에 물을 넣어 파쇄한 후 끓여 두유를 얻고 남은 잔유물로 대부분이 대두의 껍질부분을 포함한 비수용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SCR에는 내열성의 고초균 (Bacillus substilis)이 부착되어 있어 40℃ 내외에서 하룻밤 띄우면 독특한 향미를 가지는 발효비지를 만들 수 있으며 우리나라 전통식품의 하나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비지에 대한 과학적인 인식의 부족으로 최근에는 폐기물로 버려지는 경우가 많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Kopelman PG. Obesity as a medical problem. Nature 2000; 404 (6778): 635-643 

  2. Hossain P, Kawar B, El Nahas M. Obesity and diabetes in the developing world--a growing challenge. N Engl J Med 2007; 356(3): 213-215 

  3. Grundy SM. Multifactorial causation of obesity: implications for prevention. Am J Clin Nutr 1998; 67(3 Suppl): 563S-572S 

  4. Ferraro KF, Su YP, Gretebeck RJ, Black DR, Badylak SF. Body mass index and disability in adulthood: a 20-year panel study. Am J Public Health 2002; 92(5): 834-840 

  5. Mukherjee M. Human digestive and metabolic lipases - a brief review. J Mol Catal B Enzym 2003; 22(5-6): 369-376 

  6. Furukawa S, Fujita T, Shimabukuro M, Iwaki M, Yamada Y, Nakajima Y, Nakayama O, Makishima M, Matsuda M, Shimomura I. Increased oxidative stress in obesity and its impact on metabolic syndrome. J Clin Invest 2004; 114(12): 1752-1761 

  7. Drew BS, Dixon AF, Dixon JB. Obesity management: update on orlistat. Vasc Health Risk Manag 2007; 3(6): 817-821 

  8. Poston WS, Foreyt JP. Sibutramine and the management of obesity. Expert Opin Pharmacother 2004; 5(3): 633-642 

  9. Karamadoukis L, Shivashankar GH, Ludeman L, Williams AJ. An unusual complication of treatment with orlistat. Clin Nephrol 2009; 71(4): 430-432 

  10. Slovacek L, Pavlik V, Slovackova B. The effect of sibutramine therapy on occurrence of depression symptoms among obese patients. Nutr Metab Cardiovasc Dis 2008; 18(8): e43-e44 

  11. Birari RB, Bhutani KK. Pancreatic lipase inhibitors from natural sources: unexplored potential. Drug Discov Today 2007; 12 (19-20): 879-889 

  12. Halford JC, Blundell JE. Pharmacology of appetite suppression. Prog Drug Res 2000; 54: 25-58 

  13. Redinger RN. Fat storage and the biology of energy expenditure. Transl Res 2009; 154(2): 52-60 

  14. Madsen L, Petersen RK, Kristiansen K. Regulation of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by polyunsaturated fatty acids. Biochim Biophys Acta 2005; 1740(2): 266-286 

  15. Langin D. Adipose tissue lipolysis as a metabolic pathway to define pharmacological strategies against obes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Pharmacol Res 2006; 53(6): 482-491 

  16. Rayalam S, Della-Fera MA, Baile CA. Phytochemicals and regulation of the adipocyte life cycle. J Nutr Biochem 2008; 19(11): 717-726 

  17. Yang JY, Lee SJ, Park HW, Cha YS. Effect of genistein with carnitine administration on lipid parameters and obesity in C57Bl/ 6J mice fed a high-fat diet. J Med Food 2006; 9(4): 459-467 

  18. Moriyama T, Kishimoto K, Nagai K, Urade R, Ogawa T, Utsumi S, Maruyama N, Maebuchi M. Soybean $\beta$ -conglycinin diet suppresses serum triglyceride levels in normal and genetically obese mice by induction of $\beta$ -oxidation, downregulation of fatty acid synthase, and inhibition of triglyceride absorption.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4; 68(2): 352-359 

  19. Harmon AW, Harp JB. Differential effects of flavonoids on 3T3- L1 adipogenesis and lipolysis. Am J Physiol Cell Physiol 2001; 280(4): C807-C813 

  20. Shi M, Yang Y, Guan D, Zhang Y, Zhang Z. Bioactivity of the crude polysaccharides from fermented soybean curd residue by Flammulina velutipes. Carbohydr Polym 2012; 89(4): 1268-1276 

  21. Choi MS, Kim JI, Jeong JB, Lee S, Jeong JN, Jeong HJ, Seo EW, Kim TY, Kwon OJ, Lim JH. Suppressive effects of by-product extracts from soybean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expression of obesity-related genes in 3T3-L1 adipocytes. J Life Sci 2011; 21 (3): 358-367 

  22. Matsumoto K, Watanabe Y, Yokoyama S. Okara, soybean residue, prevents obesity in a diet-induced murine obesity model. Biosci Biotechnol Biochem 2007; 71(3): 720-727 

  23. Choi UK, Kim MH, Lee NH, Jeong YS, Hwang YH.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Meju made with germinated soybean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07; 39(3): 304- 308 

  24. Lee J, Jeong JY, Cho YS, Park SK, Kim K, Kim MJ, Lee MK. Effect of young Phragmites communis leaves powder on lipid metabolism and erythrocyte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highfat diet fed m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39(5): 677- 683 

  25. Reitman S, Frankel S.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s. Am J Clin Pathol 1957; 28(1): 56-63 

  26. Friedewald WT, Levy RI, Fredrickson DS. Estimation of the concentration of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in plasma, without use of the preparative ultracentrifuge. Clin Chem 1972; 18(6): 499-502 

  27. Folch J, Lees M, Sloane Stanley GH.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es from animal tissues. J Biol Chem 1957; 226(1): 497-509 

  28. Ellman GL. Tissue sulfhydryl groups. Arch Biochem Biophys 1959; 82(1): 70-77 

  29. Ohkawa H, Ohishi N, Yagi K. Assay for lipid peroxides in animal tissues by thiobarbituric acid reaction. Anal Biochem 1979; 95(2): 351-358 

  30. Stirpe F, Della Corte E.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Conversion in vitro of the enzyme activity from dehydrogenase (type D) to oxidase (type O). J Biol Chem 1969; 244(14): 3855-3863 

  31. Martin JP Jr, Dailey M, Sugarman E. Negative and positive assays of superoxide dismutase based on hematoxylin autoxidation. Arch Biochem Biophys 1987; 255(2): 329-336 

  32. Habig WH, Pabst MJ, Jakoby WB. Glutathione S-transferases. The first enzymatic step in mercapturic acid formation. J Biol Chem 1974; 249(22): 7130-7139 

  33. Paglia DE, Valentine WN. Studies o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racterization of erythrocyte glutathione peroxidase. J Lab Clin Med 1967; 70(1): 158-169 

  34. Lowry OH, Rosebrough NJ, Farr AL, Randall RJ.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51; 193(1): 265-275 

  35. Wu YG, Xia LL, Lin H, Zhou D, Qian H, Lin ST. Prevention of early liver injury by breviscapine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Planta Med 2007; 73(5): 433-438 

  36. Ha SK, Chae C. Inducible nitric oxide distribution in the fatty liver of a mouse with high fat diet-induced obesity. Exp Anim 2010; 59(5): 595-604 

  37. Wang RS, Nakajima T, Honma T. Different change patterns of the isozymes of cytochrome P450 and glutathione S-transferases in chemically induced liver damage in rat. Ind Health 1999; 37(4): 440-448 

  38. Gordon T, Kannel WB, Castelli WP, Dawber TR. Lipoproteins, cardiovascular disease, and death. The Framingham study. Arch Intern Med 1981; 141(9): 1128-1131 

  39. Yao T, Sato M, Kobayashi Y, Wasa T. Amperometric assays of total and free cholesterols in serum by the combined use of immobilized cholesterol esterase and cholesterol oxidase reactors and peroxidase electrode in a flow injection system. Anal Biochem 1985; 149(2): 387-391 

  40. Hashim MS, Lincy S, Remya V, Teena M, Anila L. Effect of polyphenolic compounds from Coriandrum sativum on H2O2-induced oxidative stress in human lymphocytes. Food Chem 2005; 92(4): 653-660 

  41. Lee SI, Kim JW, Lee YK, Yang SH, Lee IA, Suh JW, Kim SD. Protective effect of Monascus pilosus mycelial extract on hepatic damage in high-fat diet induced-obese ra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2011; 54(3): 206-2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