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경관 내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기능 설정 연구
The Functional Selection for the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 at Pond Wetland in Agricultural Landscape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16 no.4, 2014년, pp.319 - 325  

손진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신민지 (단국대학교 대학원) ,  신지훈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강동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강방훈 (농촌진흥청 미래창조전략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못형습지(Pond Wetland)는 우리나라 농업경관에서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연못형습지는 생물다양성을 위한 중요한 자원으로 평가 받는다. 하지만 연못형습지(Pond Wetland)에 대한 연구는 유형분류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 기능을 알아보았다. 연구방법은 총 3단계로 기능분석, 기능도출, 중요도 분석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총 22가지의 기능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설문 결과 22개 항목 중 생물, 환경, 사회문화 분야에 각 4 기능씩 총 12개 기능으로 선별하였다. 항목간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를 실시하여 기능별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중복된 기능은 통합하여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10가지(1. Water Storage & Irrigation, 2. Vegetation Diversity, 3. Amphibian & Reptile Habitat, 4. Water Purification, 5. Aquatic Insect Habitat, 6. Nutriments Control, 7. Groundwater Recharge, 8. Fishery Habitat, 9. Eco-Experience & Education, 10. Aesthetic landscape)를 도출하였다. 향후 기능별 중요도 분석과 경제적 가치 지표를 적용하여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평가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lot of Pond Wetland (Palustrine Wetland) are distributed in agricultural landscapes, Korea. These wetlands are evaluated as important resources for conservation of biodiversity. However, the study of Pond Wetland is rarely conducted except type classification in Korea. In this study, the func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지역 연못형습지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도출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들을 살펴보았다. 주로 습지 수생태계 관련 환경적 기능과 식생에 관련된 생물다양성과 서식처 기능, 사회문화적 미, 레크리에이션, 관광 등의 기능 등으로 분류되어 있었다(Table 3).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연못형습지를 대상으로 생태계 서비스 기능 선정에 목적을 두었다. 습지는 하천형(riverine), 호소형(lacustrine), 소택형(palustrine)의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나뉘는 것이 일반적이다(Ramsar, 2014; Barbier et al.
  • 본 연구는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받는 혜택인 생태 계서비스의 정량적 가치평가를 위한 항목을 선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농촌지역에 가장 많이 분포하는 연못형습지를 대상으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살펴보고, 정량적 평가 항목을 도출하여 각 항목의 가중치를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습지생태계 중 농촌경관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 연못형습지를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판단하기에 앞서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선정하고 기능별 중요도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습지는 무엇을 제공하는가? 습지는 Ramsar(2014)가 제시한 홍수조절, 지하수보 충, 제방안정화, 영양물질 침전 및 이동, 수질 정화, 생물다양성, 제품생산, 문화보전, 레크리에이션, 기후 완화 등 다양한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를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계서비스 기능 평가는 습지의 보전가치 또는 가치 부여를 통해 습지생태계의 경제적 가치를 알아봄으로써 해당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유지 및 개발을 위한 사업에 있어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중복된 기능은 통합하여 연못형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10가지는? 도출된 연못형습지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 10개 항목은 (1) 지표수 저장 및 용수 이용(Water Storage &Irrigation), (2) 식생 다양성(Vegetation Diversity), (3) 양서파충류 서식처(Amphibian &Reptile Habitat), (4) 수질보호(Water Purification), (5) 수서곤충 서식처 (Aquatic Insect Habitat), (6) 영양물 제거 및 운반 (Nutriments Control), (7) 지하수함양(Groundwater Recharge), (8) 어류서식처(Fishery Habitat), (9) 체험 및 생태교육(Eco-Experience &Education), (10) 경관 및 미적기능(Aesthetic landscape)이다.
생태계서비스의 다양한 용어에는 무엇이 있는가? 생태계서비스는 Odum(1959)이 ‘생태학의 기초’ 저서를 통해 인간집단을 생태계 일부로 표현하고 자연과 인간의 연관성을 나타낸 것에서 시작되었으며, 1970년대 생물다양성에 대한 대중의 관심을 높이기 위해 생태계 개념을 정립하는 과정에서 'Ecosystem Services', 'Nature's Services', 'Environmental Services', 'Eco-services'와 같은 다양한 용어로 사용되어 왔으며, 그 의미를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받는 경제적 혜택으로 정의했다(Vihervaara et al., 2010; Lee,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lison G. Power (2010). Ecosystem services and agriculture: tradeoffs and synergies. Phil. Trans. R. Soc. B pp. 2959-2971. 

  2. Barbier EB, Acreman M, Knowler D. (1997) Economic Valuation of Wetlands. Gland, Switz.: Ramsar Conv. Bur. 

  3. Cylinder, P.D., Bogdan, K. M., Davis, E. M., and Herson, A. I. (1995). Wetlands Regulation; A Complete Guide to Federal and California Programs, Solano Press Books Point Arena, California. 

  4. Gopal, B. (1995). Biodiversity in Freshwater Ecosystems Including Wetlands,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in India, A Status Report. 11(2), Zoological Survey of India, Calcutt 

  5. Go, MY (2014).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Model for Housing Site Development Projects -A case study on 4 Bogeumjari Residential Areas. Graduate School of Soeul National Univ. doctorate thesis [Korean Literature]. 

  6. Joy B. Zedler and Suzanne Kercher (2005) WETLAND RESOURCES: Status, Trends, Ecosystem Services, and Restorability. Annu. Rev. Environ. Resour. pp. 39-74. 

  7. Kim, KG (2003). Natural and human make wetlands. Books Academy, Seoul. [Korean Literature]. 

  8. Kim, TS, Jeong, JW and Moon, SK and Yang, HS and Yang, BG (2013). Introduction to National Mid-term Fundamental Plan for Wetlands Conservation and Management. Journal of Wetland Research 15(4) pp. 519-527 [Korean Literature]. 

  9. Koo, BH.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and mapping methods of wetlands in Korea. Gradate School of Soeul National Univ. doctorate thesis [Korean Literature]. 

  10. Koo, BH. (2009). Wetland Ecology, Landscape Book Publisher [Korean Literature]. 

  11. Lee, MS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ssessment Model for Urban Green Ecosystem Services : Focusing on Urban Cemeteries in Seoul. Graduate School of Dongkook University. doctorate thesis [Korean Literature]. 

  12. Lim, DO, Kim, HS and Park, MS (2009). Distribu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Northern Area of South Jeolla Province, Korea. Kor. J. Env. Eco. 23(6) pp. 506-515 [Korean Literature]. 

  13. Millennium Ecosystems Assessment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ing : Multiscale Assessment,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Seres, 4, Washington, DC(Island Press). 

  14. Mitsch, WJ, Gosselink, JG (1993). Wetland(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15. Odum, E.P., (1959). Fundamentals of ecology, Philadelphia: W.B. Saunders Company, pp. 546. 

  16. Onil Banerjee, Neville D. Crossman and Rudolf S. de Groot (2013). Ecological Processes, Functions and Ecosystem Services : Inextricable Linkages between Wetlands and Agricultural Systems. 

  17. Pimentel, D., L. Lach, R. Zuniga and D. Morrison(2000). The Economics of Biological Invasions. Elgar, Cheltenham. UK, 

  18. Ramsar Convention Secretariat. (2014) Ramsar Convention Manual. 

  19. Son, JG, Kim, NC and Kang, BH (2010). The Type Classification and Function Assessment at Small Palustrine Wetland in Rural Area. The Korea Society For Environmental Restoration And Revegetation Technology 13(6) pp. 117-131. 

  20. Son, JG (2013). The Study on the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Biodiversity at Pond Wetland in Rural Area. Graduate School of Dankook Univ. Doctorate thesis [Korean Literature]. 

  21. Tilton, DL, Karen, S, Brian, B and William, T (2001). A wetland protection plan for the lower one subwatershed of the rouge river, Aquatic Botany, 28 pp. 227-242. 

  22. Vihervaara, P., Raunkiaer, M., and Walls, M. (2010). Trends in ecosystem service research : early steps and current drivers, Ambio, 39(4) pp. 314-32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