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에서 성별에 따른 음주량 및 폭음과 치주염의 관련성: 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Gender-Specific Association between Average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Binge Drinking, and Periodontitis among Korean Adults: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3~2014 원문보기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v.16 no.5, 2016년, pp.339 - 348  

형주희 (원광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이영훈 (원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및 원광의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을 구분하여 평균 음주량 및 폭음 빈도와 치주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자에서는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은 J자 형태의 관련성을 보였으며, 특히 경도 음주군을 기준으로 중등도 음주군(1.25배)과 고도 음주군(1.39배)에서 치주염 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여자에서는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폭음 빈도와 치주염과의 관련성 연구 결과, 남자에서는 폭음 빈도가 증가할수록 치주염의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지만, 여자에서는 폭음 빈도와 치주염은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남자에서 과도한 음주량 및 폭음을 하는 경우 치주염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지역사회에서 치주염 예방을 위해서는 올바른 음주습관 형성을 위한 정확한 정보제공과 다양한 홍보교육 전략이 필요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the gender-specific association between average volume of alcohol consumption, binge drinking, and periodontitis using representative nationwide data. In total, we included 3,549 men and 4,810 women, aged 19 years and older, who participated in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치주 질환은 국민의 10대 만성질환일 뿐 아니라 고혈압, 당뇨병, 관절염, 정신장애와 함께 관리해야 할 주요 질환23)으로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가정생활환경, 생활습관, 식습관 구강위생에 대한 지식 및 태도와 관련이 있고 연령, 학령, 수입 등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흡연, 당뇨, 구강위생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5,7,24-27), 본 연구는 생활양식 중 음주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사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성별을 구분하여 평균 음주량 및 폭음 빈도와 치주염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과의 관련성을 살펴본 결과, 남자에서는 평균 음주량과 치주염은 J자 형태의 관련성을 보였으며, 특히 경도 음주군을 기준으로 중등도 음주군(1.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우 다른 국가에 비해 성별에 따라 음주량이 차이가 큰 특성이 있어 성별에 따른 음주습관이 구강건강에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 치주 질환 예방 및 생활양식 개선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사회의 구강에 대한 관심의 변화는? 현대사회는 급속한 경제성장과 생활수준 향상 및 평균 수명 연장으로 건강과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가고 있으며, 국민의 구강건강에 대한 관심은 삶의 질 추구와 관련하여 날로 증대되고 있다1). 또한 구강건강은 전신 건강의 안녕 및 삶의 질 유지를 위한 필수 요소이자 중요한 건강 문제로 부각되었다2).
치주 질환의 예방이 중요한 이유는? 치주 질환은 치아 상실의 주된 원인이고 대부분 자각증상이 없어 조기 치료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한 만성화되는 질환이므로 예방이 중요하며 이미 질병에 이환된 치아는 정기적인 예방관리를 지속하여야 한다9-11).
건강 및 구강건강 상태에 위험을 미치는 요인은? 또한 구강건강은 전신 건강의 안녕 및 삶의 질 유지를 위한 필수 요소이자 중요한 건강 문제로 부각되었다2). 건강 및 구강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 사회학적 변수와 개인의 건강 행위 등이 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건강 행위와 질병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기 위한 역학적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왔다. 개인의 건강증진 관련 생활양식으로 음주, 흡연, 식이조절, 신체적 활동, 스트레스 관리 등이 주목되고 있으며, 이러한 행위는 생활습관으로서 건강의 중요한 결정요인이 될 수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Choi JS: Policy planning for oral health promotion. Research re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Affairs, Seoul, pp.5-9, 2000. 

  2. Bok HJ, Ahn BS, Lee HS: The effect of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behavior on community periodontal index in Korean adult. Korean J Health Serv Manage 7: 93-100, 2013. 

  3. Kim J, Ahn ES: Association of periodontal status with health lifestyle in adults. J Dent Hyg Sci 15: 83-89, 2015. 

  4. Petersen PE, Ogawa H: Strengthening the preven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WHO approach. J Periodontol 76: 2187-2193, 2005. 

  5. Haber J: Cigarete smoking: a major risk factor for periodontitis. Compendium 15: 1004-1008, 1994. 

  6. Shin HW, Han SY: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drinking motives scale. J Korean Psychol Gener 34: 485-512, 2015. 

  7. Moimaz SA, Zina LG, Saliba O, et al.: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 clinical evidence for ans associaton. Oral Health Prev Dent 7: 369-376, 2009. 

  8. Han KS, Bae KH, Lee MJ, et al.: Evaluation of periodontal statu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J Dent Hyg Sci 8: 395-401, 2008. 

  9. Ji MG: Relationship between adults' smoking realities and periodontal disease-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 Inst Electron Commun Sci 7: 917-924, 2012. 

  10. Lee JY, Kim GP, Yu BC: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s and quality of life. J Korean Soc Dent Hyg 13: 835-843, 2013. 

  11. Cheon HW, Yu MS, Choi MH: The association of oral diseases and chronic diseases in Korean adult population. J Korean Soc Dent Hyg 12: 235-249, 2012. 

  12.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Data: Disease statistics. Retrieved July 1, 2016, from http://olapopendata.hira.or.kr/analysis/desktop/poc2.jsp#report_id09d52ef0-eae1407e&PARAM1AK05(2016, July 1). 

  13. Positon paper: tobacco use and the periodontal patient. J Periodontol 67: 51-56, 1996. 

  14. Han DH, Kim JB: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itis: findings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Survey 2006. J Korean Acad Dent Health 33: 634-643, 2009. 

  15. Jung JO, Chun JY, Lee KH: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iodontal diseases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Soc Dent Hyg 13: 481-489, 2013. 

  16. Kim JK, Baek HJ, Lee YE, et al.: Th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tobacco smoke and periodontal health: finding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2009. J Dent Hyg Sci 14: 123-131, 2014. 

  17. Gong MS, Kim JO, Kim HG, Kim BI: Influence of self-perception, attitude, behavior and knowledge about oral health on caries experience and periodontal treatment need. J Korean Acad Dent Health 18: 144-169, 1994. 

  18. Kim KK: A review study on development of effective policies to reduce alcohol related harms in Korea. National Cent Mental Health, Seoul, pp.237-238, 2006. 

  19.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nd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5-2020 dietary guidelines for Americans. 8th ed.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Washington DC, 2015. 

  20. Field AE, Coakley EH, Must A, et al.: Impact of overweight on the risk of developing common chronic diseases during a 10-year period. Arch Intern Med 161: 1581-1586, 2001. 

  21. Kim JW, Kwon HJ, Lee SG,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diseases. J Korean Acad Oral Health 31: 387-395, 2007. 

  22. Baek HJ, Choi YH, Lee SG, et al.: The Association of Metabolic Syndrome and Periodontitis in Korean adult population. J Korean Acad Oral Health 34: 338-345, 2010. 

  2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4 annals of medical usage statistics by region. Retrieved July 10, 2016, from http://www.nhis.or.kr/bbs7/boards/B0080/15366(2016, July 10). 

  24. Kang MS, Kim JO, Kim HG, et al.: Influence of self-perception, attitude, behavior and knowledge about oral health on caries experience and periodontal treatment need. J Korean Acad Dent Health 18: 144-169, 1994. 

  25. Han SB, Lee HJ, Moon HS: Epidemiological study of periodontal disease in rural Korean. J Korean Dent Assoc 24: 893-900, 1986. 

  26. Abdellatif HM, Burt BA: An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into the relative importance of age and oral hygiene status as determinants of periodontitis. J Dent Res 66: 13-18, 1987. 

  27. Rheu GB, Ji S, Ryu JJ, et al.: Risk assessment for clinical attachment loss of periodontal tissue in Korean adults. J Adv Prosthodont 3: 25-32, 2011. 

  28. Yoo WK: Trends in consumption pattern of alcohol in Korea. J Health Welf 4: 55-71, 2000. 

  29. Kwon KY: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of employees: focus on the white collar employees. J Korean Soc Welf 57: 93-118, 2005. 

  30. Nam CY: The relations of stress, drinking trait, and problem behavior after drinking among the college students in Jeju. J Welf Correct 12: 27-42, 2008. 

  31. Joo J: Korean culture of heavy drinking and directions on policy related to alcoholism. J Pubic Welf Adm 19: 73-115, 2009. 

  32. Kim IH: White collar workers drinking survey research. J Korean Soc Public Health Nurs 12: 152-153, 2006. 

  33. Choi YS: Comparison of the mental health, metabolic syndrome and nutrient intake by gender in problem drinkers: based on the fifth (2010-2012)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 Acad-Ind Cooper Soc 15: 5159-5168, 2014. 

  34. Kim IS, Lee YH: The effects of personality, social pressure and drinking motivation on drinking and drinking problems. J Korean Psychol Clin 22: 525-541, 2003. 

  35. Lee SY: Study on factors having effect on drinking behavior of office workers. J Korean Alcohol Sci 7: 113-136, 2006. 

  36. Shin WW: A study o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vulnerability factors on alcohol problems: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 of drinking motives. J Instit Soc Sci 21: 81-105, 2010. 

  37. Ryu HK, Kim HG: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tress coping method on the periodontal disease. J Dent Hyg Sci 12: 469-476, 2012. 

  38. Kanzler HR, Babor TF, Goldstein L, et al.: Dental pathology and alchol-related indicators in an outpatient clinic samp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8: 204-207, 1990. 

  39. Amaral Cda S, Vettore MV, Leao A: The relationship of alcohol dependence and alcohol consumption with periodontitis: a systematic review. J Dent 37: 643-651, 2009. 

  40. Hornecker E, Ehrenreich H, Muuss T, et al.: Oral condition of abstaining alcoholics: a case-control study. Schweiz Monatsschr Zahnmed 113: 1281-1288, 2003. 

  41. Harris CK, Warnakulasuriya KA, Johnson NW, et al.: Oral health in alcohol misusers. Community Dent Health 13: 199-203, 1996. 

  42. Raghava KV, Shivananda H, Mundinamane D, et al.: Evaluation of periodontal status in alcoholic liver cirrhosis patients: a comparative study. J Contemp Dent Pract 14: 179-182, 2013. 

  43. Osawa Y, Isayama H, Mizuno S, et al.: Two cases of liver abscesses derived from dental disease in patients with alcoholic chronic pancreatitis. Intern Med 54: 1623-1625,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