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GABA 함량이 증가된 현미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과 아미노산 함량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mino Acid Content of Cookies with GABA-Enhanced Brown R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813 - 1820  

정해원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해정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현미가루를 밀가루 중량기준 0%, 20%, 40%, 60%의 비율로 첨가하여 쿠키를 제조하고 반죽의 밀도, pH, 쿠키의 일반성분,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 색도, 경도, GABA 및 아미노산 함량, 기호도 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수분함량은 첨가군이 대조군보다 높게 나타났고 조단백질 함량과 조지방 함량은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조회분 함량은 6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쿠키반죽의 밀도는 60% 첨가군이 가장 낮았고 pH는 가장 높았다. 퍼짐성은 헌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감소하였고 손실률과 팽창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40% 첨가군과 60% 첨가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고 a값은 현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b값은 감소하였다. 쿠키의 GABA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현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여 60%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총 아미노산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쌀의 제1제한 아미노산인 lysine의 함량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고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쿠키의 기호도 검사 결과 표면색은 대조군보다 현미가루 첨가군이 낮은 점수로 평가된 반면 냄새, 맛,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모든 시료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현미가루를 60%까지 첨가하여 제품화 한다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관능성이 크게 저하되지 않으면서 GABA 함량이 증진되어 기능성이 향상된 쿠키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different levels (0%, 20%, 40%, 60%) of brown rice powder with enhanced levels of GABA (${\gamma}$-amino butyric acid). The pH of cookie dough was higher in cookies containing brown rice powder. A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흥국(11), 상수리(12), 야콘잎 분말(13), 흑미 미강(14), 미역 분말(15), 울금 분말 (16), 아마씨 가루(9), 연근 분말(17), 블루베리(18), 새송이버섯 분말(19), 버찌 분말(20), 솔잎(21), 흑마늘(22)을 첨가한 쿠키의 개발 연구가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기능성 쌀을 첨가한 쿠키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GABA 함량이 증진된 현미를 이용하여 쿠키를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살펴보고 GABA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 이를 9,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얻은 상등액을 syringe filter(0.45 μm)로 여과하여 아미노산 분석용 시료로 하였고 분석은 HPLC(Agilent 1200LC, Agilent Technologies, Santa Clara, CA,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 쿠키의 GABA 및 아미노산 함량 측정을 위해 쿠키 5 g을 마쇄한 후 30 mL의 증류수를 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이를 9,000 rpm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한 후 얻은 상등액을 syringe filter(0.
  • 쿠키의 경도는 rheometer(Compac-100, Sun Scientific Co., Tokyo, Japan)를 사용하여 측정하여 각 처리군당 6회씩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측정 시 사용된 조건은 test type: hardness, load cell: 10 kg, distance:50%, table speed: 120 mm/min, adaptor type: round (diameter 10 m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 쿠키의 색도는 색차계(JX 777, Juki, Tokyo, Japan)를 사용하여 명도(L, lightness), 적색도(a, redness), 황색도 (b, yellowness) 값을 측정하였고 각 처리군당 6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이때 사용된 표준 백색판의 L값은 97.
  • 쿠키의 직경은 6개를 가로로 정렬하여 그 길이를 측정한 후 각각의 쿠키를 90°로 회전시킨 후 동일한 방법으로 총 길이를 측정하고 6으로 나누어 쿠키 한 개에 대한 평균 너비를 구하였다.
  • 쿠키의 직경은 6개를 가로로 정렬하여 그 길이를 측정한 후 각각의 쿠키를 90°로 회전시킨 후 동일한 방법으로 총 길이를 측정하고 6으로 나누어 쿠키 한 개에 대한 평균 너비를 구하였다. 쿠키의 평균 높이는 쿠키 6개를 수직으로 쌓아 올려 그 높이를 측정하고 다시 쿠키의 쌓은 순서를 바꾼 후 높이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손실률(loss rate)과 팽창률 (leavening rate)은 대조군 및 첨가군의 굽기 전후의 중량을 각각 측정하여 그 차이에 대한 비율로 다음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 쿠키는 한 입에 먹기 좋은 크기로 만들어 임의의 3자리 숫자로 각각 표기하여 흰 접시에 담아 제공하였다. 평가 항목은 표면색(surface color), 냄새(smell), 맛(taste), 조직감(texture) 및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preference)로 하였으며 각 항목에 대하여 7점 척도법(1점: 매우 싫다, 2점: 보통으로 싫다, 3점: 약간 싫다, 4점: 좋지도 싫지도 않다, 5점: 약간 좋다, 6점: 보통으로 좋다, 7점: 매우 좋다) 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대상 데이터

  • 기호도 검사는 훈련을 받지 않은 식품영양학과 학생 38명을 대상으로 쿠키의 평가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고 실험을 실시하였다. 쿠키는 한 입에 먹기 좋은 크기로 만들어 임의의 3자리 숫자로 각각 표기하여 흰 접시에 담아 제공하였다.
  • 본 실험에서 사용한 박력분(CJ 제일제당, Yangsan, Korea), GABA 함량이 높은 현미(독도장터, Gumi, Korea), 버터(서울우유, Seoul, Korea), 백설탕(CJ 제일제당, Incheon, Korea), 달걀, 베이킹파우더(Ruf, Lebensmittelwerk, Quakenbruck, Germany)는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였다. 현미는 물로 수차례 세척한 후 5시간 동안 불려 1시간 동안 물기를 제거한 다음 분쇄하여 40 mesh 체를 통과시켜 사용하였다.

데이터처리

  • 3)Means with different letters within a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t P<0.05 as determined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 모든 실험은 3회 이상 반복 측정하였고 자료의 통계처리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 version 12.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이용하여 분산분석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군 간의 유의성은 Duncan의 다중범위검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P<0.05 수준에서 비교하였다.

이론/모형

  • 쿠키의 일반성분 분석은 AOAC방법(23)에 따라 수분은 105℃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micro 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회분은 550℃에서 직접회화법으로 분석하였다.
  • 쿠키의 퍼짐성 지수(spread factor)는 AACC법(24)에 준하여 쿠키 직경에 대한 높이의 비로 나타내었다. 쿠키의 직경은 6개를 가로로 정렬하여 그 길이를 측정한 후 각각의 쿠키를 90°로 회전시킨 후 동일한 방법으로 총 길이를 측정하고 6으로 나누어 쿠키 한 개에 대한 평균 너비를 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쿠키에 현미가루를 첨가할수록 퍼짐성, 손실률, 팽창률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쿠키반죽의 밀도는 60% 첨가군이 가장 낮았고 pH는 가장 높았다. 퍼짐성은 헌미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대체적으로 감소하였고 손실률과 팽창률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도는 40% 첨가군과 60% 첨가군에서 낮게 나타났다.
현미는 백미에 비하여 어떤 성분을 더 많이 함유하고 있는가? 현미는 벼의 왕겨만을 제거한 것으로 백미보다 소화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식이섬유, 단백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 E 등이 백미보다 더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4), 기능성이 첨가된 쌀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GABA(γ-amino butyric acid) 함량이 증가된 현미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GABA는 자연계에 분포하는 비단백태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인체 내에서는 뇌와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5).
GABA는 어떤 물질인가? 현미는 벼의 왕겨만을 제거한 것으로 백미보다 소화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나 식이섬유, 단백질, 지질, 무기질, 비타민 E 등이 백미보다 더 많이 함유되어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한 장점이 있으며(4), 기능성이 첨가된 쌀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GABA(γ-amino butyric acid) 함량이 증가된 현미가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GABA는 자연계에 분포하는 비단백태 아미노산의 일종으로 인체 내에서는 뇌와 척수에 존재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5). 여러 연구결과에 의하면 GABA는 혈압 강하, 시력 증진, 비만 방지 효과 외에 뇌의 혈류 개선을 통한 뇌세포 대사 향상, 불면 및 불안 등에 대한 신경 안정 효과 등의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5-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Park GS, Kim KE, Park SY.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purple sweet potato muffins containing rice flour. Korean J Food Preserv 19: 833-840. 

  2. Kwon YM, Lee JS. 2013.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fish cakes containing rice flour. Korean J Human Ecology 22: 189-200. 

  3. Ju JE, Nam YH, Lee KA.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wheat-rice composite flou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923-929. 

  4. Woo SM, Kim TY, Yeo SH, Kim SB, Kim JS, Kim MH, Jeong YJ.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alcohol fermentation broth and by-product of brown rice varieties. Korean J Food Preserv 14: 557-563. 

  5. Lim SD, Kim KS. 2009. Effects and utilization of GABA. Korean J Dairy Sci Technol 27: 45-51. 

  6. Narayan VS, Nair PM. 1990. Metabolism, enzymology and possible roles of 4-aminobutyrate in higher plants. Phytochem 29: 367-375. 

  7. Stanton HC. 1963. Mode of action of gammer amino butyric acid on the cardiovascular system. Arch Int Pharmacodyn Ther 143: 195-204. 

  8. Kwak EJ. 2010. Development of brown colored rice tea with high GABA conten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201-1205. 

  9. Kim SY, Chung H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flaxseed powder. Food Eng Prog 15: 235-242. 

  10. Cho HS, Park BH, Kim KH, Kim HA. 2006. Antioxidative effect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made with Sea tangle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541-549. 

  11. Jeong EJ, Kim KP, Bang B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added with Hongkuk powder. Korean J Food & Nutr 26: 177-183. 

  12. Kim OS, Ryu HS,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acorn (Quercus autissima arruther) cookies. Korean J Food Culture 27: 225-232. 

  13. Shim EA, Kwon YM, Lee JS.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yacon (Smallanthus sonchifolius) leaf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7: 82-88. 

  14. Joo SY, Choi HY. 2012.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bran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1: 182-191. 

  15. Jung KJ, Lee SJ.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sea mustard (Undaria pinnatifida Suringer) powd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453-1459. 

  16. Ju SM, Hong KW.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ies prepared with Curcuma longa L.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535-544. 

  17. Lee HJ, Kim MA, Lee HJ. 2011. Study on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mixed with buckwheat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53-59. 

  18. Ji JR, Yoo SS.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with varied concentrations of blueberry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 433-438. 

  19. Kim YJ, Jung IK, Kwak E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ookies added with Pleurotus eryngi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183-189. 

  20. Kim KH, Yun MH, Jo JE,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flowering cherry (Prunus serrulata L. var. spontanea Max. wils.) frui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920-925. 

  21. Choi HY.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ine needle cooki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414-1421. 

  22. Lee JO, Kim KH, Yook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aged garlic.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71-77. 

  23.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31. 

  24. AACC. 1985. Approved method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Cereal Chemists.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Method 10-52. 

  25. Kwon YR, Jung MH, Cho JH, Song YC, Kang HW, Lee WY, Yoon K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cookies prepared with different amylose cont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832-838. 

  26. Kim YS, Kim KH, Lee JH.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lack rice cookies as influenced by content of black rice flour and baking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499-506. 

  27. Park ID. 2012. Effects of sweet pumpkin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Korean J Food Culture 27: 89-94. 

  28. Choi HY, Oh SY, Lee YS. 2009.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perilla leaves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cookies. Korean J Food Cookery Sci 25: 521-530. 

  29. Lee GW, Choi MJ, Jung BM.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ies made with 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6: 381-389. 

  30. Lee JS, Jeong S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button mushroom (Agaricus bisporous)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 98-105. 

  31. Kim GS, Park GS.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Lotus powder. Korean J Food Cookey Sci 24:398-404. 

  32. Choi SH.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Curcuma longa L. cookies prepared with various levels of rice flour. Korea J Culinary Res 18: 215-226. 

  33. Bae HJ, Lee HY, Paik JE. 200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ugar-snap cookies prepared with Chrysanthemum indicum Linne powder. Korean J Food & Nutr 22: 570-576. 

  34. Lim JM, Kwon HJ, Yong SE, Choi JH, Lee CH, Kim TJ, Park PS, Choi WH, Kim EM, Park SY. 2013. Antioxidant activ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cakes cookies with different ratio of Astragalus memvranaceus. Korean J Food Cookery Sci 29: 11-18. 

  35. Kim HY, Park JH. 2006.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umpkin cookies using ginseng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855-863. 

  36. Moo YJ, Jang SA.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containing powder of extracts from Angelica gigas Nakai. Korean J Food & Nutr 24: 173-179. 

  37. Kim EO, Oh JH, Lee KT, Im JG, Kim SS, Suh HS, Choi SW. 2008.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he colored rice cultivars. Korean J Food Preserv 15:118-1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