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오디 및 자초추출물의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Mulberry and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on Anti-aging against Photodam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744 - 1752  

정유석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정희경 ((재)대구테크노파크 바이오헬스융합센터) ,  홍주헌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적색의 색소 성분을 함유한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의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오디 추출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4.92 mg/g이었고 HPLC 분석을 통한 자초 추출물의 shikonin 함량은 9.58 mg/g으로 나타났다. 오디 및 자초추출물의 전자공여능은 각각 84.32%와 57.46%로 분석되어 오디가 우수하였으며, superoxide radical 소거능은 오디 추출물이 76.34%로 자초추출물 61.55%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오디 및 자초추출물의 ORAC 값은 각각 $545.37{\mu}moles$ TE/g과 $427.18{\mu}moles$ TE/g으로 분석되어 오디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HS68 세포에서의 UVB 조사군과 비교 시 MMP-1 생산 억제율은 오디 및 자초 추출물 $200{\mu}g/mL$ 첨가 시 각각 68.6%, 32.7%로 분석되었다. 무모쥐를 이용한 UVB 광노화 피부 동물 모델에서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의 피부조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시료 처리군이 무처리군에 비해 홍반, 주름 두께 및 깊이, 표피 비후, 콜라겐 각질층, 표피층이 감소되었으며 수분함량은 증가하였다. 총 주름 깊이의 경우, 오디 추출물 7% 처리군과 자초 추출물 5% 처리군에서 대조군과 비교 시 30% 가량 억제되어 in vitro에서 뿐만 아니라 in vivo에서도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이 UVB에 의한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protective effect of UVB inducing photodamage from mulberry extract (ME) and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 (LE). The contents of total anthocyanin and shikonin as a color compound of ME and LE were 4.92 mg/g and 9.58 mg/g, respectively.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su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광노화를 유도한 무노쥐의 dermis에서는 matrix metalloprotease들의 활성 변화에 따라 elastic fiber hyperplasia와 콜라겐 분해 등이 일어나며 육안상 확인할 수 있는 주름이 생성된다(37). 따라서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의 피부 광노화에 대한 보호 효과를 피부조직의 형태학적 변화인 피부 주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실험동물의 배부 주형을 skin visometer를 통해 주름의 형태를 살펴본 결과, NO군에 비해 CO군에서는 깊이가 깊고 선이 굵은 주름이 형성되었다(Fig.
  • Lee 등(32)은 HS68 세포를 대상으로 UVB를 조사하였을 때 MMP-1 분비가 증가되었다는 보고하였다. 따라서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이 UVB에 의해 광노화를 일으킨 피부세포에서 일어나는 MMP-1 분비의 억제시킬 수 있는지를 HS68 세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HS68 세포에 UVB를 조사 후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을 10, 100, 200 μg/mL 처리하였을 때 MMP-1의 생산량은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오디 추출물의 억제능이 우수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 적색의 색소 성분을 함유한 오디 및 자초 추출물의 피부 광노화 보호효과를 조사하였다. 오디 추출물의 총 안토시아닌 함량을 분석한 결과 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차 추출물은 어떤 효능이 있는가? 자초 색소는 산성염료에 친화력을 가져 단백질 및 폴리아미드 섬유에 적합한 천연염료로 잘 알려져 있다(14). 또한 자초 추출물은 항염증, 아토피 피부염, 항균성에 유효성이 있어 기능성 피부보호 소재로도 보고되고 있다(15,16).
자초의 이명은? 또한 오디는 항산화, 항노화 및 함염증 작용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연구되어져 식품뿐만 아니라 화장품과 관련한 기능성 소재로도 활용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12). 지차라고도 불리는 자초는 다년생 초본으로 우리나라에 자생하고 있으며, naphthoquinone 유도체인 색소 배당체를 함유하고 있어 보라색을 나타낸다(13). 자초 색소는 산성염료에 친화력을 가져 단백질 및 폴리아미드 섬유에 적합한 천연염료로 잘 알려져 있다(14).
오디란?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자 하는 오디(mulberry)와 자초(Lithospermum erythrorhizon)는 안토시아닌계 및 naphtoquinone계 색소를 함유하고 있는 국내 자생 식물이다. 오디는 뽕나무과 뽕나무속(Morus alba L.) 과실로 웰빙 문화의 확산으로 상품성 및 시장성이 높아 최근 생산량과 재배면적이 급증하고 있다(10). 한방에서 오디는 상심자로 알려져있으며 백발을 검게 하고 오장을 이롭게 하는 자양강장 효과뿐만 아니라 빈혈, 고혈압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Lee C, Jang JH, Kim BA, Park CI. 2012. Anti-aging effects of marine natural extracts against UVB-induced damages in human skin cell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8: 255-261. 

  2. Park HR, Kim GJ, Kim S, Kim KY. 2011. A screening of effective natural cosmetical materials for scalp care. J Investigative Cosmetology 7: 115-122. 

  3. Rittie L, Fisher GJ. 2002. UV-light-induced signal cascades and skin aging. Ageing Res Rev 1: 705-720. 

  4. Varani J, Perone P, Fligiel SEG, Fisher GJ, Voorhees JJ. 2002. Inhibition of type I procollagen production in photodamage: correlation between presence of high molecular weight collagen fragments and reduced procollagen synthesis. J Invest Dermatol 119: 122-129. 

  5. Kang SJ. 1999. Skin photoaging in reconstituted skin culture model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5: 59-74. 

  6. Cho EA, Cho EH, Choi SJ, Park KH, Kim SY, Jeong YJ, Ku CS, Ha BJ, Jang DI, Chae HJ. 2011. Screening of anti- wrinkle resource from herbal medicinal extracts and stability test of its cosmetic produc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126-135. 

  7. Park SH, Hong YM, Choi YJ, Choi JH, Kim BK. 2008. Antiwrinkle effects of mugwort (Artemisia vulgaris) extracts on UVB-irradiated hairless mouse ski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136-1141. 

  8. Jo YN, Jeong HR, Jeong JH, Heo HJ. 2012. The skin protecting effects of ethanolic extracts of eggplant peel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94-99. 

  9. Cha SH, Ahn MW, Lee JS, Kim YS, Kim DU, Byun TG, Park KP. 2012. The effect of fcoidan molecula weight on cosmetic function. Korean Chem Eng Res 50: 604-609. 

  10. Lee JA. 2011. A study on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processed product developments of mulberry (Morus alba L) fruit products. Korean J Culinary Res 17: 231-243. 

  11. Lee EJ, Bae JH. 2011. Study on the alleviation of an alcohol induced hangover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by mulberry fruit. Korean J Food & Nutr 24: 204-209. 

  12. Kim SY, Park KJ, Lee WC. 1998.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orus spp. fruit extract. Korean J Med Crop Sci 6: 204-209. 

  13. Yoon KJ, Park SJ, Lee HW, Yook CS. 1988. Studies on the constitutents and their antibacterial effect of the roof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Sieb. et Zucc. Bull K H Pharma Sci 16: 155-161. 

  14. Choi H, Shin YS. 2000.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dyeing properties of gromwell colorants (Part 1) -Components and characteristics of gromwell color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 1081-1087. 

  15. Ju JH, Cho HH, Lee YS. 2010. Progress on phytochemical and atopic dermatitis-related study of the root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Kor J Pharmacogn 41: 73-88. 

  16. Park YH, Nam YJ. 2003.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deodorization of fabrics dyed with Lithospermi Radix extrac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7:60-66. 

  17. Lee J, Durst RW, Wrolstad RE. 2005. Determination of total monomeric anthocyanin pigment content of fruit juices, beverages, natural colorants, and wines by the pH differential method: collaborative study. J AOAC Int 88: 1269-1278. 

  18. Son JY, Kim TO. 2011.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traditional Korean teas. Korean J Food Cookery Sci 27: 567-575. 

  19. Talcott ST, Lee JH. 2002. Ellagic acid and flavonoid antioxidant content of muscadine wine and juice. J Agric Food Chem 50: 3186-3192. 

  20. Nishikimi M, Rao NA, Yagi K. 1972. The occurrence of superoxide anion in the reaction of reduced phenazine methosulfate and molecular oxygen. Biochem Biophys Res Commun 46: 849-854. 

  21. Quan T, He T, Voorhees JJ, Fisher GJ. 2001. Ultraviolet irradiation blocks cellular responses to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by down-regulating its type-II receptor and inducing Smad7. J Biol Chem 276: 26349-26356. 

  22. Chiang HM, Lin TJ, Chiu CY, Chang CW, Hsu KC, Fan PC, Wen KC. 2011. Coffea arabica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prevent photoaging by suppressing MMPs expression and MAP kinase pathway. Food Chem Toxicol 49:309-318. 

  23. Tsoyi K, Park HB, Kim YM, Chung JI, Shin SC, Lee WS, Seo HG, Lee JH, Chang KC, Kim HJ. 2008. Anthocyanins from black soybean seed coats inhibit UVB-induced inflammatory cylooxygenase-2 gene expression and PGE2 production through regulation of the nuclear factor- ${\kappa}B$ and phosphatidylinositol 3-kinase/Akt pathway. J Agric Food Chem 56: 8969-8974. 

  24. Chang MJ, Huang HC, Chang HC, Chang TM. 2008. Cosmetic formulations containing Lithospermum erythrorhizon root extract show moisturizing effects on human skin. Arch Dermatol Res 300: 317-323. 

  25. Aramwit P, Bang N, Srichana T. 2010. The properties and stability of anthocyanins in mulberry fruits. Food Res Int 43: 1093-1097. 

  26. Kim GS, Park CG, Lee KH, Choi JH, Lee SE, Noh HJ, Lee JH, Kim SY. 2011. Investigation of shikonin pigm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root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growth stages and areas of cultivation.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435-440. 

  27. Kim EO, Lee YJ, Leem HH, Seo IH, YU MH, Kang DH, Choi SW. 2010.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mulberrys from seven different Morus alba L. cultiva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67-1475. 

  28. Seo YC, Choi WY, Kim JS, Cho JS, Kim YO, Kim JC, Lee HY. 2011.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from Lithospermum erythrorhizon extracts by ultra high pressure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103-110. 

  29. Prior RL, Hoang H, Gu L, Wu X, Bacchiocca M, Howard L, Hampsch-Woodill M, Huang D, Ou B, Jacob R. 2003. Assays for hydrophilic and lipophilic antioxidant capacity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FL)) of plasma and other biological and food samples. J Agric Food Chem 51: 3273-3279. 

  30. Rangkadilok N, Sitthimonchai S, Worasuttayangkurn L, Mahidol C, Ruchirawat M, Satayavivad J. 2007. Evaluation of free radical scavenging and antityrosinase activities of standardized longan fruit extract. Food Chem Toxicol 45:328-336. 

  31. Afaq F, Adhami VM, Mukhtar H. 2005. Photochemoprevention of ultraviolet B signaling and photocarcinogenesis. Mutat Res 571: 153-173. 

  32. Lee SY, An JH, Chun H, Cho HY. 2003.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MMP-1 inhibitor peptide from Crataegus pinnatifida Bunge in fibroblast cell line HS68 cells. J Korean Soc Agric Chem Biotechnol 46: 60-65. 

  33. Petrova A, Davids LM, Rautenbach F, Marnewick JL. 2011. Photoprotection by honeybush extracts, hesperidin and mangiferin against UVB-induced skin damage in SKH-1 mice. J Photochem Photobiol B 103: 126-139. 

  34. Kim SM, Kim BH. 2011. Anti-wrinkle effect of AdMSCs-CM in photoaging skin model of hairless mice. J Kor Soc Cosm 17: 689-696. 

  35. Terui T, Tagami H. 2000. Mediators of inflammation involved in UVB erythema. J Dermatol Sci 23: S1-5. 

  36. Hung CF, Fang CL, Al-Suwayeh SA, Yang SY, Fang JY. 2012. Evaluation of drug and sunscreen permeation via skin irradiated with UVA and UVB: Comparisons of normal skin and chronologically aged skin. J Dermatol Sci 68: 135-148. 

  37. Benavides F, Oberyszyn TM, VanBuskirk AM, Reeve VE, Kusewitt DF. 2009. The hairless mouse in skin research. J Dermatol Sci 53: 10-18. 

  38. Okano Y, Obayashi K, Yahagi S, Kurihara K, Kaburagi S, Kurata Y, Masaki H. 2006. Improvement of wrinkles by an all-trans-retinoic acid derivative, D-d-tocopheryl retinoate. J Dermatol Sci Suppl 2: S65-7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