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참죽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Maejakgwa Added Cedrela sinensis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792 - 1798  

진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전통식생활문화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한 참죽을 분말을 첨가(0, 5, 10, 15, 20%)한 매작과를 제조하여 매작과의 항산화 활성을 입증하고 품질 특성을 측정하였다. 참죽 분말의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16.31{\pm}0.93$ mg GAE/g이며, 이를 매작과에 첨가한 경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제조된 매작과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참죽 분말의 첨가량에 따라 항산화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의 기능성과 함께 제품의 적합성 판단을 위해 참죽 분말 첨가 매작과의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반죽의 밀도는 참죽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고 pH는 감소하였다. 매작과의 수분함량과 부피는 매작과의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매작과의 색도는 참죽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b값이 낮아지고 a값이 높아졌으며,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매작과의 기호도 검사(전반적인 기호도, 향, 맛, 바삭함, 색)에서는 10% 참죽 매작과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참죽을 분말로 가공하여 저장성을 높이고, 매작과에 참죽분말을 첨가하는 것은 매작과의 기호도를 증가시켜 주고 동시에 총 페놀 함량과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높여주어 매작과의 가치를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참죽분말을 첨가하여 매작과를 제조할 경우, 참죽 분말의 첨가량은 10%가 매작과의 관능적인 품질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가장 최적 조건으로 생각되며, 참죽 재배지에서 새로운 향토 특산품으로서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edrela sinensis is a Korean traditional wild herb that has a special taste and aroma.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edrela sinensis powder on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Korean traditional cookie). Maejakgwa was prepared with diff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수확시기가 짧은 참죽나무 잎의 저장성을 높이고, 이를 이용한 향토 특산물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참죽나무 잎을 분말화하여 참죽분말 첨가량에 따른 매작과의 품질특성과 기호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참죽나무는 무엇인가? 참죽나무(Cedrela sinensis)는 멀구슬나무과에 속하는 낙엽교목으로 참죽나무의 어린 순을 “참죽”이라고 하는데 지역에 따라 가죽나무라고도 불리운다(1). 참죽나무는 특유의 향으로 인해 병충해가 없어 농약으로부터 자유로운 무공해 식품이다.
참죽나무 잎에 함유하고 있는 물질은? 참죽나무는 예로부터 주로 새순을 식품으로 이용해 왔으며, 특히 사찰에서 차나 나물 등으로 즐겨먹던 전통식품 중 하나이다(2). 참죽나무 잎에는 단백질, 당질, 지질, 철분, 칼슘 및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고, 민간에서는 장염, 이질 등의 치료에 이용되며 수렴제, 피부질환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경상도와 전라도 일부 지역에서 채집하여 먹던 참죽 잎은 현재 충남 금산, 경남 하동, 충북 영동 지방을 중심으로 농가에서 활발하게 재배되고 있다(2).
참죽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에 대한 결과는 어떠한가? 2에 제시하였다. 참죽 분말의 유리 라디칼소거능은 50 μg/mL 수준에서 56.28±0.90%로 나타났다. 참죽 매작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500 μg/mL 수준에서 참죽 분말 5%, 10%, 15%, 20%의 첨가량에 따라 37.71±0.69%, 43.39±1.96%, 61.32±2.93%, 83.49±2.69%로 대조군의 23.13±0.48%에 비해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시료의 첨가량에 비례하여 활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P<0.001). 참죽나무 잎을 계절별로 채취하여 용매별 항산화성분을 분석한 연구 결과(2) 유기용매 중 극히 소량의 폴리페놀이 측정된 hexane layer에서 가장 높은 DPPH 소거활성이 측정되었으며, hexane으로 추출한 시료에서는 면역증강 및 염증억제 효과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Cho(16)의 연구에서 참죽나무 잎의 methanol 추출물은 대두유의 산패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고 보고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MH, Park SY, Jeong YJ, Yoon KY. 2012. Sensory properties of Kalopanax pictus and Cedrela sinensis shoots under different blanching conditions and with different thaw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 19: 201-208. 

  2. Shin HJ, Jeon YJ, Shin HJ.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Cedrela sinensis leave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164-168. 

  3. Park JC, Yu YB, Lee JH, Kim NJ. 1994.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in Korea - Anti-inflammatory and anlagesic effects of Cedrela sinensis, Oenanthe javanica and 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 . J Korean Soc Food Nutr 23:116-119. 

  4. Kim SH, Lee MH, Jeong Y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edrela sinensis shoot by soy sauce seasoning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9: 873-881. 

  5. Park JC, Chun SS, Kim SH. 1995. Changes on the quercitrin content in the preparation for the leaves of Cedrela sinensis. Korean J Soc Food Sci 11: 303-308. 

  6. Park JC, Chun SS, Young HS, Kim SH. 1993. Studies on the chemical compon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edible plants in Korea (II) - Isol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Cedrela sinensis A. Juss. by HPLC - . J Korean Soc Food Nutr 22: 581-585. 

  7. Park JC, Kim SH. 1995. Seasonal vari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the leaves of Cedrela sinensis. J Korean Soc Food Nutr 24: 578-581. 

  8. Shin HJ, Jeon YJ, Shin HJ. 2008.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of Cedrela sinensis leaves.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164-168. 

  9. Bae SM, Kim MB, Jeong EH, Shin HY, No CW. 2012. Characteristics of Gochujang with Cedrela sinensis Juss. Abstract No P3-9 presented at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Medicinal Crop Science. Chungcheongbuk-do, Korea. 

  10. Jin SY. 2007. Antioxidant activity in pomegranate and development of the Maejakgwa added pomegranate extract. PhD Dissertation.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 1-160. 

  11.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o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12. Lee YU, Huang GW, Liang ZC, Mau JL. 2007. Antioxidant properties of three extracts from Pleurotus citrinopileatus. LWT-Food Sci Technol 40: 823-833. 

  13. Joo SY,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chestnut inner shell. Korean J Food & Nutr 25: 224-232. 

  14. Pyler EJ. 1979. Physical and chemical test methods. Baking science and technology, Col.II. Sosland Pub. Co., Manhattan, KA, USA. Vol 2, p 891-895. 

  15. Ragaee S, Abdel-Aal ESM, Noaman M. 2006. Antioxidant activity and nutrient composition of selected cereals for food use. Food Chem 98: 32-38. 

  16. Cho HS. 1999. Antioxidative effect of leaves of Cedrela sinensis extracts on linolieic acid and soybean oil.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9: 100-106. 

  17. Lee JY, Ju JC, Park HJ, Heu ES, Choi SY, Shin J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bamboo leaves powder. Korean J Food & Nutr 19: 1-7. 

  18. Choi SN, Youn SB, Yoo S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ajakgwa with added turmer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123-131. 

  19. Kim KH, Kim SJ, Yoon MH, Byun MW, Jang SA, Yook HS. 2011. Change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mugwort powder during the storage peri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35-342. 

  20.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4-1421. 

  21. Lee HJ, Pak HO, Jang JS, Kim SS, Han CK, Oh JB, Do WY.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merican cookies prepared with job's tears (Coix lachryma-jobi L.) chungkukjang powder and wheat bran powder. Korean J Food & Nutr 24: 85-93. 

  22. Moon YJ, Jang SA.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powder of extracts from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 Nutr 24: 173-179. 

  23.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er. Korean J Food Culture 21: 541-549. 

  24. Kang NE, Lee IS.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ugar cookie with varied levels of resistant starch. Korean J Food Culture 22: 468-474. 

  25. McWilliams M. 2001. Foods experimental perspectives. 5th ed. Prentice-Hall Inc., Upper Saddle River, NJ, USA. p 358-359. 

  26. Cho HS, Kim K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550-557. 

  27. Park GS, Park EJ. 2011. Quality charicteristic of Korean traditional fried cookie (Maejakgwa) prepared with chitosan during storage. J Chitin Chitosan 16: 254-261. 

  28. Kim KS, Choi SY. 2008 The effect of herb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Korean J Food & Nutr 21: 320-327. 

  29. Park BH, Cho HS, Kim KH, Kim SS, Kim HA. 2008.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lvent extracts of sea tangle powder (STP) and Maejakgwa made with STP.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52-459. 

  30. Kim KH, Cho HS. 2009.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prepared with shrimp powder as a snack served to kindergarten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401-408. 

  31. Kim GS,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398-404. 

  32. Park ID, Cho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with added loquat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6: 709-716. 

  33. Chang SK, Kim JH, Oh HS. 2008.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cold buckwheat noodles using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s of Ligularia fischeri and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Culture 23: 479-488. 

  34. Oh HS. 2004. Biological activities of bamboo leaf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cold noodle using bamboo leaf powder as a functional ingredi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0: 498-504. 

  35. Kim YA. 2002. Effects of mulberry leaves powder on the cooking characteristics of noodle. Korean J Food Cookery Sci 18: 632-636. 

  36. Lee HH, Koh BK. 2002.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 gwa with persimmo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16-2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