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음주자의 영양소 섭취실태: 2011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Nutrient Intake Status of Korean Drinkers: Analysis of Data from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1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9 no.4, 2013년, pp.343 - 355  

김형태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보건학과) ,  천성수 (삼육대학교 보건관리학과) ,  정선희 (한국 알코올문제연구소) ,  윤미은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 status of adult drinkers in Korea. Alcohol drinking patterns were obtained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mong 4,968 persons, 91.5% were drinkers. Classification of their drinking patterns by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5잔으로 계산하였다. 또한 총섭취에너지는 식이섭취에너지에 알코올섭취에너지를 합하여 구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 음주자의 음주행태별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실태를 국민건강영양조사 2011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성인을 음주 여부에 따라 비음주자와 음주자로 구분하였으며 음주자는 다시 정상음주자, 문제음주자, 그리고 알코올 의존자로 구분하여 군 간에 열량과 영양소 섭취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분석하였다.
  • 알코올 에너지는 각각의 술 종류 표준 잔에 함유되어 있는 알코올 12 g과 알코올 1 g 당의 열량인 7 kcal를 곱하여 구하였다. “한 번의 술은 얼마나 마시는가”의 질문에 1∼2잔으로 답한 경우는 1.
  • 연구대상자의 나이, 성별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정보와 음주경험여부, 평생흡연여부와 같은 생활습관정보는 건강설문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령은 한국영양학회ㆍ보건복지부ㆍ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발간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의거하여 19∼29세, 30∼49세, 50∼64세로 구분하였다.
  • 영양소 적정 섭취비(NAR)는 개인의 특정 영양소 섭취량을 권장섭취량 또는 충분섭취량으로 나눈 값이다(승 등 2007). 영양소 섭취의 적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대상자의 성별, 연령별에 해당하는 권장섭취량에 대하여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에서 제시한 9가지 영양소 즉, 단백질,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칼슘, 인, 철과 에너지량의 NAR을 구하였으며, NAR의 값은 1을 상한치로 설정하여, 1 이상이 될 경우 1로 간주하였다. 한편 영양소의 전반적인 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MAR를 구하였다.
  • 연령은 한국영양학회ㆍ보건복지부ㆍ식품의약품안전처 공동발간의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 의거하여 19∼29세, 30∼49세, 50∼64세로 구분하였다. 음주경험여부와 평생흡연여부는 한 번도 경험을 하지 못했으면 비음주자ㆍ비흡연자, 한번이라도 경험을 하였으면 음주자ㆍ흡연자로 분류를 하였다.
  • 음주행태는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검사(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점수와 RAPS4(Rapid Alcohol Problems Screen)로 구분하였다. 알코올 사용 장애 진단검사(AUDIT)는 조기에 알코올 의존보다는 낮은 단계의 알코올관련문제를 가진 사람들을 선별하기 위해 6개국 공동연구를 통해 WHO에서 개발한 검사이다.
  •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허리둘레, 신장, 체중 등의 주요 건강지표는 검진조사를 통하여 측정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는 체중(kg)을 신장(m2)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 체질량지수(BMI: Body Mass Index), 허리둘레, 신장, 체중 등의 주요 건강지표는 검진조사를 통하여 측정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는 체중(kg)을 신장(m2)으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BMI가 18.
  • 영양소 섭취의 적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대상자의 성별, 연령별에 해당하는 권장섭취량에 대하여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2010에서 제시한 9가지 영양소 즉, 단백질, 비타민 A, 티아민, 리보플라빈, 니아신, 비타민 C, 칼슘, 인, 철과 에너지량의 NAR을 구하였으며, NAR의 값은 1을 상한치로 설정하여, 1 이상이 될 경우 1로 간주하였다. 한편 영양소의 전반적인 섭취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MAR를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건강설문조사, 영양조사, 검진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5기(2010년∼2012년) 조사는 매년 약 3,840가구, 만1세 이상 가구원 전체를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다. 2011년 1개 이상의 조사에 참여한 대상자는 8,518명이며, 이 중 만19세에서 만65세에 해당되는 본 연구의 연구대상자는 4,968명이다.
  • 대사증후군 여부는 ① 공복혈당 110 mg/dl 이상, ② 혈압 130/85 mmHg 이상, ③ 고중성지방 150 mg/dl 이상, ④ HDL 콜레스테롤이 남자 40 mg/dl 이하 여자 50 mg/dl 이하, ⑤ 허리둘레 남자 90 cm 초과 여자 85 cm 초과 5항목을 조사하여 이 중 3가지 이상이 해당되면 대사증후군으로, 2가지 이하면 정상으로 구분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 음주자의 음주행태별 식습관과 영양소 섭취실태를 국민건강영양조사 2011 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연구의 대상자는 제5기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원자료 중 2013년 5월에 수정된 2011년 영양조사 부문의 원시자료를 활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건강설문조사, 영양조사, 검진조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5기(2010년∼2012년) 조사는 매년 약 3,840가구, 만1세 이상 가구원 전체를 조사대상으로 하고 있다.

데이터처리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연속형 변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범주형 자료의 비교는 카이제곱 검정(chi-square test)을 이용하였고, 연속형 자료의 비교는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이용하였다. 모든 통계자료에 대한 유의성 수준은 P<0.
  •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모든 조사결과는 PASW(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Statistics 18(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연속형 변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 05으로 하였다. 사후분석은 Duncan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연속형 변수는 평균±표준편차로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성인 음주자 중 문제음주자의 비율은? 4%로 약간 감소하여 유지되는 추세이다(KCDC;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2). 우리나라 성인 음주자 중 문제음주자의 비율은 1998년 13.1%에서 2007년 42.7%로 급격히 증가하였다(전 2010). 또한 알코올 사용 장애를 겪고 있는 사람은 2011년에 13.
우리나라 성인의 음주율은? 우리나라 성인의 음주율은 1986년 48.3%에서 2006년 73.2%로 꾸준히 증가하고, 2008년 68.6%, 2010년 68.4%로 약간 감소하여 유지되는 추세이다(KCDC;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2). 우리나라 성인 음주자 중 문제음주자의 비율은 1998년 13.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역학 연구에서 적정량의 알코올 섭취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관련성을 나타낸 결과와 다른 경향인 음주와 한국인의 혈압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알코올은 소화 과정을 거치지 않고 흡수되며(Rolfes 등 2011; Lesch 등 2011), 소량의 알코올이라도 섭취 기간과 섭취량에 따라 인체조직을 손상시킨다(Rubelyn 2011; Kim 등 2012a). 음주는 혈압과도 관련성을 나타내어 한국인 남성의 경우는 음주량이나 음주빈도가 많아질수록 이완기와 수축기 혈압이 유의하게 상승하였고 여성의 경우는 이완기 혈압만 음주량이나 음주빈도가 많은 경우에 높았다(Kim 2006). 이는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역학 연구에서 적정량의 알코올 섭취가 심혈관질환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관련성을 나타낸 결과 Agarwal & Srivastaba(2001)와는 다른 경향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승정자, 홍원주, 김순경, 이현옥, 조혜경, 김애정, 최미경, 김미현 (2007): 영양판정. 청구문화사. 서울. pp.57-58 

  2. 전승훈 (2010): 특집: 고령화 사회와 국민건강 : 음주와 흡연의 사회경제적 비용감소를 위한 조세정책. ITBI Review 16(2):57-94 

  3. 조맹제, 박종익, 배안, 배재남, 손정우, 안준호, 이동우, 이영문, 이준영, 장성만, 정인원, 조성진, 홍진표 (2011): 2011년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보건복지부 학술연구 용역사업 보고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 pp.17-18 

  4. Agarwal DP, Srivastava LM (2001): Does moderate alcohol intake protect against coronary heart disease? Indian Heart J 53(2):224-230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Text revision (DSM-IV-TR). 4th ed.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Washington, DC. pp.261-271 

  6. Babor TF, de la Fuente JR, Saunders J, Grant M (1989): AUDIT.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guidelines for use in the primary health care. WHO publication No 89.4.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pp.8-13 

  7. Breslow RA, Guenther PM, Juan W, Graubard BI (2010): Alcoholic beverage consumption, nutrient intakes, and diet quality in the US adult population, 1999-2006. J Am Diet Assoc 110(4):551-562 

  8. Breslow RA, Smothers BA (2005): Drinking patterns and body mass index in never smokers: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1997-2001. Am J Epidemiol 161(4):368-376 

  9. Cherpitel CJ (1995): Screening for alcohol problems in the emergency room: a rapid alcohol problems screen. Drug Alcohol Depend 40(2):133-137 

  10. Cherpitel CJ (2000): A brief screening instrument for problem drinking in the emergency room: the RAPS4. Rapid Alcohol Problems Screen. J Stud Alcohol 61(3):447-449 

  11. Cherpitel CJ (2002): Screening for alcohol problems in the U.S. general population: comparison of the CAGE, RAPS4, and RAPS4-QF by gender, ethnicity, and service utilization. Rapid Alcohol Problems Screen. Alcohol Clin Exp Res 26(11):1686-1691 

  12. Choi EY, Im YS, Kim KN, Park CY, Kim HJ, Cho B, Lee S, Yoo T, Huh BY (1998): Alcohol habits in Korea. J Korean Acad Fam Med 19(10):858-869 

  13. Deshmukh-Taskar PR, Nicklas TA, O'Neil CE, Keast DR, Radcliffe JD, Cho S (2010): The relationship of breakfast skipping and type of breakfast consumption with nutrient intake and weight statu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1999-2006. J Am Diet Assoc 110(6):869-878 

  14. Dorn JM, Hovey K, Muti P, Freudenheim JL, Russell M, Nochajski TH, Trevisan M (2003): Alcohol drinking patterns differentially affect central adiposity as measured by abdominal height in women and men. J Nutr 133(8):2655-2662 

  15. Elmadfa I, Majchrzak D, Rust P, Genser D (2001): The thiamine status of adult humans depends on carbohydrate intake. Int J Vitam Nutr Res 71(4):217-221 

  16. Ewing JA (1984): Detecting alcoholism. The CAGE questionnaire. JAMA 252(14):1905-1907 

  17. Jequier E (2002): Pathways to obesity.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6 Suppl 2:S12-17 

  18. Kang MH (2008): A study on diet quality evaluation of bloo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alcohol or smoking in adult male workers. Masters degree thesis. Dongshin University. pp.25-27 

  19. Kim BJ, Kim BS, Kang JH (2012a): Alcohol consumption and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A 3-year follow-up study. Circ J 76(10):2363-2371 

  20. Kim EJ (1998): Vitamin $B_1,\;B_2,\;B_6$ and folate status of subjects with alcohol dependency in rural area. Masters degree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pp.40-42 

  21. Kim KH, Oh SW, Kwon H, Park JH, Choi H, Cho B (2012b): Alcohol consumption and its relation to visceral and subcutaneous adipose tissues in healthy male Koreans. Ann Nutr Metab 60(1):52-61 

  22. Kim MH, You OS (1999): A comparative study on nutrients intake and serum lipid levels in drinkers and non-drinkers. Korean J Nutr 32(5):570-576 

  23. Kim YO (2006): Moderate alcohol consumption does not prevent the hypertension among Korean: the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1(6):707-713 

  2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eoul 

  25.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pp.119-163 

  26. Lee SU, Choi SN, Yun ME (2008): Effects of lacto-ovo vegetarian diet on nutrient intakes and serum lipid levels in non-smoking non-alcohol drinking college male students. J Korean Diet Assoc 14(4):371-381 

  27. Lesch OM, Walter H, Wetschka C, Hesselbrock MN, Hesselbrock V (2011): Alcohol and Tobacco. Therapeutic strategies in alcohol and tobacco addiction. Springer. New York. pp.131-177 

  28. Mo SM, Koo JO, Park YJ, Park YS, Son SM, Seo JS (2006): Community nutrition. Kyomunsa. Paju. pp.128-129 

  29. Park SH, Kang YH, Park HY (2008): Alcohol consumption and the coronary heart disease-related risk factors in Korean adults: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Korea J Nutr 41(3):232-241 

  30. Park SN (2008): Differences of dietary intake and blood biomarkers according to alcohol intake level of Korean adults using 2005 Korean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asters degree thesi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pp. 27-30 

  31. Pokorny AD, Miller BA, Kaplan HB (1972): The brief MAST: a shortened version of the Michigan Alcoholism Screening Test. Am J Psychiatry 129(3):342-345 

  32. Rolfes S, Pinna K, Whitney E (2011): Understanding normal and clinical nutrition. Wadsworth Cengage Learning. Belmont. pp.230-240 

  33. Rubelyn EI (2011): Drinking patterns and alcohol-attributable fractions of diseases in South Korea. Masters degree thesis. Sahmyook University. pp.1-3 

  34. Russell M, Martier SS, Sokol RJ, Mudar P, Bottoms S, Jacobson S, Jacobson J (1994): Screening for pregnancy riskdrinking. Alcohol Clin Exp Res 18(5):1156-1161 

  35. Saunders JB, Aasland OG, Babor TF, de la Fuente JR, Grant M (1993): Development of the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WHO Collaborative Project on Early Detection of Persons with Harmful Alcohol Consumption--II. Addiction 88(6):791-804 

  36. Shin KO, An CH, Hwang HJ, Choi KS, Chung KH (2009): Effect of smoking and drinking habits on the nutrient intakes and health of middle and high school boy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6):694-708 

  37. Soares MJ, Satyanarayana K, Bamji MS, Jacob CM, Ramana YV, Rao SS (1993): The effect of exercise on the riboflavin status of adult men. Br J Nutr 69(2):541-551 

  38. Sohn JG, Song HR, Lee KY, Kim JH, Kim HC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nd liver function test in blue collar workers. Korean J Occup Envoron Med 15(3):281-289 

  39. Wannamethee SG, Shaper AG, Whincup PH (2005): Alcohol and adiposity: effects of quantity and type of drink and time relation with meals. Int J Obes (Lond) 29(12):1436-1444 

  40. Whitney E, Debruyne LK, Pinna K, Rolfes S (2007): Nutrition for health and health care. Wadsworth Cengage Learning. Belmont. pp.200 

  41. World Health Organization (1992): The ICD-10 classification of mental and behavioural disorders. World Health Organization. Geneva. Switzerland 

  42. Yeomans MR (2004): Effects of alcohol on food and energy intake in human subjects: evidence for passive and active over-consumption of energy. Br J Nutr 92 Suppl 1:S31-3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