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존의 연구들에서 이론적 근거를 바탕으로 3D 영상 시청에 대해 시각피로도와 연관이 있는 요소와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해 경험적 데이터를 기반하여 지속적으로 밝혀내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맞물려 실제로 시청자가 느끼는 피로감과 연계하여 측정된 자료는 미비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시청자가 느끼는 자각적 피로도에 따른 시기능적 데이터인 IPD, AC/A비, 그리고 사위도와 그 변화량에 미치는 영향 및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각적 피로도의 기술통계량 점수 $6.00{\pm}3.88$점에 기초하여 피로도 점수 합계 0 ~ 6점을 피로 미호소 그룹, 7 ~ 16점을 피로 호소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실험 결과 자각적 피로도별 영상 만족도, IPD, 원거리 사위도에서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피로 미호소 그룹에서 AC/A비가 높게 나타났고, 피로 호소 그룹에서는 근거리 사위도가 높게 나타났다. 3D 영상 시청 이후에서는 피로 미호소 그룹에서 더 높은 외사위도 증가 경향을 나타냈다. 본 실험에서 나타난 상관관계에서 AC/A비와 근거리 사위도가 3D 영상 시청 시 느끼는 자각적 피로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D 영상 시청 시 두 데이터에 기반하여 피로도를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콘텐츠 제작 시에도 피로도 경감 차원의 주요한 근거 데이터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theoretical evidence and based on the empirical data have been constantly revealing related factors affecting visual fatigue in viewing 3D images. however, the measurement data coupled with the factors that affect the viewers to feel fatigue is insufficient. this stud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피검사자의 자각적 피로도 점수에 기반하여 시기능 데이터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특정 시기능자에 대한 시청 권고안의 참고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은 3D 영상 시청 이후 피로 미호소 그룹과 피로 호소 그룹 간의 변화된 시기능 데이터의 차이를 확인하여 자각적 피로도와 시기능 데이터 간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미 이론과 경험적으로 정립이 된 3D 영상 시청의 영향인자를 통하여 실제 시청자가 느끼는 피로도를 알아보고 각 시청자가 갖는 고유 시기능 데이터를 분석하여 시청자가 느낄 수 있는 피로 정도를 예측하는 참고지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차원(3D) 영상이란? 다차원(3D) 영상은 일반 2D 영상과는 달리 서로 다른 두 이미지의 차이를 뇌에서 감각성융상을 통하여 보여지는 이미지이므로 눈에서 작용되는 기본 프로세스가 전혀 다르다. 인간의 눈은 동공간거리에 비례하여 양안 주시시차에 의해 우안과 좌안이 각각 다른 상이 맺히므로 이를 뇌에서 융상하는 과정을 통해 입체시를 느끼게 된다.
영상 시청 시에 나타나는 조절반응은 무엇에 근거하여 반응하게 되는가? 영상 시청 시에 나타나는 조절반응은 우리 눈에서 화면까지의 거리에 상응하여 반응하고 폭주는 화면으로부터 보여지는 융상된 이미지에 근거하여 반응하게 된다. 즉, 우리의 일상 시생활과 같은 메커니즘으로 반응하는 2D 영상과 비교했을 때 이 조절과 폭주의 불균형이 3D 영상 시청 시 피로감을 유발시키게 된다[1-2].
3D 영상 시청의 영향인자를 통해 실제 시청자가 느끼는 피로도를 측정한 연구 결과는? 연구 결과 영상 만족도는 자각적 피로도보다 영상에 대한 개인별 흥미 유발도에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시기능 데이터를 비롯한 다른 객적관인 데이터와는 별도로 콘텐츠적 측면을 통하여 전혀 다른 맥락의 피로도 결과가 나올 수 있음을 보여준다. IPD의 경우 3D 영상 시청 시 입체감 지각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실험결과에서는 자각적 피로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추후 연구에서 연령대에 따른 비교분석을 통한 피로도 검증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 H. Peter, "Potential hazards of viewing 3-D stereoscopic television, cinema and computer games: a review," Ophthalmic and Physiological Optics, vol. 31, no. 2, pp. 111-122, Mar. 2011. 

  2. D. M. Hoffman, A. R. Girshick, K. Akeley, and M. S. Banks, "Vergence-accommodation conflicts hinder visual performance and cause visual fatigue," J. Vision, vol. 8, no. 3, pp. 1-30, Mar. 2008. 

  3. Y. H. Shin, H. C. Li, and S. W. Kim, "3D display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ediction function of object size perception as a function of depth," J. Broadcast Eng., vol. 17, no. 2, pp. 400-410, Mar. 2012. 

  4. D. H. Chung and H. C. Yang, "Reliability and validity assessment in 3D video measurement," J. Broadcast Eng., vol. 17, no. 1, pp. 49-59, Jan. 2012. 

  5. K. T. Kham and J. H. Lee, "The effect of inter-pupillary distance on stereopsis," Korean J. Cognitive Sci., vol. 14, no. 3, pp. 37-49, Sep. 2003. 

  6. S. H. Kang and H. K. Hong, "In watching 3D stereoscopic display using the binocular disparity, the effect of pupillary distance of adults and children on the perception of 3D image," J. Korean Ophthalmic Optics Soc., vol. 16, no. 3, pp. 299-305, Sep. 2011. 

  7. J. E. Bahn, "Effects of interpupillary distance and AC/A ratio on binocular fusion and depth perception," M.S. thesis, Dept. Cognitive Sci., Yonsei Univ., Seoul, Korea, Aug. 2002. 

  8. D. S. Kim, W. J. Lee, J. D. Kim, D. S. Yu, E. T. Jeong, and J. S. Son, "Change of phoria and subjective symptoms after watching 2D and 3D image," J. Korean Ophthalmic Optics Soc., vol. 17, no. 2, pp. 185-193, June 2012. 

  9. M. H. Lee and D. S. Yu, "CA/C ratio of adults in their early twenties with normal binocular vision," J. Korean Ophthalmic Optics Soc., vol. 17, no. 2, pp. 153-158, June 2012. 

  10. M. H. Lee, J. S. Son, J. D. Kim, and D. S. Yu, "Evaluation of visual responses in viewing a 3D image," J. Korean Ophthalmic Optics Soc., vol. 17, no. 2, pp. 165-170, June 2012. 

  11. W. IJsselsteijn, H. de Ridder, J. Freeman, S. E. Avons, and D. Bouwhuis, "Effects of stereoscopic presentation, image motion, and screen size on subjective and objective corroborative measures of presence," Presence: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 10, no. 3, pp. 298-311, June 2001. 

  12. J. Freeman and S. E. Avons, "Focus group exploration of presence through advanced broadcasting service," Proc. SPIE, vol. 3959, pp. 530-539, June 2000. 

  13. D. S. Kim, "The effects of 3D images on the visual function," M.S. thesis, Dept. Optometry, Kyungwoon Univ., Gumi, Korea, Feb. 2011. 

  14. J. H. Kim, "The influence of visual function on near watching 3D images," M.S. thesis, Dept. Optometry, Kyungwoon Univ., Gumi, Korea, Feb. 2012. 

  15. M. J. Lee, "Influence of running time of 3D stereoscopic video on audience perception", Ph.D. dissertation, Dept. Mass Commun., Kwangwoon Univ., Seoul, Korea, Feb. 2011. 

  16. S. L. Ames, J. S. Wolffsohn, and N. A. Mcbrien, "The development of a symptom questionnaire for assessing virtual reality viewing using a head mounted display," Optometry Vision Sci., vol. 82, no. 3, pp. 168-176, Mar. 2005. 

  17. J. A. Shin, Clinical Refraction, 2nd Ed., Hanmi, pp. 147-155, 2007. 

  18. P. J. Sung, Optometry, 6th Ed., Daihak, pp. 272-276, 2008. 

  19. J. D. Kim, H. J. Kim, and J. H. Hwang, "Relation between gradient and calculated AC/A ratios according to binocular types," Korean J. Vision Sci., vol. 14, no. 4, pp. 373-380, Dec. 2012. 

  20. J. D. Kim, Clinical refraction and visual dysfunction prescription, 3rd Ed., Shinkwang, pp. 240-253, 2010. 

  21. S. S. Han, and S. C. Lee, Nursing & Health statistical analysis, 2nd Ed., Fornurse, pp. 168-183, 2011. 

  22. W. J. Lee, "The effects of wearing anaglyph glasses for 3D images on the visual function," M.S. thesis, Dept. Optometry, Kyungwoon Univ., Gumi, Korea, Feb. 2011. 

  23. Y. S. Huh, S. W. Yu, S. W. Yu, S. B. Kim, C. Y. Park, H. J. Kim, B. H. Kang, and E. H. Lee, "Assessment of stereopsis, phorias and self-reported symptoms in viewing anaglyph 3D image," Korean J. Vision Sci., vol. 14, no. 4, pp. 381-390, Dec. 2012. 

  24. J. H. Kim, K. H. Ryu, and I. S. Kim, "The study on relation between asthenopia of lateral phoria and fusional reserve," J. Korean Ophthalmic Optics Soc., vol. 11, no. 4, pp. 329-335, Nov.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