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잎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added Nelumbo nucifera leaf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21 no.3, 2014년, pp.328 - 333  

박복희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미영 (목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희숙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초록

본 연구는 항산화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이 있는 연잎 분말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한과의 일종인 매작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건강식품으로 연잎 매작과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매작과 반죽의 pH는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밀도는 연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는 대조군이 $1.24{\pm}0.02$였으며, 연잎 분말을 첨가한 매작과는 $1.21{\pm}0.02{\sim}1.28{\pm}0.02$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퍼짐성과 수분함량은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조군보다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매작과의 색도 측정 결과,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L값), 적색도(a값) 및 황색도(b값)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매작과의 경도는 대조군에 비해 연잎 분말 첨가군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맛이 가장 좋으며 바삭함이 좋은 3% 첨가군이 전반적이 기호도에서 가장 좋게 평가되었다. 따라서 연잎 분말을 첨가하여 매작과를 제조할 때 밀가루에 연잎 분말을 3% 첨가하는 것이 전반적인 기호도 면에서 가장 적절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상의 결과에서 매작과에 대한 연잎 분말의 첨가는 전반적인 기호도, 저장성 향상 및 맛 증진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되며,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 건강식품으로 연잎 매작과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의 제한점은 연잎 매작과의 항산화성 효과가 제한되었고 주로 품질 특성 부분에 기초하여 조사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향후 연잎 분말을 첨가한 식품의 생리활성 및 항산화 효과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prepared with the addition of lotus leaf powder. The moisture, crude ash,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the used lotus leaf powder were 2.97%, 8.09%, 22.83%, 0.93%, and 65.18%,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항산화 효과를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이 있는연잎 분말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한과의 일종인 매작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현대인의 기호에 맞는건강식품으로 연잎 매작과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매작과 반죽의 pH는 연잎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밀도는 연잎 분말을 첨가하지 않는대조군이 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연잎 분말을 이용한 가공식품의 개발에 대한 일환으로, 연잎이 갖고 있는 항산화성과 다양한생리활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연잎을 분말화하여 그첨가 수준을 달리한 매작과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평가함으로써 기능성 연잎 매작과의 개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이란 무엇인가? 연(Nelumbo nucifera)은 수생식물 중 부엽식물에 속하는쌍떡잎식물로써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열대, 온대의 동부아시아를 비롯한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는 고생대의 식물이다. 일반적으로 불교에서 신성시하며, 용도에 있어서는 꽃은 관상용과 차제(搽劑)로 이용하여 왔으며, 잎과뿌리는 식용하여 왔다(1).
연은 어떻게 사용되었는가? 연(Nelumbo nucifera)은 수생식물 중 부엽식물에 속하는쌍떡잎식물로써 인도와 중국을 중심으로 열대, 온대의 동부아시아를 비롯한 한국, 일본 등에 널리 분포하는 고생대의 식물이다. 일반적으로 불교에서 신성시하며, 용도에 있어서는 꽃은 관상용과 차제(搽劑)로 이용하여 왔으며, 잎과뿌리는 식용하여 왔다(1). 연은 주로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된다고 한다(2).
연잎의 효능은? 연은 주로 연못에서 자라고 논밭에서 재배된다고 한다(2). 연잎은 맛이 쓰고, 성질은 유하며예로부터 출혈성 위궤양이나 위염, 치질, 출혈, 설사, 두통과 어지럼증, 토혈, 산후 어혈치료, 야뇨증, 해독작용에 쓰여 민간치료제로 사용하여 왔다(3). 성분으로는 진통작용,진정작용이 있는 roemerine, nuciferin, armepavine, N-nor-nuciferin, pronuciferin 등의 alkaloid 성분과 주석산, 구연산,사과산, 호박산, 탄닌 등이 함유되어 있다(3-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ark BH, Cho HS, Jeon ER, Kim SD (2009a) Quality characteristics of Jook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123-131 

  2. Dalhgren R, Rasmussen FN (1983) Monocotyledon evolution characters and phylognetic estimation. J Evol Biol, 16, 255-265 

  3. Park BH, Cho HS, Jeon ER, Kim SD, Koh KM (2009b)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4, 315-330 

  4. Lee KS, Kim MG, Lee KY (2006a) Antioxidative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2-186 

  5. Lee KS, Oh CS, Lee KY (2006b) Antimicrobial effect of the fraction extract from lotus(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219-223 

  6. Ko BS, Jun DW, Jang JS, Kim JH, Park SM (2006) Effect of Sasa Borealis and white lotus root and leaves on insulin action and secretion in vitro. J Food Sci Technol, 38, 114-120 

  7. Kim SB, Rho SB, Rhyu DY, Kim DW (2005) Effect of Nelumbo nucifera leaves on hyperlipidemic and atherosclerotic bio FIB hamster. Korean J Pharmacogn, 36, 229-234 

  8. Shin MK, Han SH (2006) Effect of lotus(Nelumbo nucifera) leaf powder on lipid concentrations in rats fed high fat diet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202-208 

  9. Yoon S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tteok added wi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433-442 

  10. Shin Y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paste containing lotus(Nelumbo nucifera) leaf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947-953 

  11. Park BH, Jeon ER, Kim SD, Cho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added with lot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 225-231 

  12. Kang IH (1993) Taste of Korea. Daehane-texbook, Seoul, Korea. p 318-322. 

  13. Park ID, Cho H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Enteromorpha intenstinalis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5, 709-716 

  14. Lee HH, Koh BK (2002)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16-224 

  15. Park BH, Cho HS, Kim DH (2005)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Lycii fructus powder(LFP) and Maejakgwa made with LF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14-1319 

  16. Park BH, Cho HS, Kim KH, Kim SS, Kim HA (2008) The oxidative stability of solvent extracts of sea tangle powder(STP) and Maejakgwa made with STP.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452-459 

  17. Chung HJ, Kim SJ, Baek JE, Sung DK, Song HY, Lee JY, Kim GH (2008) Stud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life of Majackwa containing nuts and seeds prepared by baking method.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811-817 

  18. Kim KH, Cho HS (2009) Assessment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prepared with shrimp powder as a snack served to kindergartener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401-408 

  19. Kim KH, Kim SJ, Yoon MH, Byun MW, Jang SA, Yook HS (2011) Change of anti-oxidative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with mugwort powder during the storage period. Korean J Food Nutr, 40, 335-342 

  20. Choi SN, Youn SB, Yoo S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Majackwa with added turmeric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8, 123-131 

  21. AOAC (199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13th ed. Washington DC, USA. p 5-20 

  22. Park ID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added Ligularia fischeri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605-612 

  23. Jin SY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Maejakgwa added cedrela sinensis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792-1798 

  24. Jin SY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ejakgwa added mulberry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 597-604 

  25. Koh WB, Noh WS (1997) Effect of sugar particle size and level on cookies spread.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277-283 

  26.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4-1421 

  27. Kim KS, Choi SY (2008) The effect of herb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Korean J Food Nutr, 21, 320-327 

  28. Park BH, Cho HS, Kim DH (2005)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Lycii fructus powder(LFP) and Maejakgwa made with LF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14-1319 

  29. Gwon SY, Moon BK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akgwa prepared with herbs.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899-907 

  30. Cho HS, Kim K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eriobotrya japonica leaf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2, 550-557 

  31. Lee HH, Koh BK (2002)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ejakgwa with persimmon powder.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18, 216-224 

  32. Kim KS, Choi SY (2008) The effect of herb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Maejakgwas. Korean J Food Nutr, 21, 320-3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