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명과학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이용한 강좌가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과 오개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Course with Handbook Correcting Life Science Misconceptions fo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Misconception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3 no.6, 2013년, pp.1139 - 1153  

김은진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과학교육에서 오개념은 오래된 주제이지만, 아직도 학교현장에서는 오개념으로 인한 문제들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예비교사들과 초등현장교사들을 위해 초등과학 교과의 내용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오개념을 조사 분석하고 이의 교정을 위한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초등예비교사들을 위한 생명영역 교재연구 강좌에 적용하여 과학 교수 효능감과 생명영역 오개념의 교정 효과를 검증하였다. 소책자의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결과를 수집하고, 초등예비교사들의 오개념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2007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초등과학 생명영역 단원의 내용을 분석틀로 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현장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작은 소책자 형태로 제작하였다. 제작한 소책자의 효과 검증을 위해 연구에 참여한 초등예비교사는 총 107명으로 소책자를 활용하여 교재연구강좌를 수강한 실험집단이 46명, 소책자를 사용하지 않고 교재연구강좌를 수강한 비교반이 61명이었다. 두 집단을 대상으로 일원변량분석과 공변량분석, 대응표본 t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책자를 사용한 실험 집단은 과학교수효능감과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수준에서 비교반보다 높은 점수를 얻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소책자는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증진하고 오개념을 교정하는데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예비교사들의 생명과학 영역 오개념 교정을 돕고, 궁극적으로 초등학생들의 올바른 생명영역 개념 형성을 도울 수 있으며, 초등예비교사들의 고양된 교수효능감은 초등학생들의 과학 수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sconceptions are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long-lasting studied themes on science education. It is because their nature is obstinate and settled as well as they corrupt students' understanding of science concept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nrolled in b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를 통해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을 높이며, 생명영역 오개념을 교정에 효과적인 실제적인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그러나, 이 소책자는 연구의 적용 시기에 따라 2007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올해 2013년부터는 2009 교육과정이 초등 1,2학년부터 점진적으로 적용되므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여 변화된 내용과 단원 명 등을 고려한 수정 · 보완이 필요하다.
  • 본 연구에서는 2007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생명 영역 단원을 기반으로 초등 예비교사들의 오개념 교정을 돕고, 초등학교 과학교육 현장의 교수활동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초등 예비교사를 위한 초등과학 생명영역 오개념 교정 소책자를 개발하였으며, 이 책자를 초등 예비교사의 초등과학 생명영역 교재연구 강좌에 자료로 활용하여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 교수효능감과 초등과학 생명영역에 대한 오개념의 교정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 이러한 필요성을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단기간 동안 초등과학교육과정에 포함된 생명과학 영역의 기초 개념을 바르게 익힐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으로 오개념 교정 소책자의 개발과 적용 연구를 수행하였다. 소책자에는 초등과학 생명영역의 단원에서 자주 나타나는 오개념과 공인된 과학개념을 비교하여 수록하였으며, 개발된 소책자를 초등예비교사를 위한 초등생물교재연구 강좌에 활용하여 과학 교수효능감의 변화와 초등과학 생명영역 오개념의 교정 정도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848). 따라서 실험 전 두 집단은 교수효능감의 수준면에서 동질하다고 가정하였다. 또한 사후검사 결과 두 집단의 평균은 실험반이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수효능감이란 무엇인가? 한편, 교수효능감은 교사 자신이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정도를 말한다(Riggs & Enochs, 1990). 과학 교수효능감은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과 과학 지식에 대해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가 있으며,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 수준은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김영옥 등, 2012; 노진형, 2008;이세정, 임청환, 2011; 임청환, 2003).
초등예비교사들의 경우 교육대학원 교육과정 특성상 어떤 어려움을 겪는가? 그러나 초등예비교사들의 경우,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의 특성상 과학관련 강좌의 수강시간에 한계가 있고 따라서 대학의 과학관련 강좌를 통해서 과학개념들을 깊이 있게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뿐 만 아니라 상당수의 초등 예비교사들은 고등학교에서도 인문계열이었던 경우가 많아 고교 교육과정에서 공통과학 이외의 과목은 선택적으로 이수하였다.
오개념은 학생들에게 어떤 요인으로 작용하는가? 오개념은 그 특성상, 견고하고 변화에 저항하는 경향이 크므로 교정하기가 매우 까다롭다. 뿐 만 아니라 학생이 공인된 과학 개념을 학습하는데 심각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며, 후속학습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권재술 등, 1998; 송진웅 등, 2004; 조희형 등, 2012; Abdi, 2006; Smith, Abell,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강호감, 공영태, 권혁순, 김재영, 배진호, 송명섭 등 (2007). 초등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2. 계오남(1987). 초등학교 아동의 생명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교육학회, 70-76. 

  3. 권재술, 김범기, 우종옥, 정완호, 정진우, 최병순(1998), 과학교육론. 서울: 교육과학사. 

  4. 김남일, 강태완, 유은경, 배진호(2002). 초등학생들의 몸의 운동과 조절에 대한 이해와 오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3), 237-245. 

  5. 김세욱, 홍승호(2007). 초등과학영재 학생들의"작은생물" 에 대한 오개념 연구. 초등과학교육. 25(5), 485-494. 

  6. 김수미, 정영란(1997). 항상성 동식물 분류, 식물의 양분 생산에 대한 학생의 개념조사와 오개념 형성 원인으로써 교사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3). 261-271. 

  7. 김영신, 권용주, 김용진, 김희백, 서혜애, 손연아 등 (2012). 생명과학교육론. 자유아카데미. 

  8. 김영옥, 이규림, 조홍자, 차금안(2012).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활동 불안,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99-115. 

  9. 김용화, 정완호(1995). 인체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국민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6-16. 

  10. 김찬종, 채동현, 임채성(2006). 과학교육학개론. 서울:(주) 북스힐. 

  11. 노진형(2008).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2(4). 53-67. 

  12. 박강훈, 이선경, 장남기(1992a). 중등학교 학생들의 호흡에 관한 개념조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0(2), 115-132. 

  13. 박강훈, 이선경, 장남기(1992b). 생물의 에너지원에 관한 중등학교 학생들의 개념조사. 한국 생물교육학회지, 20(2), 133-145. 

  14. 박성혜(2005).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관련변인에 따른 학생통제관. 한국교원교육연구. 22(1). 309-328. 

  15. 송진웅, 김익균, 김영민, 권성기, 오원근, 박종원(2004). 학생의 물리 오개념 지도. 서울: 북스힐. 

  16. 오금영, 김영수(1995). 중학교 생물교수전략으로서의 개념도 활용: 학생 중심 개념도 수업과 교사 중심 개념도 수업.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3(2), 213-230. 

  17. 오준영, 채동현(2004)." 별"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의 유년적 개념과 핵심 신념 비교. 중등교육연구. 52(1), 427-452. 

  18. 윤성규, 김창만, 박양희(2007). 생물 오개념 연구와 지도. 서울: 월드사이언스. 

  19. 윤혜경(2004). 초등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20. 이세정, 임청환(2011). 초등교사의 과학 교수 효능감이 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초등과학교육. 30(4). 459-467. 

  21. 이소영, 강태완, 김남일 (2004).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 분류 개념 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16-26. 

  22. 이정아(2010). 초등예비교사의 반성적 글쓰기에서 나타나는 반성의 유형과 특징. 초등과학교육. 29(3). 378-388. 

  23. 임청환(2003). 초등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발달이 과학 교수 실제와 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 24(4). 258-272. 

  24. 정영란(2002). 염색체, 유전자, 유전정보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도와 오개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완호, 차희영(1992). 한국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0(2), 147-151. 

  26. 정완호, 차희영, 최진복(1992). 교사들이 제시한 학생들의 생물 오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23-33. 

  27. 정완호, 권재술, 정진우, 김효남, 김범기, 신영준 등 (1997). 과학과 수업모형. 교육과학사. 

  28. 조부경, 서소영(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따른 과학 교수 실제 및 유아의 과학 행동. 한국유아교육학회. 21(4). 5-28. 

  29. 조희형, 최경희(2001). 과학교육총론. 서울: 교육과학사. 

  30.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2012).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31. 채규완(1999). 초등학생들의 식물 단원에 대한 개념형성 조사.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2. 하민수, 차희영(2006). 생물 오개념 논문의 분석을 통한 생물 오개념 편람의 제작. 교원교육. 22(3). 249-261.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33. 한국과학교육학회(2005). 과학교육학 용어 해설. 서울: 교육과학사. 

  34. 홍승호(2003). 초등과학 생명영역의 생식과 유전 분야에 대한 오개념 분석. 초등과학교육. 22(.3). 288-296. 

  35. 황영록(2002). 초등학생의 생물학적 오개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Abdi, S. W. (2006). Science sampler: Correcting student misconceptions. Science Scope, 29(4), 39. 

  37. Ausubel, D. P. (1968).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38. Cho, H. H., Kahle, J. B., & Nordland, F. H. (1985). An investigation of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s sources of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in genetics and suggestions for teaching genetics. Science Education, 69(5), 707-719. 

  39. Creswell, J. W. (2005). Educational research: Planning, conducting, and evaluating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NJ: Pearson Education Inc. 

  40. Duit, R. (1991). Students'conceptual frame networks: Consequence for learning science, in S. M. Glynn, R. H. Yeany, & B. K. Britton (Eds.), The psychology of learning science. Lawrence Erlbaum Associates. 

  41. Eggen, P. & Kauchak, D. (2011).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교육심리학: 교육실제를 보는 창 제8판] (신종호 등 역) 서울:(주)학지사 (원저는 2010년에 출판). 

  42. Fisher, K. M. (1985). A misconception in biology: Amino acids and transl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2(1). 53-62 

  43. Gall, M. D., Gall, J. P., & Borg, W. R. (2003). Educational research: An Introduction (7th ed.), Boston, MA: Allyn and Bacon. 

  44. Keeley, P. Eberle, F., & Tugel, J. (2007). Uncovering student ideas in science, vol.2:25 more formative assessment probes. Arlington, VA: NSTA Press. 

  45. Keeley, P. & Tugel, J. (2009). Uncovering student ideas in science, vol.4:25 new formative assessment probes. Arlington, VA: NSTA Press. 

  46. Keeley, P. (2011). Uncovering student ideas in life science, 25 new formative assessment probes. Arlington, VA: NSTA Press. 

  47. Kinchin, I. M. (2001). If concept mapping is so helpful to learning biology, why aren't we all doing it?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12), 1257-1269. 

  48. Mintzes, J. J., Wandersee, J. H., & Novak, J. D. (1998). Teaching science for understanding: A human constructivist view. Academic Press. 

  49. Riggs, I. M., & Enochs, L. G. (1990). Toward the development of an elementary teacher's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cience Education, 74(6), 625-637. 

  50. Sadler, P. M., Sonnert, G., Coyle, H. P., Cook-Smith, N., & Miller, J. L. (2013). The influence of teachers' knowledge on student learning in middle school physical science classroom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DOI: 10.3102/0002831213477680 

  51. Smith, S. R. & Abell, S. K. (2008). Assessing and addressing student science ideas. Science and Children, 45(7), 72-7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