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임상영양서비스에 대한 부산.경남지역 의료진과 영양사의 인식 차이
Different Perception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s between Doctors and Dietitians in the Busan-Gyeongnam Area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9 no.1, 2013년, pp.69 - 81  

최지영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은주 (경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CNS) between doctors and dietitians working in hospitals in Busan and the Gyeongnam area. Research was perform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November to December 2011) at over 100 beds. 73.3% of 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임상영양서비스의 업무는 의료진과 영양사가 서로 협력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써 의료진과 영양사의 상호 인식이 중요하나 두 집단 간의 인식을 조사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부산ㆍ경남)에 소재한 병원의 임상영양서비스(영양지원, 영양불량환자관리, 영양교육 등)에 관한 의료진과 영양사 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임상영양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지방(부산ㆍ경남)에 소재한 병원의 임상영양서비스에 관한 의료진과 영양사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두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의료진 8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상영양의 목적은? 임상영양이란 병원에서 환자의 영양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입원 환자의 영양 상태를 개선시켜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White 등 1994). 이러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여 의료진이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직ㆍ간접적인 참여와 자문 등의 역할을 하는 영양전문인을 임상영양사라고 한다(Lyu 등 1995; Eum & Kim 1996).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여 의료진이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직ㆍ간접적인 참여와 자문 등의 역할을 하는 영양전문인을 임상영양사는 언제 생겨났는가? 대한영양사협회에서는 2000년부터 영양판정, 영양상담 및 교육, 영양지원 등의 영양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임상영양사”라는 전문영양사 제도를 마련하였으며, 2010년 3월 26일 국민영양관리법이 공포됨으로써 임상영양사 자격증은 국가공인자격증으로 발전되어 2012년 3월 기준으로 보건복지부 주관 아래 3,459명의 임상영양사가 배출되었다(Kim 등 2011; Bokuennews 2012;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2). 또한 임상영양사의 전문성 및 환자들에게 양질의 개별화된 영양관리를 위해 영양관리과정(Nutrition Care Process, NCP)을 적용하여 활용하도록 하였다.
임상영양이란? 임상영양이란 병원에서 환자의 영양관리를 수행하는 것으로 입원 환자의 영양 상태를 개선시켜 치료 효과를 증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White 등 1994). 이러한 임상영양서비스를 수행하여 의료진이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직ㆍ간접적인 참여와 자문 등의 역할을 하는 영양전문인을 임상영양사라고 한다(Lyu 등 1995; Eum & Kim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2012): International Dietetics & Nutrition Terminology (IDNT) reference manual. Korean Dietetic Association. Seoul. pp.3-9 

  2. Babcock CG (1947): Psychologically significant factors in the nutrition interview. J Am Diet Assoc 23(1):8-12 

  3. Barr J, Hecht M, Flavin KE, Khorana A, Gould MK (2004): Outcomes in critically ill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an evidence-based nutritional management protocol. Chest 125(4):1446-1457 

  4. Bauer P, Charpentier C, Bouchet C, Nace L, Raffy F, Gaconnet N (2000): Parenteral with enteral nutrition in the critically ill. Intensive Care Med 26(7):893-900 

  5. Bokuennews (2012): The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of clinical dietitian. Available from: http://www.bokuennews.com/news/article.html?no61042. Accessed May 25, 2012 

  6. Choi KB, Lee SM, Lyu ES (2012): Patient perceptions of clinical nutrition service. J Korean Diet Assoc 18(1):59-71 

  7. Chung HK, Lee SM, Lee JH, Shin CS (2005): Energy deficiency aggravates clinical outcom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Korean J Crit Care Med 20(1):49-53 

  8. De Jonghe B, Appere-De-Vechi C, Fournier M, Tran B, Merrer J, Melchior JC, Outin H (2001): A prospective survey of nutritional support practice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what is prescribed? What is delivered? Crit Care Med 29(1):8-12 

  9. Eum YR, Kim YO (1996): Relation of the medical staffs' perception about nutrition with a performance of dietitians' nutrition care. J Korean Diet Assoc 2(2):112-122 

  10. Giner M, Laviano A, Meguid MM, Gleason JR (1996): In 1995 a correlation between malnutrition and poor outcome in critically ill patients still exists. Nutrition 12(1):23-29 

  11. Han MH, Lee SM, Lyu ES (2012): Doctors' perception and needs on clinical nutrition services in hospitals. J Korean Diet Assoc 18(3):266-275 

  12. Hegsted DM (1970): Nutritional requirements in disease. J Am Diet Assoc 56(4):303-307 

  13. Jang HS, Kwon CS (1996): Evaluation of necessity of clinical nutrition education in the medical school curriculum. J Korean Soc Food Nutr 25(3):415-422 

  14. Kang JH, Baek HW, Shin DW, Shin DH, Son HJ, Chang SH, Seo YS, Min JH, Lee YA, Mo YH, Kim MY (2010): The outcomes of critically ill patients after following the recommendations of the nutritional support team. KJPEN 3(1):40-44 

  15. Kim HJ, Kim EM, Lee GJ, Lee JJ, Lim JH, Lee JM, Jeon HJ, Lee HY (2011): Clinical nutrition service at medical centers in Seoul. J Korean Diet Assoc 17(2):176-189 

  16. Korean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2012): National nutrition management act.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unSc.do?menuId10&query%EA%B5%AD%EB%AF%BC%EC%98%81%EC%96%91%EA%B4%80%EB%A6%AC%EB%B2%95. Accessed March 27, 2012 

  17. Lee JE, Kwak TK (2009):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indicators for a foodservice & nutrition management evaluation at a hospital nutrition department. J Korean Diet Assoc 15(4):364-382 

  18. Lyu ES, Eum YR, Lee SM (1998): The medical staffs' perception about nutrition care. J Korean Diet Assoc 4(1):40-52 

  19. Lyu ES, Lee SM, Hyh KY (1995): A study on the current of hospital practices in clinical dietetics. J Korean Diet Assoc 1(1):10-20 

  20. Mary E, Bradley J (1997): The role of clinical dietitians as perceived by dietitians and physicians. J Am Diet Assoc 97(8):851-855 

  21. Mo YH (2010): Effectiveness analysis of nutrition support team in the intensive care unit. Master's degree. Sungkyunkwan University. pp.1-15 

  22. Paulsen LM, Splett PL (1991): Summary document of nutrition intervention in acute illness: burns and surgery. J Am Diet Assoc Suppl:S15-19 

  23. Spangler AA, Cederquist DC, Blackman CA (1974): Physicians' attitudes on dietitians' contributions to health team care. J Am Diet Assoc 65(6):646-650 

  24. The veterans affairs total parenteral nutrition cooperative study group (1991): Perioperative total parenteral nutrition in surgical patients. N Engl J Med 325(8):525-532 

  25. Tran K, Pascual R, Nguyen N (2011): A survey of ICU physicians' perception on the importance of a clinical dietitian as part of the interdisciplinary team. J Am Diet Assoc 111(9):A23 

  26. White JV, Young E, Lasswell A (1994): Position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nutrition - an essential component of medical education. J Am Diet Assoc 94(5):555-557 

  27. Yang IS, Lee SJ, Cha JA (1995): Identifying current hospital practices in clinical dietetics (I). Korean J Nutrition 28(5):460-470 

  28. Yang OS, Joe M, Song GA, Kang DH, Kim KH, Huh J (2004): Guidebook of clinical nutrition. Korean Medical Book. Seoul. pp.66-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